제목 : 캐나다 토론토에서 몽골 투자의 날 개최 예정 |
|
작성자 : 관리자 |
2023.02.28 12:02:52, 조회 182 |
|
|
|
|
<p> </p><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한-몽 그린벨트 사업단, ‘몽골 10억 그루 나무 기금’과 업무협약</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24T17:37:30+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2</time></span></div><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719837.jpg" title="1679719837.jpg"> </p><figure id="attachment_17853"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17853" class="wp-caption alignno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5px; text-align: center; max-width: 100%;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idth: undefined;"><figcaption id="caption-attachment-17853" class="wp-caption-text"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Verdana, BlinkMacSystemFont, -apple-system, 'Segoe UI', Roboto, Oxygen, Ubuntu, Cantarell, 'Open Sans', 'Helvetica Neue', sans-serif; text-align: left; margin: 6px 0px 26px; font-size: 11px; font-style: italic; line-height: 17px; color: rgb(68, 68, 68);">서명식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 제공)</figcaption></figure><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p> </p><figure id="attachment_17853"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17853" class="wp-caption alignno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5px; text-align: center; max-width: 100%;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idth: undefined;"><figcaption id="caption-attachment-17853" class="wp-caption-text"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Verdana, BlinkMacSystemFont, -apple-system, 'Segoe UI', Roboto, Oxygen, Ubuntu, Cantarell, 'Open Sans', 'Helvetica Neue', sans-serif; text-align: left; margin: 6px 0px 26px; font-size: 11px; font-style: italic; line-height: 17px; color: rgb(68, 68, 68);"><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3월 24일,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단장 이성길)은 몽골 정부가 추진하는 10억 그루 나무 심기를 적극 지원하기 위하여 몽골 10억 그루 나무 기금(이사장 Amar Lkhagvasuren)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span></figcaption></figure><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은 우리나라 산림청과 몽골 환경관광부간의 협력으로 설립된 정부간 협력기구로서, 2007년부터 몽골의 사막화, 황사 방지를 위해 나무를 심고 조림 기술을 전파하는 한편,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토지관리를 위한 나무심기의 중요성을 알려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몽골 10억 그루 나무 기금(Mongolian Billion Tree Fund)은 2022년 3월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의 공약인 10억 그루 나무(One Billion Tree) 운동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셔 몽골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조성되었다.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은 2021년 9월 유엔총회에서 기후변화와 사막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까지 몽골에 10억 그루의 나무를 심을 것이며, 이를 위해 몽골 GDP 1%를 나무심기에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몽골 10억 그루 나무 기금은 대규모 나무심기와 사막화 방지, 생물다양성 보전, 정책 홍보, 인식 증진,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10억 그루 나무 운동을 지원할 계획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서명식에서 이성길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장은 “기후변화 대응, 사막화 방지에 민간의 참여는 필수적이며, 이번 양해각서 서명을 통해 앞으로 10억 그루 나무 기금이 보다 활발한 민간영역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선도해 주길 바라다”는 희망을 밝혔고, 10억 그루 나무 기금의 아마르 이사장은 “지난 15년 동안 몽골의 사막화 방지를 위해 노력해 온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과 함께 스마트폰 앱 등을 활용하여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나가겠다고”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우리나라 산림청(청장 남성현)과 몽골의 환경관광부(장관 B. Bat-Erdene)간의 합의로 설립된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은 2007년부터 몽골의 사막화·황사 방지와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지난 15년 간 몽골의 건조지(남고비 아이막 달란자드가드 및 바인작, 투브 아이막 룬솜) 3,000ha에 나무를 심고 조림기술교육센터를 건립하여 산림분야 인재를 키우는 등 한국과 몽골의 산림협력에 앞장서 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우리나라에 도달하는 황사는 대부분 몽골 고비사막과 중국 북서부의 건조지대에서 발원하는데, 최근 기후변화와 사막화로 인하여 황사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p><p> </p><p> </p><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194.jpg" title="167963319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207.jpg" title="167963320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220.jpg" title="167963322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234.jpg" title="167963323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247.jpg" title="167963324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258.jpg" title="167963325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272.jpg" title="16796332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282.jpg" title="16796332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295.jpg" title="167963329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307.jpg" title="167963330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321.jpg" title="167963332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332.jpg" title="16796333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345.jpg" title="16796333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633357.jpg" title="1679633357.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UBTZ, “온라인 티켓 판매를 70%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24T09:57:2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24</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UBTZ(울란바토르 철도)가 온라인 티켓 판매를 70% 수준까지 올리는 것을 목표로 여객 운송부서, 여객 운송센터 및 여객 차량 창고가 협력 중이라고 발표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특히 Open Door Days(오픈 도어의 날)라는 행사를 열어 자밍우드, 샤인산드, 초이르, 수흐바타르, 다르항, 준가라 등의 역에서 승객들이 온라인으로 티켓을 구매할 수 있도록 홍보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헌재 전체 열차 티켓 판매의 50%가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UBTZ는 열차 티켓의 구매는 eticket.ubtz.mn 혹은 УБТЗ Тасалбар – UBTZ Ticke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능하다고 밝혔다.</p></div><p> </p>
|
