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23년05월20일 한인동포신문 몽골소식 |
|
작성자 : 관리자 |
2023.05.20 16:13:41, 조회 116 |
|
|
2023년05월20일 몽골소식 에너지 현실에 대해. B. Choijilsuren 에너지부 장관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프랑스 대통령이 몽골을 국빈 방문한다. 이 기간 동안 원자력 발전소 건설 문제가 논의되는가? -프랑스 대통령이 다음 일요일에 몽골을 방문할 예정이다. 방문 기간 동안 원자력 분야 발전에 관한 회담이 열릴 것이다. 처리되지 않은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몽골은 프랑스와 함께 이 분야에서 함께할 계획이다. -에너지 분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투자 유치는 어떻게? - 자유화는 에너지 부문의 시급한 목표다. 현행 가격이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시장 가격 체계가 확립되면 국내외 투자가 에너지 부문에 진출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국가는 스스로 부담을 지고 에너지 부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선택에 직면하게 된다. 2020년~ 2022년에는 세계적인 팬데믹으로 인해 에너지 부문의 가격 인상이 발생했다. 전쟁으로 인해 전기는 전략적 도구가 되었다. 지금은 서민생활이 어려운 만큼 경제가 먼저 안정되어야 한다. 2024년부터 경제 성장이 국민들의 삶에서 체감되기 시작하면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는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사실 비용이 시장에 의해 결정되고 매출도 시장에 의해 결정된다면 에너지 부문은 더 쉽게 발전할 것이다. 국가는 스스로 무거운 짐을 질 필요가 없다. 즉, 민간 투자가 에너지 부문에 진입하여 혜택을 받으면 숨을 쉴 수 있다. - 몽골은 에너지 의존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나? - 6~7개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Ongino 변전소에서 태양열 집열기 프로젝트가 가동되어 280MW를 충전하고 80MW의 에너지를 생산하여 그리드에 다시 공급할 것이다. 올해 12월 1일부터 시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2024년 1분기에 실행된다. 동부 발전소를 50MW 확장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올해 12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위의 조치를 취하면 110MW의 소스를 갖게 된다. 이 추가 소스로 2023-2024년 겨울 피크 부하를 넘길 것으로 본다. 그렇지 않으면 중국 내몽골 에너지 시스템에서 약 70MW를 수입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위의 세 가지 조치를 취하면 겨울을 무사히 지날 것이다. 우리는 2024~2025년에 Booriljuot 발전소를 가동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300MW 발전소가 가동되면 에너지 자원이 소비량을 초과하기 시작할 것이다. Tavantolgoi 발전소의 처음 두 블록이 2026년에 가동되고 Baganur 발전소의 첫 번째 400MW 블록이 2027년에 가동되면 2035년까지 소비량을 300MW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 장비를 차례로 중지하고 기술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몽골은 언제 에너지 수입을 중단할 것인가? -올해 TPP-3 증설이 합의되면 2030년까지 2개 블록을 가동한다. 따라서 몽골은 2030년까지 부족한 에너지를 수입해 메울 예정이다. News.mn 23.05.19 G7, 우크라이나 문제 공동성명 발표 일본 히로시마에서 시작된 G7 정상회담에서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정상이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 전쟁을 강력히 비난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약속했다. 공동 성명의 간략한 요약: -러시아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군대와 무기의 즉시 철수 -Zaporizhzhya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우크라이나 영토에 위치한 핵 시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 원자력기구 지원. -우크라이나 정부가 러시아의 침략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 -우크라이나 경제에 필요한 지원 및 다양한 금융 수단의 사용을 포함 전후 재건 지원 -우크라이나 정부가 시작한 부패와 사법 개혁에 대한 지지 표명. -침략 전쟁 자금을 차단하기 위해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 여기에는 러시아를 자체 경제에서 격리하고, 전쟁을 지원하는 사람들의 처벌, 다른 국가가 전쟁에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조성, 러시아의 수출 수입을 차단하는 것과 같은 조치가 포함된다. -우크라이나 점령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기록하고 지불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유럽 연합 및 유엔과 같은 국제기구와 협력할 의향이 있음을 표명했다. -전범의 책임을 묻기 위해 국제형사재판소 등 국제기구와 협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경제가 악화되고 식량난과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한 빈민국에 대한 원조를 늘리기로 합의. G7 정상들은 공동성명 말미에서 최단 시간 내에 우크라이나의 포괄적이고 강력하며 안정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 모든 정책과 수단을 총동원할 것을 약속했다. Ikon.mn 23.05.20 프랑스-몽골 협력 2025년 프랑스와 몽골 수교 60주년을 맞는다. 