<p> </p><div>2023년03월23일 몽골소식</div><div> </div><div>정부 프로그램과 계획을 부실하게 이행한 5명 장관들에게 책임을 물을 것</div><div>어제 국가발전상임위원회 회의에서 정부 정책 이행에 관한 문제가 토의되었다.</div><div>회의 중에 인민당 D.Togtohsuren은 네 가지 질문을 했다.</div><div>- 2022년 말까지 정부 정책 이행률은 어느 정도인가?</div><div>- 감사 결론은 정부 운영에 대한 내부 통제가 부실했다는 것이다. 부처 및 기관의 공무원이 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닌가?</div><div>-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13.2%였다. 인플레이션에 따라 임금과 연금을 인상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500,000투구릭 이상의 연금 수급자는 작년에 15% 증가했다. 그러나 공무원의 월급은 오르지 않았다. 이 문제는 어떻게 하는가?</div><div>- 펜데믹 때 경제가 어려웠다. 최근 높은 금리로 인해 시중은행 대출이 크게 줄었다. 기업의 상황은 개선되고 있지만 운전 자본이 부족하다. 올해 시중은행 대출은 이자율이 높지만 가용성은 매우 낮다. 대출에 대한 정부의 정책은 무엇인가?</div><div>이러한 질문에 Khurelbaatar경제개발부 장관이 답변했다.</div><div>그는 “2022년 말 기준 정부 활동 이행률은 39.3%다. 연간 계획 이행이 부실하다. 정부의 운영 프로그램 및 계획에 대해 논의 중이다.</div><div>2023년 예산에서 급여 인상을 위해 2000억투그릭 이상의 자금이 배정되었다. 2024년 급여 인상 예산은 국무회의에서 논의된다.</div><div>3월 18일 현재 차량 10대는 고기 251톤, 미가공 가죽 439톤, 양모와 캐시미어 33톤, 갈기와 꼬리 46톤을 수출한 차량이 16대였다.</div><div>3월 19일에는 고기 75톤, 가죽 243톤, 양가죽 81톤이 수출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축산 농가의 소득과 수출, 외화를 늘릴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다. 육류 수출에 대한 할당량은 더 이상 없다. </div><div>현재 인플레이션은 12.2%다. 우리 부처의 계산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은 올해 상반기에 한 자릿수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div><div>몽골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물가 상승을 줄이기 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 정책의 기준금리를 낮추는 것은 불가능하다.</div><div>그는 “기준금리를 내리면 투구릭은 더 떨어지고 인플레이션은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div><div>Ikon.mn 23.03.23</div><div>직원 1인당 평균 급여, 전 분기보다 증가.</div><div>사회보험기금 수입이 2023년 첫 두 달 동안 5,555억투구릭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2,237억투구릭, 67.4% 증가했다. 사회보험기금의 수입이 전년도에 비해 증가한 주된 이유는 연금보험기금의 수입이 2000억투그릭(71.9%), 산재 및 직업병 보험기금 수입이 120억투그릭(63.5%) 증가했기 때문이다. </div><div>통계청에 따르면 건강보험기금 수입은 2,511억투구릭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6억투구릭(19.3%) 증가한 반면, 지출은 2,877억투구릭으로 1,173억 MNT 감소했다. </div><div>사회보험료를 납부하는 기업은 전년 동기 대비 2700개, 전분기 대비 347개,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3만6800명 증가했다. 직원 1인당 평균 월급은 2022년 4분기 기준 170만투구릭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12,000투구릭 전 분기보다 177,000투구릭 증가했다.</div><div>News.mn 23.03.23</div><div>캐시미어 경매 Dornod, Khentii 및 Sukhbaatar에서 실시.</div><div>Agricultural Exchange는 지방에서 캐시미어 경매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에 따르면 캐시미어가 가장 먼저 생산되는 동부지방에서 경매 준비가 된 상태다. 구체적으로 3월 27, 29, 31일 도르노드, 3월 27, 28, 29, 30, 31일 헨티이, 4월 3, 5, 7일 수흐바타르에서 열릴 예정이다. 경매 날짜를 정할 때 각 도의 식량농업부와 도지사실과 합의했다.</div><div>경매는 주당 평균 5일에 2~3회 진행된다.</div><div>이번 경매는 농부, 협동조합, 원자재 공급자 등 관심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 있으며 농업 거래소의 캐시미어 경매 규칙에 따라 진행된다. 경매에 참여할 때 구매자는 거래 시작 전에 등록하고 거래소 청산 계좌에 백만투구릭을 입금하고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제 및 경매의 의도적 실패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보호한다.</div><div>경매를 위한 최소 캐시미어 수량은 500kg이며 판매자는 경매 시작 1시간 전에 캐슈를 거래소 창고에 넣어야 한다.</div><div>캐시미어 경매 참여를 위한 최소에 미치지 못하면 서로 협력하여 함께 참여할 수 있으며 이해관계자 등록은 농업거래소 경매시스템(https://cloud.mce.mn/register.aspx)을 통해 지난 3월 20일부터 시작됐다.</div><div>News.mn 23.03.23</div><div>중국, 몽골을 통하는 가스 파이프 라인 구축 제안에 응답하지 않아.</div><div>화요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회담을 갖고 2030년까지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div><div>푸틴 대통령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러시아, 중국, 몽골이 Power of Siberia 2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이행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div><div>Power of Siberia-1 파이프라인은 중국 북동부의 흑룡강성을 통해 3,000km에 달한다. 두 번째 파이프라인은 몽골을 통해 중국 시장에 도달한다.</div><div>Gazprom은 2020년에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 연구를 시작했으며 2030년에 가스 전송을 시작할 계획이다.</div><div>2,600km 길이의 두 번째 파이프라인을 통해 연간 500억입방미터의 가스를 수송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발트해를 통해 독일에 가스를 공급하는 노드 스트림 1 파이프라인의 보다 약간 적다.</div><div>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된 금수 조치로 인해 현재 파이프라인이 폐쇄되었다.</div><div>"Power of Siberia 2" 프로젝트는 러시아가 유럽 시장에서 잃어버린 수입을 보상하기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다.</div><div>2차 파이프라인이 가동되면 연간 총 980억㎥의 가스가 러시아에서 중국 시장으로 공급된다.</div><div>푸틴 대통령은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고 발표했지만 오늘 러시아와 중국 측이 발표한 별도의 공식 성명에 따르면 상황이 어두워졌다.</div><div>예를 들어, 러시아 측이 발표한 성명에서 프로젝트에서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문제가 여전히 있으며 연구를 계속해야 한다고 보고되었다.</div><div>그러나 중국 정부의 공식 성명에서는 이 프로젝트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div><div>분석가들은 이것이 중국 측이 프로젝트를 승인하지 않았다는 신호라고 결론지었다.</div><div>"해결되지 않은 섬세한 문제가 많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실행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천연가스 판매에 대한 러시아의 관심이 중국의 수요보다 더 클 수 있다"고 ICIS 리서치 회사의 가스 애널리스트 왕위안다(Wang Yuanda)는 이와 관련해 말했다.</div><div>"중국의 원래 계획은 2025년에 매년 러시아로부터 380억입방미터의 가스를 구매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제 러시아인들은 2030년에 980억입방미터를 인도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는 너무 큰 비약이며 우려의 원인"이라고 덧붙였다.</div><div>그는 이것이 중국 당국이 오늘날 유럽처럼 러시아 에너지에 너무 의존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div><div>천연가스의 경우 러시아 외에 다른 경쟁자가 있다.</div><div>현재 중국은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을 거쳐 30년 동안 연간 250억입방미터의 가스를 운송하는 새로운 "중앙 아시아-중국 파이프라인 D" 프로젝트의 실행을 논의하고 있다.</div><div>또한 카타르, 미국과 같은 주요 LNG 공급업체와 장기 계약을 맺고 있다.</div><div>지난해에만 중국은 6340만t의 액화천연가스를 수입했다.</div><div>Ikon.mn 23.03.23</div><div>몽골, 2030년 추운 날의 수가 줄어들고 여름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div><div>‘세계 기후의 날’을 기념하는 과학 회의가 오늘 Bishrelt 호텔에서 열렸다. </div><div>올해 기후의 날에는 '세계기상기구' 창립 150주년을 맞아 업계 대표들이 최신 연구 자료를 발표했다. UCUOSMH(Institute of Water, Climate, Environmental Research and Information) 소장인 Dr. G.Sarantuya는 "미래의 날씨, 기후, 미래 세대를 위한 물"이라는 주제로 연설했다. </div><div>G. Sarantuya 박사는 “연간 추운 일수는 2030년 8.8일, 2080년 36.8일 감소한다. 기온이 꾸준히 상승한다. 온난화 경향이 있다."라고 했다.</div><div>우리는 계속해서 몽골의 기후 조건을 명확히 합니다. </div><div>그는 “지난 20년간 뉴스를 보면 기후재난으로 500명 이상의 소중한 생명을 잃었고 경제는 약 4000억투구릭의 손실을 입었다. 산업계의 참여가 중요하며 특히 온실가스를 줄이는 방향으로 유의미한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위험은 몇배로 커진다.</div><div>150년간의 기후 관측에 따르면 지구 평균 기온은 1.1도 상승했다. 이 온난화가 1.5도에 이르면 위험하고 2.2도에 이르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했다. 온실 가스는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div><div>연구에 따르면 에너지 부문은 온실 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곳이다. 그 다음은 운송, 농업 및 건설 부문이다. 따라서 재생에너지 사용이 중요하다. 몽골에서는 태양열과 풍력 에너지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라고 했다.</div><div>그는 이어 "우리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후는 2100년까지 계속 따뜻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div><div>구체적으로 몽골은 2080년까지 기온이 6도 상승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 속도로 담수를 공급하는 영구 동토층과 빙하가 녹아 결과적으로 토지 황폐화 및 사막화의 범위와 강도가 증가할 위험이 있다. </div><div>UTSUOSMC는 지상 및 위성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보시다시피 지난 20년 동안 1,600건 이상의 재해가 발생했다. 재해 건수는 지난 20년에 비해 5~6배 증가했다.</div><div>G. Sarantuya 박사는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만의 활동과 계획, 전략을 세우지 않으면 자연과 기후를 떠나 살아갈 수 없다.”고 덧붙였다 . </div><div>몽골의 위험한 날씨 및 기후 재해:</div><div>먼지 폭풍: 2008년 5월 26일부터 27일까지 7개 도 34개 지역에 영향을 미친 재해로 인해 52명이 목숨을 잃었고 60만 마리 이상의 가축이 사망.</div><div>가뭄: 2009-2010년 가뭄 동안 우리나라 국토의 80.9%, 18개 도 157개 지역이 97,500 목축가가 영향을 받았고 전체 가축의 22.4%인 1030만 마리가 도살되었다. 평균 시장 가격으로 4,743억투구릭으로 추정.</div><div>강풍, 먼지 폭풍 및 눈 폭풍: 2021년 3월 13일~15일에 발생한 강풍, 먼지 폭풍 및 눈 폭풍의 위험하고 재앙적인 현상으로 인해 10명이 사망, 13억투구릭 피해.</div><div>Ikon.mn 23.03.23</div><div><br></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541400.jpg" title="167954140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541420.jpg" title="167954142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541434.jpg" title="167954143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541445.jpg" title="16795414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541457.jpg" title="167954145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541468.jpg" title="1679541468.jpg"><br style="clear:both;">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454806.jpg" title="1679454806.jpg"><br style="clear:both;"> </p><p>*XAAN Bank</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454845.jpg" title="1679454845.jpg"><br style="clear:both;"> </p><p>*네이망 샤르 환전소 거리</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454884.jpg" title="1679454884.jpg"><br style="clear:both;">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454313.jpg" title="1679454313.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454343.jpg" title="1679454343.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2023년03월21일 몽골소식</div><div> </div><div> </div><div>공무원법 위반 공무원 800여명 해고</div><div>D.Amarbayasgalan 내각관방 장관은 몽골이 2023년을 부패 척결의 해로 선포했다. 이번 행사는 몽골 민주의회 설립 이후 처음으로 행정부가 헌법에 따라 부패를 포함한 범죄와의 전쟁 목표를 정의한 것이다. 봄 회기 초에 총리는 반부패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와 국회가 제출한 법률에 대한 긴급한 검토를 요청했다. 이 제안은 100% 지지를 받았다. 그룹 구성원들이 부패와의 싸움을 현실로 만드는 데 중점을 두었다.</div><div>부패 척결만이 아니라 실질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치인, 정부, 의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리더십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회와 정부는 반부패 활동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이와 관련해 공직법 등 공기업 관련법을 위반해 임명된 공직자들에 대해서는 4월 6일까지 해임하고 그 결정 경위를 정부는 4월 10일까지 국회에 제출하도록 지시했다. APC는 1년 전 연말 보고회에서 관련 공직법을 위반해 임용된 공무원이 800명가량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둘째, 국민은 부패로 압류된 자금을 해당 부문에 쓰라고 요구하고 있다. 오늘 당 회의에서 국회의원 과반수는 압류된 자금을 사회가 필요로 하는 분야에 투자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입법이 필요하다. 현재 규정에 따르면 부패로 인해 압수된 돈은 국고로 귀속된다. 압수된 자산은 주 등록부에 입력된다. 국고에 있는 돈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법이 없기 때문에 부패로 압류된 자금을 시급한 문제가 많은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정과 변경이 필요하다. 또한 H.Nyambaatar 장관은 범죄에 연루된 자의 해외 도피 관련된 문제를 담당하고 있다. 외교부가 범죄자가 많이 거주하는 국가들과 상호법률공조협상을 시작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관련 법에 대해 논의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div><div>정부는 몽골의 Bayala 기금에 대한 법률 초안을 조속히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바얄라 펀드의 조성과 함께 광물 수입은 헌법 제6조 2항의 규정에 따라 모든 국민의 발전과 사회보장을 위한 해결책을 반영한 개념에 포함된다. 또한 관광법이 즉시 도입된다. 올해 1~2월 상황을 보면 최소 2만명의 관광객이 몽골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예년보다 2~3배 늘었다. 그래서 몽골의 주요 항공사 파트너인 한국 항공사와 협상을 벌였다. 이를 바탕으로 4월 15일부터 12월 1일까지 운항횟수를 주 70~80회로 늘렸다. 기본적으로 한국의 인천공항과 몽골의 징기스칸 공항 사이에 하루에 약 10대의 비행기가 운항된다. 그 결과 올해 100만명의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div><div>- 이번 주 논의될 법률 목록에 따르면 새 장관 임명과 J.Monkhbat 의원의 의원직 박탈 문제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가?</div><div>D. 톡토수렌: 국가 개발 상임위원회가 내일 회의를 갖는다. 이 회의에서 J.Monkhbat 의원의 문제가 논의된다.</div><div>- 참석 하나요? 한국에 있는데?</div><div>D. 톡토수렌: 연락하고 있다. 그는 “어머니가 치료를 받고 계시기 때문에 못 간다. 하지만 가능한 한 빨리 제 문제를 해결해 달라." 고 했다. 따라서 의원이 참석하지 못하더라도 법을 위반하여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의회는 논의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div><div>- 의제 순서는 국회의원선거법 개정안, 정당법 개정안 등이다. 의견 수렴이 되었는가?</div><div>D. 톡토수렌: N.Enkhbold의원이 이끄는 선거법 개발을 위한 실무 그룹이 의회에 있는 3개 정당의 대표자들이 참여했다. 지난 금요일에 의견을 위해 정부에 보냈다. 정부 제안을 받은 뒤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Ts.Monkhtsetse 의원이 이끄는 실무 그룹은 정당에 관한 법률 초안을 작업 중이며 가까운 시일 내에 제출할 예정이다.</div><div>- 국회는 에르데네스 타반톨고이(Erdenes TavanTolgoi) 회사의 배당금 문제에 대한 결의안을 통과시켜 정부에 지시했으며, 3월까지 국회에 제출하기로 의결했다.</div><div>D.Amarbayasgalan, 내각관방 장관: 의회는 결의안을 의결했고 정부는 임무를 부여 받았다. 2012년 4월 11일 이후 태어난 몽골 국적의 국민이 1072의 주주가 될지 여부가 논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1072명의 주주가 언제 배당금을 받을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앞으로 새 아이가 태어나면 즉시 1072주주 증서를 받고 사망하면 주식 소유권도 소멸한다. 우리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시민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 검토를 하고 있다. 먼저 Bayala Fund Law가 제출된다. 1072주와 관련된 약정은 이 법에 따라 수행된다.</div><div>Petro China Dachin Tamsag Company와 생산 공유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워킹 그룹이 구성되었다.이 작업은 어느 단계에 있는가?</div><div>D.Amarbayasgalan, 내각관방장관:2010~2012년 몽골 정부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몽골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그 해에 외국인 투자자는 2000이라는 숫자로 측정되었다. 당시와 비교하면 현재 약 15~16명의 외국인 투자자가 몽골에서 활동하고 있다. 2-3개의 요구 사항이 있다. 첫째, 몽골 정부가 몽골을 대신하여 모든 유형의 투자자와 체결한 계약에 충실한 지 여부에 대한 문제가 있다. 분쟁이 발생했을 때 몽골의 법조계는 이 분쟁을 공정하게 해결할 수 있을까? 그들은 투자자의 이익에 부합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이야기한다. 셋째, 몽골은 두 개의 큰 이웃을 가진 내륙국으로서 몽골이 주변 국가들과 안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많다. 