그러나 양국의 관계는 뭉크 칸(Munkh Khan) 치세에 프랑스 대사가 몽골에 왔을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역사적 기록이 있다. E.Macron 프랑스 대통령이 U.Khurelsukh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달 21, 22일 몽골을 국빈방문한다. 다음은 프랑스-몽골 협력의 58년에 대한 간략한 개요다. 고고학 - 20년 간의 협력의 틀 내에서 양국 연구원들은 17개의 기념물에서 몽골 역사의 모든 기간을 망라하는 광범위한 고고학적 탐사 및 발굴을 수행했다. 이 공동 프로젝트의 틀 내에서 5,000개 이상의 석기를 포함하여 총 6,000개 이상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양국의 고고학자들이 석기시대부터 징기스칸 시대까지 연구를 진행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방문 기간 내에서 E.Macron은 징기스칸 박물관을 방문한다.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수력 발전소 건설 부지를 정리하기 위해 에게 해 계곡에서 많은 기념물이 발굴되었다. 또한 몽골-프랑스 합동 고고학 탐험대가 몽골 알타이 지역에서 초기 철기시대 파지리크 문화 유목민의 매장지를 몽골 최초로 발굴했으며 지금까지 38개 기념물에서 200여 점의 유물이 발견됐다. 이 기념물은 많은 영역에 흩어져 있으며 목재, 가죽, 머리카락, 양모, 펠트 및 직물을 포함하여 유난히 잘 보존된 유기 제품을 갖춘 멋진 무덤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보건 몽골과 프랑스는 보건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의료 종사자, 의사 및 간호사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몽골에서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프랑스 의료 전문가는 몽골의 내시경 관상 심장 확장 수술 및 무릎 및 고관절 교체 수술 등 몽골에 많은 새로운 분야를 도입했다. 교육 몽골은 주로 교육, 문화, 과학 분야에서 프랑스와 협력하고 있다. 몽골이 독립을 되찾은 후인 1925년에 몽골 젊은이들은 서방 국가에서 교육을 받았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몽골 학생들이 프랑스에서 공부했다. 또한 양국 정부의 공동 교육 장학금이 발표되었다. 한편 Sebastien Surun 주몽골프랑스 특명전권대사는 언론에 몽골국립대학교와 프랑스 대학 사이에 프랑스에서 온 학생들의 몽골 유학에 관한 회담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농업 프랑스는 농업 발전 측면에서 유럽을 선도하는 국가다. 지난 4월 몽골을 방문한 마르크 페뉴 프랑스 농식품부 장관은 몽골 캐시미어 기업들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랑스 브랜드 '샤넬', '에르메스'와 협력 협약을 시작한다고 몽골인들에게 알렸다. 예술과 문화 문화예술 분야, 특히 영화 분야 협력도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제 영화제는 매년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된다. 프랑스 문화 기관 및 프랑스 영화 제작자들이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울란바토르 울란바타르시 관리는 혼잡과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 프랑스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Poma 회사와 양해 각서에 서명했다. Poma사는 세계 최대의 항공 케이블 운송 제조업체다. 이 회사는 파리, 뉴욕, 라틴 아메리카 국가와 같은 세계 주요 도시에서 공중 케이블카를 구축하고 도입한 경험이 있다. 우라늄 부문 프랑스와 몽골 정부의 합작 회사인 Badrah Energy는 몽골에서 우라늄 분야를 운영하고 있다. 관광 여행: 매년 몽골을 방문하는 프랑스 관광객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16년 7,000명이 몽골을 찾았고, 2017년에는 8,000명, 2018년에는 10,000명으로 증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News.mn 23.05.20 개발 프로젝트에서 KOICA와 협력 논의 D.Soumyaabazar 울란바토르 시장은 이윤용 한국국제협력기구(KOICA) 이사장을 만났다. 1995년 울란바토르에 사무소를 개설한 이래로 이 단체는 도시의 사회 경제적 발전에 기여한 많은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시행해 왔다. D.Sumyaabazar 울란바토르 시장은 “과거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는 많은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시행한 KOICA에 감사드린다. 