따라서 기존에 체결된 계약을 변경하는 문제에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Petro China Dachin Tamsag Company 관련 광업부 워킹 그룹은 특정 유형의 세금 조항이 계약에 누락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오늘 중국 대사관에서 서한이 도착했다. Petro China Dachin Tamsag의 계정을 폐쇄하기로 한 재무부 장관의 결정이 정상적인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서한을 받았다. 이런 식으로 작업은 계속된다. </div><div>- 오랫동안 오유톨고이 이사회에서 N.Bagabandi 의 해임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인가? 그는 정부가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사회 변경 문제를 제기 하는가?</div><div>D. Amarbayasgalan, 내각관방 장관:</div><div>- 언론사 기자들이 오유톨고이를 마치 몽골 정부에서 직접 관리하는 것처럼 물어보는데, 대체적으로 에르데네스 몽골의 정관이 바뀌어 에르데네스 몽골이 법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오유톨고이의 34%가 이 회사에 속해 있다. 앞으로 정부가 투자기업과 직접 관계를 맺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것이 명백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Erdenes Mongolia의 정관을 투자 관리 회사로 변경하여 올해부터 국내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div><div>News.mn 23,03,21</div><div>미국 달러는 3540투구릭, 위안은 520투구릭으로 하락.</div><div>최근 미국 달러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지난 주 하락하기 시작했다. 또한 전염병 발생 이후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지 않았다. 어제부터 미국 달러와 위안화의 환율이 하락하기 시작했다. 차강사르 이전 몇 달 동안 미국 달러는 3560-3580투구릭 사이에서 변동했지만 오늘은 3520-3540투구릭으로 하락했다. 결과적으로 시장의 공식 환율과 암시장 환율의 차이는 20-30투구릭에 달했다. 그리고 위안화 환율은 지난 주에 535투구릭 이었으나 오늘은 510-520투구릭에 달했다.</div><div>앞으로도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경제의 어려움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수입품 가격과 운송비도 줄어들 수 있다.</div><div>금리가 하락하고 있지만 시중은행이 설정한 제한은 그대로 유지된다. 경제학자들은 시장에서 환율 차이를 줄이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고 한다. 몽골은행의 미국 달러 기준환율은 3527투구릭, 위안화는510투구릭에 달했다. 그러나 "Eight Yellow"의 가격은 3525-3535투구릭으로 10투구릭의의 차이가 있다.</div><div>이코노미스트들은 지난해 시작된 환율 변동이 이달 들어 상대적으로 안정됐지만 추가 상승 위험이 있다고 경고.</div><div>시중은행은 축소 된 한도를 재설정하기 시작했다. 경제학자들은 이 거품이 미국 달러의 환율을 3600-3700투구릭을 초과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경고한다. 지금까지 은행은 달러의 일일 한도를 해제하지 않고 필요한 거래에 대해 일정 한도를 제공하고 있다. </div><div>News.mn 23.03.21</div><div>철광석, 석탄, 구리정광 등 제품이 전체 수출의 84%를 차지.</div><div>관세청(GEGA)이 이날 항만운영 정상화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div><div> E. Lhagvasuren 통계분석부장은 연초 이후 대외무역을 발표했다.</div><div>이에 대해 "2023년 1~3월 대외 무역액은 4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3%, 17억 달러 증가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div><div>-수출 15억 달러 증가</div><div>-수입액은 각각 2억 달러 증가했다.</div><div>수출액이 수입액을 15억 달러 초과, 대외 무역수지는 25억달러흑자였다.</div><div>위 기간 동안 몽골은 107개국과 무역을 했고 39개국에 상품을 수출, 105개국에서 상품을 수입했다.</div><div>이어 “올해 1~3월까지 수출액은 32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억 달러, 96.3% 증가했다”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품목은 광물류 수출이다.</div><div>철광석, 무연탄, 구리 정광, 아연 정광, 형석, 원유 등의 광업 제품은 전체 수출의 98.4%를 차지했다.</div><div>무연탄은 연초 1150만톤을 수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0만t, 5.7배 늘어난 규모다.</div><div>동정광은 연초보다 301,500천톤이 수출되어 전년동기대비 4,900톤(1.6%) 증가했다. </div><div>Ikon.mn 23.03.21</div><div>연초부터 12,491대 승용차 수입.</div><div>관세청이 2023년 첫 3개월 동안 상품 수출입 실적에 대한 정보를 발표했다.</div><div>E. Lhagvasuren 통계분석국장은 "우리 나라 전체 수입액은 16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억1750만 달러, 15.2% 증가했다"고 말했다.</div><div>주요 수입품을 보면 </div><div>올해 초 몽골에 휘발유 13만4800톤과 경유 25만1400톤이 수입됐으며 3월20일 기준 승용차 1만2491대, 트럭 3393대가 수입됐다고 했다. </div><div>Ikon.mn 23.03.21</div><div>울란바토르 주택가격 전년 대비 11% 상승</div><div>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월 울란바토르 주택가격은 지난해 동기 대비 11.3%, 전월 대비 0.2% 올랐다.</div><div>구체적으로 2023년 2월 새 아파트의 평방미터당 평균 가격은 346만투구릭이었다. Khan-Uul 구가 377만투구릭으로 가장 높은 금액을 보이고 있다.</div><div>그리고 오래된 아파트의 평방미터당 평균 가격은 330만투구릭으로 최고 가격은 Sukhbaatar 지역에서 397만투구릭이다. </div><div>그림 1. 울란바토르 도심 6개 구역의 신규 아파트 평균 가격(단위: 백만투구릭, m2 /2023년 2월/)</div><div> </div><div>그림 2. 울란바토르 도심 6개 지역의 노후 아파트 평균 가격, 백만투구릭, m 2 /2023년 2월/</div><div> </div><div>Ikon.mn 23.03.21</div><div> </div><div><br></div><p>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대사관 영사과, 몽골인을 위한 간편 행정서비스 제공</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21T11:00:37+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21</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몽골 정부는 서울 주재 몽골 대사관 영사과에서 몽골 국민을 위한 간편 행정서비스인 ‘KHURDAN’을 제공한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에 따라 대한민국 거주 몽골 국민들은 440여개의 정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를 통해서 70여 종의 행정 업무를 볼 수 있게 되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간편 행정서비스는 서울지방고용노동청과 부산에 위치한 영사과에도 증설되어 오픈될 예정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영사과 관계자는 “앞으로 서비스의 종류를 늘려 55개 기관의 800여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p></div><p> </p>
|
<p> </p><div>2023년03월20일 몽골소식</div><div> </div><div>몽골 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요 프로젝트가 시작돼.</div><div>심층 광산 채굴 정식 개시 및 상시 운영 전환 기념식(2023년 3월 14일)을 가졌다. 오유톨고이는 세계 4위 구리 광산이 되는 것을 목표로 2028년부터 2036년까지 풀가동 한다.</div><div>현재 지하 광산에서 일하는 사람은 2,000명이 넘는다. 2개의 교대조가 매일 12시간씩 일하며 지하 광산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폭발물 저장고, 조 크러셔, 메인 크러셔 및 콘크리트 일괄 처리 시설을 건설하여 가동했습니다.</div><div>우리의 노천 광산은 연간 150,000톤의 구리를 생산한다. 미화 14억 달러의 연간 수입으로 몽골은행으로 들어온다.</div><div>매일 정련 되는 120,000톤의 광석은 구리 함량이 0.4%이며 향후 1.2-1.7%에 이를 것이다. 연간 700,000톤의 구리 정광이 생산되며 하루에 약 1,000포 정광이 생산된다. 한 포에 2톤이 들어 있다.</div><div>봄 회의는 반부패 법안을 개정</div><div>2023년 3월 15일 춘계정기국회가 개원했다. 이번 회기에서 법제 개혁 3개 분야 10개 법안을 논의할 예정이다.</div><div>이러한 맥락에서 공무원의 윤리 및 징계 책임, 내부 고발자의 법적 지위, 공직의 공익 규제 및 이해 상충 방지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고 국가 반부패 프로그램이 승인될 것이다.</div><div>우리나라는 부패 지수가 후진국이지만 법원에서 해결한 부패 범죄 건수는 2018년에 비해 10배 증가했다.</div><div>MONGOLBANK 기준금리 13% 유지</div><div>몽골은행 통화정책위원회는 회의를 열고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를 13%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금융통화위원회 1분기 정례회의는 3월 14일과 15일 양일에 걸쳐 대내외 경제 여건과 지정학적 상황, 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의 기준금리 인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위와 같이 결정했다.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한다.</div><div>2022년 경제성장률은 4.2%로 예상보다 높았다. B.Lhagvasuren 몽골은행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div><div>기준금리는 2021년 말부터 2022년 말까지 7%포인트 인상됐다.</div><div>2023년과 2024년은 몽골에 가장 큰 부채가 있는 해다. 정부 보증 또는 국영 기업, 정부 계약, 유로 및 사무라이 채권의 총 지불액은 미화 13억 달러가 된다. 개발 은행은 6억 5천만 달러의 채권을 발행했다. 그것은 갚아야 할 부채의 50%를 조달할 것이므로 갚아야 할 부채는 줄었다.</div><div>News.mn 23.03.19</div><div>몽골 석탄이 중국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어.</div><div>중국은 2020년 말 호주에 대한 문을 닫고 몽골, 인도네시아, 러시아와 같은 다른 석탄 공급업체에 문을 열었다. 이제 반대로 호주에 문을 열었고 모든 국내 기업이 호주에서 석탄을 수입할 수 있도록 허용했을 뿐만 아니라 세관 당국이 항구를 통해 화물을 허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올해 초 중국 당국은 호주에서 석탄을 구매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div><div>세계 최대의 석탄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철강업체와 발전소는 고품질 호주산 석탄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div><div>중국은 양국 간의 정치적 위기로 인해 비공식적 제재가 부과되기 전 호주 석탄의 주요 소비국이었다. 호주 지도자들은 금지 해제가 양국 관계 회복의 핵심 단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div><div>몽골의 경우 2023년에는 예산 수입에서 선두를 차지하는 석탄 수출을 확대해 총 수입의 약 25%인 4조9000억투그릭이 채굴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석탄 수출의 96%가 중국 시장에 공급되고 있으며 올해 국가예산에서 3,650만 톤의 석탄을 수출을 계획했다.</div><div>중국의 몽골 '압박' 정책에 대한 정보가 인터넷에 유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공식적인 정보는 없지만 전문가들은 이것이 우리에게 '경고'라고 지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남쪽의 "TouTiao" 회사 웹사이트에 정보가 게시되었는데 이는 몽골 석탄이 중국 시장에서 완전히 퇴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는 그 주된 이유가 몽골이 석탄 판매 협정을 명백히 위반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div><div>정보에 따르면 "인구 14억의 중국은 석탄 수요가 높다. 중국은 지난해 총 2억90000만t 석탄을 수입해 석탄 수출국에 대량 발주하고 있다. 충족될 수 있는지 여부는 각국의 태도에 달려 있다. 중국은 이전에 몽골 석탄을 선호하여 호주에서 석탄 구매를 중단했다. 그러나 협정을 명백히 위반했다는 소식이 몽골에서 나왔고, 이 중요한 시기에 중국은 호주에 대한 금지 조치를 취소할 수 있고 몽골 석탄은 중국 시장에서 완전히 떠날 수 있다."라고 했다.</div><div>이와 관련하여 일부 관측통은 "우리가 우리의 눈에 손을 넣었다"고 결론을 내리는 반면, 다른 관측통은 중국이 정치적, 종교적 이유로 몽골에 "금지"를 부과할 수 있다는 의견을 말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석탄 절도' 사건에 중국 측 직원 수십 명이 연루됐으며, 한편으로는 몽골의 법과 결정이 불안정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며 불명확하며 '금지' 조치가 내려질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div><div>H.Buyantumen 중앙정보부 수사부장 H.Buyantumen 담당 국장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석탄' 문제 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렇듯 모든 분야에서 부패와 뇌물이 난무하는 상황에서 함께 나아가기 어렵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div><div>News.mn 23.03.20</div><div>EBRD, Darhan 도로를 2차선으로 만들기 위해 2천만 달러 제공.</div><div>유럽부흥개발은행/EBRD는 "Ulaanbaatar City Heat Network Project"에 450만 유로, "Erdenet City Disaster Resilience Project"에 626만 유로의 교부금을 제공하는 계약을 승인했다.</div><div>이와 관련해 B. Javhlan 재무장관은 "울란바토르 의 열선 개보수 계약이 승인됐다. 울란바타르의 비상 에너지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고 스마트 미터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진행한다.</div><div>Erdenet의 재난 복원력을 개선하기 위한 보조금 계약이 승인되었다.</div><div>EBRD는 울란바토르-다르칸 도로를 2차선으로 만들기 위해 추가 자금을 제공한다. 이 도로를 화물차 도로로 만들기 위해 2천만 달러가 필요하다.</div><div>Axel Nikayz 몽골 주재 유럽 연합 대사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보조금이 몽골 시민들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였다.</div><div>보조금을 받는 프로젝트 중 첫 번째는 울란바토르의 중앙 난방 및 온수 시스템 개선 프로젝트다. 다른 하나는 Erdenet의 홍수 방지 건물과 댐을 개선하는 프로젝트다. 에르데넷 시에서 진행된 이 프로젝트의 결과로 15,000명의 사람들이 홍수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div><div>울란바토르에서 중앙 집중식 열 공급을 통해 공공 서비스를 받는 시민들은 더 나은 서비스를 받게 될 것이다. 난방시스템 개선이 대기오염 저감에 작은 기여를 하게 된다.</div><div>그는 "소상공인들이 프로젝트에 포함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div><div>Ikon.mn 23.03.20</div><div>15-69세 사람들은 활동적이지 않으며 하루 평균 3.4시간을 앉아 있어.</div><div>보건부는 오늘 전국적 차원의 '올해의 건강체중' 캠페인 출범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었다. </div><div>기자회견에서 S.Enhbold 보건부 장관은 인구의 과체중 및 비만에 대한 통계를 발표했다.</div><div>그는 “2022년 5월 1일부터 국가 차원의 조기 건강검진 및 검진이 시작됐다. 10개월 만에 전체 인구의 26.7%인 90만 명 이상이 조기 검진에 참여했다. </div><div>소화기, 호흡기, 심혈관, 비뇨기, 생식, 내분비 및 대사 질환은 성인에게 흔하다. 의심되는 모든 질병 사례의 86.5%를 차지한다.</div><div>충치는 0~17세 어린이의 61.5%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소화계 장애가 소아에게 만연하다.</div><div>비전염성 질병의 주요 위험 요소는 열악한 식습관, 음주, 운동 부족이다. 이로 인해 과체중, 비만, 고혈압 등의 질병이 증가해 사망에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div><div>몽골의 비전염성 질병 위험 요인 유병률에 관한 네 번째 연구는 특히 15-69세 연령 그룹을 대상으로 했다. 이 연령대의 5명 중 1명은 비전염성 질병에 대한 위험 요소가 3개 이상 있다. 인구의 3.9%만이 위험 요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div><div>위의 수치는 건강한 생활 방식과 습관이 일반적이지 않으며 건강한 선택을 할 기회가 제한되어 있음을 보여준다.</div><div>15-69세 인구의 31%가 과체중이고 15.5%가 비만이다. 또한 젊은 층에서 과체중과 비만이 급증하는 추세이며, 15~34세 연령층에서는 2.3~2.5배 증가한다. 35-69세의 10명 중 6명은 과체중 또는 비만입니다. </div><div>농촌 지역의 과일 및 채소 소비량은 도시 지역보다 1.5~3.2배 적다.</div><div>몽골 초등학생의 건강 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에서, </div><div>-18.1%의 학생이 과체중 또는 비만.</div><div>-38.5%의 학생들이 규칙적으로 아침을 먹지 않고 있다.</div><div>-41.8%의 학생들이 매일 탄산음료를 마신다. </div><div>몽골의 15-69세 인구 중 21.9%는 운동을 하지않으며 하루 평균 3.4시간을 앉아 있다. 또 52.4%는 직장에서 운동을 하지 않는다.</div><div>비만의 90~95%는 잘못된 생활습관이 원인이다. 운동 부족과 부적절한 음식 섭취로 인해 발생한다. 이에 S.엥크볼드 장관은 지난해 5월 1일부터 시작된 건강 조기진단 및 분석 자료 연구를 바탕으로 2023년 내내 국가 차원에서 '올해 건강하게 살빼기' 캠페인을 벌일 것이라고 덧붙였다.</div><div>Ikon.mn 23.03.20</div><div>올해 약 550km의 도로가 시운전될 예정.</div><div>S.Byambatsog 도로교통개발부장관은 건설 시즌 시작과 관련하여 올해 실행할 건설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2023년에는 약 550km의 도로와 500m의 교량을 시운전할 계획이다.</div><div>수년 동안 막힌 Darkhan Road를 본격적으로 사용.</div><div>또한 장관은 고속도로 규범 및 표준을 개선하고 고속도로 설계 및 개발 실수와 부주의한 실수를 수정하고 도로 성능 및 제어 오류를 최우선으로 개선하겠다고 발표했다.</div><div>그는 “도로의 능력을 넘지 않도록, 도로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도로를 보존하기 위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싶다. 시민들은 과적 교통으로 인해 재산과 생명을 잃는다. 따라서 유지 보수를 수행하고 과적 운송을 수행하는 운전자, 화주 및 수취인은 책임을 져야 한다. 또한 설계, 잘못 또는 그들이 한 일을 확인하지 않은 검사 엔지니어는 법에 따라 책임을 질 것이다."라고 했다</div><div>News.mn 23.03.19</div><div><br></div><div><br></div><p>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편의점 CU, 몽골에 300호점…상반기 중 글로벌 500호점 목표</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09T09:18:58+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09</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편의점 CU가 몽골에서 300번째 점포를 개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BGF리테일은 지난 7일(현지시간) 몽골 울란바토르 남부 중심지의 고급 아파트 내에 위치한 ‘CU게를룩비스타점’을 열었다고 9일 밝혔다. 