시 당국은 협력 사업의 시행과 결실, 한국의 기술 및 기술 솔루션의 현지화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앞으로 울란바토르시의 발전에 기여할 주요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시행하고자 한다."라고 했다. KOICA 이윤용 이사장은 “대한민국 국제협력기구는 1991년 설립됐다. 총 3억 달러의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이 몽골에서 시행되었다. 이 중 현재 10개의 지속가능발전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동시에 훈련 및 역량 강화 과정이 정기적으로 실시되며 207명의 몽골 군인이 한국에서 훈련을 받고 있다.” 라고 했다 회의에서 D.Sumyabazar 울란바토르 시장은 수도에서 시행할 건설, 경제 및 비즈니스 프로젝트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했다. 예를 들어 그는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순환 도로와 경전철 건설을 강조했다. 당사자들은 미래 협력의 틀 내에서 세 가지 방향으로 함께 일할 가능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좋은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교통 혼잡을 줄이며 녹색 개발 프로젝트를 시행할 것이다. 또한 울란바토르의 대규모 건설 연구 협력 방향, 타당성 조사 갱신, 작업 및 기술 설계, 혁신의 현지화, 기술 솔루션 도입에 대해 논의했다. 덧붙여서, KOICA가 2024년에 실시할 사업 제안의 1단계에서는 중등학교 주변의 교통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스쿨존" 사업이 선정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틀 내에서 학교 주변 300m 반경의 도로 표지판, 표시 및 도로 구조물은 국제 표준에 따라 만들어지고 학교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통 서비스 관리가 도입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프로젝트는 수도의 6개 지역에 있는 16개의 일반 교육 학교 주변에 "스쿨존"을 구축하는 것을 구상하고 있다.
대중 교통 지불 시스템 개발 D.Soumyaabazar 울란바토르 시장은 공식 임무의 일환으로 T-Moni JSC의 Kim Tae Kyg 대표를 만났다. 당사자들은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을 줄이는 맥락에서 대중 교통 지불 시스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한국 서울과 같은 주요 도시에서 대중교통 결제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 회사는 이 분야에서 울란바토르와 협력하고 있다. D.Sumyaabazar울란바토르 시장은 “수도에서 택시를 늘리고 표준에 맞추기 위한 조치도 취해질 것이다. 1단계에서는 국제규격의 택시 2,000대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도시에서 진행되는 다른 개발뿐만 아니라 대중 교통 결제 시스템을 개선하고 이러한 방향으로 새로운 솔루션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결제 카드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인프라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관계는 주 및 도시 협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울란바토르 시가 이를 지원하는 이유다. T-Moni JSC의 김태기 대표의 공식 방문 기간 동안 T-Moni 의 활동을 알게 되어 감사드린다. 오랜만에 울란바토르 대중교통 결제 서비스 '유머니(U Money)'와 협력하게 되었다. 초기에 당면한 표준 및 인프라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후 대중교통을 위한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서울, 울란바토르, 조직 간의 협력은 새로운 차원에 도달할 것이다”라고 했다.. S.Javkhlantbaatar 대중교통부장은 "회사와 협력해 울란바토르에서 대중교통 결제 시스템이 도입된 지 7년이 됐다. 이 기간 동안 300만 개 이상의 카드가 판매되었으며 수도에서 매일 140만 개 이상의 결제가 이 카드로 이루어진다. 간담회에서는 향후 울란바토르에 도입될 대형 차량과 택시 서비스에 '유머니' 카드를 다기능화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는 것 외에도 주차비를 내는 등 많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 대중 교통국은 이러한 방향으로 협력하고 기술과 솔루션을 도입하기 위해 대한민국 T-Moni와 협력 각서를 체결했다. Unuudur. 23.05.20 Chingeltei 오래된 아파트의 m2당 평균 가격이 417만투구릭 울란바토르시의 올해 4월 주택 가격을 통계청이 발표했다. 올 4월 기준 울란바토르 아파트 평균가격은 지난해 동기 대비 9.9%, 전월 대비 0.2% 올랐다. 예를 들어, 새 아파트의 평방미터당 평균 가격은 353만투구릭이고 최고 가격은 Khan-Uul 지역에서 384만투구릭이다. 6개 지역 신규주택 평당 평균가격을 나타내면, -Khan-Uul 지역 384만투구릭 -수흐바타르 지역 365만투구릭 -Chingeltai 지역 347만투구릭 -바양골 지역 323만투구릭 -Bayanzurkh 지역 303만투구릭 -Songinokhairkhan 지역 261만투구릭이다. 오래된 아파트의 m2당 평균가격은 334만투구릭이며 최고 가격은 Chingiltei 417만투구릭이다. Chingeltai 지역 417만투구릭 Khan-Uul 지역 377만투구릭 수흐바타르 지구 370만투구릭 Bayanzurkh 지구 315만투구릭 바얀골 지구 298만투구릭 Songinohairkhan 지역 254만투구릭이다. Chingeltei 지역의 오래된 아파트의 평방미터당 가격은 3월에 369만투구릭이었으나 4월에 48aks투구릭 상승했다. 