이날 열린 300호점 오픈식에는 몽골 파트너사인 프리미엄 그룹의 간호약 아딜비시 회장, 센트럴 익스프레스(CE)의 간볼드 친저릭 대표와 BGF리테일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300호점은 한국 문화에 익숙한 젊은 고객들이 많이 거주하는 입지 특성에 맞춰 한국 편의점 특유의 다양한 디저트, 즉석조리, PB 등 차별화 상품들을 타 점포 대비 40% 가량 확대 운영 중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CU는 최근 편의점 업계 최초로 몽골 제 2도시인 다르항에도 3개의 점포를 개점하면서 울란바토르뿐 아니라 몽골 전 지역으로 출점 범위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CU가 몽골에 첫 진출한 2018년부터 100호점을 개점하기까지 약 26개월, 200호점까지 약 18개월이 걸렸으나, 300호점을 개점하기까지는 약 10개월이 소요되면서 개점 속도가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 CU는 몽골 편의점 시장 점유율 약 70%로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BGF리테일은 파트너 운영사인 CE사가 선진화된 한국 편의점의 운영 시스템과 차별화된 상품, 서비스를 몽골 사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작년 10월 CE 친저릭 대표를 포함해 50여 명의 몽골 CE 직원들을 한국에 초청해 사업 운영의 노하우를 전수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를 바탕으로 몽골 CU는 울란바토르 근교의 콘코르 지방에 간편식 제조 전반을 관장하는 푸드 센터를 운영하면서 편의점 핵심 상품인 간편식품의 원활한 생산 공정 관리와 품질 유지에 힘쓰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CU는 그동안 쌓은 IT 노하우를 집약해 개발한 ‘BGF 글로벌 IT시스템’을 작년 8월 몽골 CU 전점에 도입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상품 기획, 제조부터 물류 운영까지 BGF 전사의 전천후 노력 속에 작년 몽골 CU 점포들의 매출은 전년 대비 48.0%나 증가했다. 떡볶이, 튀김, 호떡, 즉석라면 등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는 즉석조리는 무려 117.4%나 매출이 증가했으며, ‘GET커피’ 또한 120.2%로 높은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면서 명실상부 몽골 CU의 먹거리로 자리잡았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장영철 BGF리테일 상품·해외사업부문장은 “몽골 300호점 개점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CU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전달하기 위한 노력이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다”며 “앞으로도 CU는 한국 편의점 문화를 전파하는 것과 동시에 사회적 가치까지 더해 대한민국 1등 편의점 프랜차이즈로서 편의점의 한류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행안부, 몽골 공무원 교육기관에 디지털 행정 경험 전수</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13T09:45:11+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13</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이하 ‘자치인재원’)은 3월 13일(월)부터 몽골의 최고 교육기관인 국립거버넌스아카데미*(NAOG, National Academy of Governance) 교수단 12명을 대상으로 직무역량 강화과정을 진행한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국립거버넌스아카데미 교수단 직무역량 강화과정은 2002년 시작하여 매년 한국의 우수 행정사례를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초청 연수교육으로, 올해 교육은 17일까지 5일간 진행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몽골 국립거버넌스아카데미 교수단에 한국의 디지털 행정 경험과 관련 지식이 전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강좌는 상호 토론 방식으로 운영하며, 행안부의 전자정부전시체험관을 비롯해 세종도시통합정보센터, 한국국토정보공사(LX)의 디지털홍보관 등 디지털전환 현장도 직접 방문하여 현장 관계자와 맞춤형 면담도 진행할 예정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류임철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장은 “몽골 국립거버넌스아카데미와는 2002년 업무협약(MOU) 체결 이후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라며, “한국이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경험과 사례가 몽골의 디지털정부 추진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목원대, 몽골 도르노드 아이막 4개 고교와 교류 협약</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15T09:12:15+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15</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목원대학교 이희학 총장은 14일 교내에서 몽골 도르노드 아이막지역 고교 4곳과 교류 협약을 체결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도르노드 아이막(한국의 도에 해당하는 행정단위)은 몽골 동부지역의 교통중심지이고 이날 샤인쿠지고교, 플라워고교, 제5고교, 제8고교 학교장이 참석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협약에 따라 목원대와 4개 고교는 문화 교류와 함께 교육·연구 등에서 협력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잠스란 볼로마 몽골 제5고교 학교장은 “목원대와 다양한 교류로 몽골 학생들에게 더욱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희학 총장은 “해외 명문 학교와 교류로 한국문화를 홍보하고 대학의 우수한 교육시스템을 알리는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며 “이런 활동을 통해 우수 유학생도 유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골롬트 뱅크, 몽골 최초 휴대폰에서 POS 단말기 서비스 제공</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12T11:41:49+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12</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골롬트 뱅크가 몽골 최초로 휴대폰에서 POS단말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을 출시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판매업자가 Soft POS는 이름의 안드로이드 앱을 이용하면 추가 장비없이 간편하게 결제와 청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해당 앱을 통해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결제 영수증을 보낼 수 있으며 NFC 기술을 기반으로 마스터, 비자, 토고 카드를 읽을 수 있다. 또한 몽골어, 영어, 러시아어로 서비스를 제공하여 편의성을 더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사용을 원하는 사업자는 온라인으로 등록 요청을 한 후에 활용할 수 있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울란바토르시, 신규 공중화장실 10개 추가키로</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12T11:33:25+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12</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지난 10일 울란바토르시 총괄 관리자인 M.Bayaraa는 기자 간담회에서 울란바토르시내의 공중 화장실의 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그는 현재 수도권 공중화장실 24개 중 19개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면서 올해 공중 화장실을 10곳 추가할 것이라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와 관련하여 화장실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 기업을 찾고 있으며 화장실에 광고판을 설치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현재 운영 중인 19개의 화장실의 운영 시간은 다음과 같다.</p><ul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margin-bottom: 26px;"><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도심에 위치한 7개의 화장실은 09:00 ~ 20:00</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수흐바타르 광장에 있는 2개의 화장실은 09:00 ~ 22:00 (집회가 있는 경우 24시간 개방)</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0px;">도심 외곽에 위치한 화장실은 09:00 ~ 18:00</li></ul></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p>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ul class="td-category"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list-style: none;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important; margin-top: 47px !important; margin-bottom: 10px; line-height: 1;"><li class="entry-category"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1; margin: 0px 5px 5px 0px; display: inline-block;"><a href="https://himongolianews.net/category/news-mongolia/" style="box-sizing: border-box; background-color: rgb(63, 80, 161); color: rgb(255, 255, 255); text-decoration-line: none; padding: 3px 6px 4px; white-space: nowrap; display: inline-block;">몽골뉴스</a></li><li class="entry-category"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1; margin: 0px 5px 5px 0px; display: inline-block;"><a href="https://himongolianews.net/category/news-mongolia/economy/" style="box-sizing: border-box; background-color: rgb(63, 80, 161); color: rgb(255, 255, 255); text-decoration-line: none; padding: 3px 6px 4px; white-space: nowrap; display: inline-block;">경제/산업</a></li></ul><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iTech 몽골리아 2023”, 국제 정보 기술 및 혁신 전시회 개최</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03T10:12:51+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03</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오는 4월 14일부터 16일까지 대중들에게 정보 기술과 혁신을 홍보하는 기술 엑스포인 ‘iTech 몽골리아 2023’이 스텝 아레나(Steppe Arena)에서 개최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현재 커뮤니케이션, 정보 기술, 혁신, 정보 보안, 자동화, 소프트웨어, AI, 핀테크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국내외 기업, 협력업체, 브랜드, 스타트업 등록을 진행 중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엑스포는 테크기업의 모든 참가자와 대중들에게 자사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를 소개할 수 있는 폭넓은 기회를 제공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IoT 기술 및 인프라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운영하는 Intyum(인티움) 그룹은 iTech Expo 2023의 일반 후원사로 협력하고 있다. 현재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한 IoT 네트워크를 활용해 수도권 70,226가구에 가스경보기를 설치하고, 이들 가구를 IoT네트워크에 연결해 잠재적인 가스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p></div><p> </p>
|
<p> </p><div>2023년03월04일 몽골소식</div><div> </div><div>2023년, 몽골 경제가 성장될까요?</div><div>정부는 올해 국가 경제 성장을 위해 주로 Oyutolgoi 지하 광산 채굴에 의존하고 있다. 10일 후에 채굴이 시작되면 "오유톨고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구리 프로젝트가 될 것이며 투자자와 몽골 정부에 들어오는 세금 및 기타 수입이 증가할 것이다.</div><div>몽골을 담당하는 세계은행의 Andrey Mikhnev 대표는 Oyutolgoi 광상 채굴이 2023년에 시작될 것이기 때문에 몽골의 경제 성장은 중기적으로 2023-2024년에 약 6%로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div><div>Fitch Ratings의 몽골 장기 신용 등급을 "B",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습니다. 무역 혼란과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이 줄어들고 몽골의 주요 수출 원자재가 여전히 중국에서 수요가 있기 때문에 국내 총생산(GDP)은 2023년 6.3%, 2024년 6.8%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div><div>Oyutolgoi 지하 광산 건설이 계속되고 국경 간 인프라 개선이 국가 경제에 더 많은 혜택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몽골은 천연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div><div>"S&P Global Ratings" 몽골의 장기 및 단기 신용 등급은 "B", 전망은 안정적이다. 중국의 국경 제한 당시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몽골 경제는 국경 통과가 정상화되고 수출이 회복되는 2023년에는 6%까지 성장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div><div>예산 초안에는 올해 몽골 경제가 5%에 도달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2023년 몽골의 경제 성장이 높을 것이라고 예측했다.</div><div>중기 목표 수준인 약 8%에 도달하는 인플레이션</div><div>2023년에는 몽골의 인플레이션율이 점차 낮아질 것이다. 세계 경제 위기의 원인은 계속해서 높은 인플레이션이 될 것이다. 몽골의 경우 올해 미국 달러로 높은 부채와 채권 상환으로 인해 수익성이 없는 경제 상황이 발생했다.</div><div>소비자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은 에너지, 특히 석유 제품 가격, 식품 및 제품 가격, 국제 운송 및 물류의 어려움으로 인한 가격 상승이다.</div><div>정부와 중앙은행의 거시경제 안정을 위한 긴축 재정 및 통화정책 시행으로 인플레이션은 2023년 중기 목표 수준인 8%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율은 급격히 떨어지지 않고 완만하게 떨어질 것이라 하였다. 요컨대, 해외 또는 수입 상품 및 제품을 통한 영향이 54-55%가 될 것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줄이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div><div>예산비용의 증가는 통화정책의 효과를 약화시킬 위험이 있어.</div><div>B.Bayardavaa 몽골은행 통화정책국장은 승인된 금액에 따라 예산 지출이 2023년에 GDP의 38%인 20조 5000억투그릭에 달할 것이라고 했다. 통화정책 기조가 긴축되는 시기에 재정지출 증가는 내수 부양, 수입 촉진, 환율 압박 증가, 대외 지급여력 감소, 인플레이션 촉진, 통화정책 효과 약화 위험이 있다.</div><div>동시에 외부 환경이 악화되면 GDP의 약 35%인 19조투그릭의 균형 예산 수입이 위험에 처하게 된다. 예산 수입이 승인된 금액에 미달할 경우 예상보다 예산 적자가 많아 관련 적자를 재원 조달하는 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사업에 필요한 자금 조달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div><div>기준금리가 13%로 유지되는가?</div><div>2023년에는 현재 수준이 13%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부 이코노미스트는 3월보다 1~2%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유통되는 돈의 양이 적을 때 금리를 올리면 저축 채권과 대출과 같은 금융 상품의 비용이 증가한다.</div><div>지난해 몽골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13%로인상했다. 다만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수준에 머물고 있어 기준금리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재화 및 제품의 공급과 수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막는 것은 경제성장을 줄이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다.</div><div>단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유출을 줄이고 유입을 늘리고 중기적으로 비광업 수출 수익 증대를 목표로 하는 조치를 구현하기 위한 긴축 정책. 또한 정책입안자들은 외자원 확대에 주력하고 이를 위해 민간부문을 지원하고 국제기구와 협력할 필요가 있다.</div><div>통화 및 환율의 위험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div><div>미국 달러는 2023년에도 계속 강세를 보일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주로 수입품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2022년에는 미국 달러의 강세와 중앙 은행의 긴축 통화 및 신용 정책으로 인해 금 가격이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div><div>Ch.Khurelbaatar 경제개발부 장관에 따르면, 정부의 수출 석탄 공개 및 미지급 석탄 운송 제한으로 인해 외환보유액이 28억 달러로 소폭 증가했으며, 투구릭 환율은 2022년 초 이후 18% 하락했다.</div><div>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12월 몽골은행이 발표한 미국 달러 대비 투그릭의 월평균 환율은 3431.29투구릭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2.32투구릭 하락했다.</div><div>무역흑자 24억 달러 예상</div><div>2023년 예산안에서는 2023년 수출이 114억 달러, 수입이 90억 달러에 이르고 대외 무역에서 24억 달러의 흑자가 날 것으로 전망했다.</div><div>몽골의 주요 수출 원료인 구리, 석탄, 금 가격은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좋은 소식은 주요 수출품인 구리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리 가격은 2023년 국가예산에서 8,400달러로 계획되었으나 현재 세계 시장에서 9,000달러 수준이며, 향후 11,000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예측이 현실화되면 수출액은 약 6억 달러에 달할 수 있다.</div><div>2023년에는 석탄과 금 가격이 매우 유리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석탄을 철도로 운송하기 시작하여 수출이 증가했다. 지난해 3170만톤의 석탄이 수출됐다. 지난 4월 예산 수정 당시에는 1800만t 수출을 계획했지만, 이 증액은 철도가 가동되는 것과 직결된다.</div><div>해외 부채 관리 개혁을 위한 중요한 시기</div><div>재정 적자와 대외 부채 증가로 인해 GDP 성장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몽골이 대외채무로 국제수지 적자를 메우면서 대외채무 총액은 10년 전보다 2.2배 늘었고 지난해 3분기에는 324억 달러에 달했다.</div><div>B. Javhlang 재무장관에 따르면 정부 외채는 81억 달러로 몽골 전체 외채 333억 달러의 24%를 차지한다. 따라서 부채 관리를 개혁해야 할 때다.</div><div>세계은행 상주 대표 Andrey Mikhnev는 외채가 2023년 몽골 정부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중국의 국경 세관, 러시아에서 수입된 연료, "오유톨고이" 프로젝트의 시행 등 몇 가지 요인에 따라 몽골 경제가 취약하다고 경고했다.</div><div>Hannes A. Takacs 유럽부흥개발은행 상주 대표는 "2023년 예산은 광물 수출 전망에 따라 결정된다. 수출이 목표 수준에 미치지 못하면 예산 적자는 예상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2023년에는 수출이 전염병 이전 수준에 도달하고 성장률은 7%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div><div>News.mn 23.03.04</div><div>식품 혁명 틀 내에서 최대 1조투구릭 자금 제공.</div><div>U.Khurelsukh대통령이 주도하는 "식량 공급 및 안보" 국가 운동의 틀 내에서 "식량 및 농업 분야의 부 창출자 회의"가 국가 궁전에서 개최되고 있다.</div><div>국민운동의 틀 안에서 앞으로 5년 안에 19개 주력식품의 국내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켜 식품수출국이 되고 동물의 질병이 없는 건강한 지역을 만들자는 목표를 제시했다.</div><div>시중은행을 포함한 금융 부문은 국민 운동을 지원, 2023년 최대 1조투그릭의 저리 장기 자금을 제공했다.</div><div>의회 결의안 36호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 식품 및 농업 부문에 1조 7000억투그릭을 투자하기로 결정했으며 정부는 특정 의무와 임무를 부여 받았다.</div><div>의회는 특별임시위원회를 구성하고 계획된 정책 및 조치를 지역 개발 정책과 신중하게 조정하고, 인적 자원의 준비, 자금 조달의 세부적 해결, 관리 및 조직을 개선하는 일을 정부에 맡겼다.</div><div>News.mn 23.03.04</div><div>Beauty Expo 전시회에서 한국 브랜드 제품 25개를 몽골 시장에 선보여.</div><div>몽골 뷰티·헬스 분야 최대 규모 행사인 ' 뷰티 엑스포 2023'이 2년째 미셸 엑스포 센터에서 열렸다. </div><div>이번 전시회에는 10여 개국 100개 이상의 뷰티 분야 기업들이 참가해 자사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할인 및 프로모션 가격으로 판매했다.</div><div>코트라(KOTRA)는 이달 3~5일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 25개 기업의 제품을 선보였다.</div><div>한국의 주요 정부 기관인 KOTRA는 85개국에서 127개 무역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산품을 해외로 수출하고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인을 지원한다. </div><div>KOTRA는 1962년 설립되어 2013년 몽골에 정식 개관을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양국 간의 경제, 비즈니스 및 보건 협력을 확대하는 분야에서 많은 프로젝트가 실행되었다. 이번 엑스포에 한국 화장품을 몽골 시장에 홍보하고 소개하기 위해 행사에 참여했다.</div><div>"한국산이 몽골 날씨에 가장 적합"</div><div>대한민국 KOTRA 울란바타르 무역관장은 “뷰티엑스포에 올해로 2회째 참가한다. 기업 제품을 홍보하고 시민들에게 판매하고 있다.</div><div>올해 행사는 더 크고 분주하다. 저희가 소개하는 스킨케어 제품은 주로 40대 이상의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젊은 세대는 메이크업 제품에 더 관심이 많았다.</div><div>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25개 브랜드 중 15개 브랜드는 몽골 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였다.</div><div>전 연령대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div><div>또한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비건 화장품이 관심을 가지고 사용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런 형태의 제품이 몽골 시장에도 소개된 것이다. </div><div>시민들에게 각 제품의 특징을 설명하고 관심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몽골 기후는 건조하기 때문에 한국산 스킨케어 제품이 가장 적합하다.</div><div>주름개선, 민감성, 여드름, 염증성 피부를 위한 다양한 제품과 미백, 리프팅 제품을 저희 전시관에서 만나보실 수 있다"고 말했다.</div><div>전시는 일요일까지 계속되며, 사람들은 자신에게 맞는 미용 및 건강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고 구매할 수 있다. </div><div>주소: Ulaanbaatar Khan-Uul District 15th District Mahatma Gandhi Street Khan Tower 23층</div><div>연락처: 77110140</div><div>페이스북: <a href="http://www.facebook.com/ulaanbaatar.kotra">www.facebook.com/ulaanbaatar.kotra</a></div><div>Ikon.mn 23.03.04</div><div><br></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832.jpg" title="16778128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848.jpg" title="167781284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858.jpg" title="167781285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868.jpg" title="16778128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891.jpg" title="16778128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903.jpg" title="167781290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914.jpg" title="167781291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925.jpg" title="167781292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936.jpg" title="167781293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947.jpg" title="167781294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957.jpg" title="167781295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968.jpg" title="16778129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981.jpg" title="16778129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812994.jpg" title="1677812994.jpg"><br style="clear:both;">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684.jpg" title="16777286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695.jpg" title="167772869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709.jpg" title="1677728709.jpg"><br style="clear:both;">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393.jpg" title="1677728393.jpg"><br style="clear:both;"> <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425.jpg" title="167772842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437.jpg" title="16777284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453.jpg" title="167772845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465.jpg" title="167772846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477.jpg" title="167772847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499.jpg" title="167772849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511.jpg" title="167772851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526.jpg" title="167772852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539.jpg" title="167772853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560.jpg" title="167772856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572.jpg" title="16777285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584.jpg" title="16777285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728606.jpg" title="1677728606.jpg">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658850.jpg" title="1677658850.jpg"><br style="clear:both;">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658805.jpg" title="1677658805.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658821.jpg" title="1677658821.jpg"><br style="clear:both;">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553627.jpg" title="1677553627.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553643.jpg" title="1677553643.jpg"><br style="clear:both;">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7553337.jpg" title="1677553337.jpg"><br style="clear:both;"> </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