그러나 Sukhbaatar 지역의 오래된 아파트 1m2 가격은 29만투구릭 하락했다. Ikon.mn 23.05.19 내년 수출 목표 142억 달러 목요일 국회 본회의가 시작되었다. 회의에서는 2024년 예산안과 2025~2026년 예산안 초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 법안을 B. Javhlan 재무장관이 발표했다. 그는 "부채 불이행의 위험을 완전히 피했다. 몽골은 처음으로 석탄을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7960만 달러의 이익이 났으며 외환보유액은 올해 4월 기준 37억 달러다 경제 성장률은 2019년 팬데믹 이전 수준에서 2023년에 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말에는 계획 수입이 계획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는 수출을 늘리는 사업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는 "2024년에는 수출 142억 달러, 무역흑자 43억 달러, 경제를 6.5% 성장시킬 것으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Ikon.mn 23.05.19
|
|
|
|
<p> </p><div><b style="color: rgb(88, 88, 88); font-family: 돋움;">2023년05월22일 몽골소식</b><b style="color: rgb(88, 88, 88); font-family: 돋움;"> </b></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 </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Macron 프랑스 대통령 국빈방문 공동 선언문</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Ukhnaagi Khurelsukh 몽골 대통령과 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이 공식 회담 결과를 발표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정상들은 회담이 관계 발전과 협력을 위해 매우 중요한 회담이었다고 언급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그들은 몽골과 프랑스의 관계와 협력, 국제 관계의 시급한 문제에 대해 상세한 의견을 교환하고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을 선언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또 양국간 전통적 우호관계를 단계적으로 격상해 '전략적동반자관계'로 이끌어가는 데 대해 논의했다고 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무역과 경제협력 확대.</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U.Khurelsukh 대통령은 유럽 연합과 체결한 파트너십 및 협력 협정의 틀 내에서 프랑스와의 무역 및 경제 협력을 확대하고 투자를 늘리는 것이 몽골 외교 정책의 중요한 전략 및 목표 중 하나임을 확인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상생 프로젝트의 공동 추진.</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양측은 양국 관계의 상징인 대규모 호혜적 전략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건강, 교육, 문화 및 과학, 농업, 식품, 에너지, 환경, 재난관리 분야 협력을 더욱 확대·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우주 연구 협력 </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양측은 평화적 목적을 위해 우주 및 통신 위성에서 협력을 확대하며 이에 몽골우주국은 국가 위성 발사 분야에 적극 협력할 예정.</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함께 기후변화에 맞서 싸우자</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파리 협정이 부여한 의무와 약속을 이행한다는 목표의 틀 내에서 우리는 원자력 에너지와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함께 할 것이다. 몽골의 ‘10억 그루 나무 심기’ 전국 운동과 프랑스의 "산림 정상 회의"의 이니셔티브가 조정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프랑스 측은 2026년 울란바토르에서 열리는 제17차 유엔사막화방지협약 당사국총회를 지지한다고 밝혔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U.Khurelsukh 대통령과 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의 몽골 국빈 방문 결과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이 선언이 양국 간의 관계와 협력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서라고 언급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양국 대통령의 공동선언:</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양국간 협력은 정치, 국방, 민방위, 경제, 무역, 투자, 에너지, 농업, 통신, 기술, 산업화, 교육, 과학, 문화, 체육 분야에서 강화될 것이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정치적 협력의 틀 안에서 최고위급의 상호 방문이 이루어질 것이며, 정치적 협의와 의회 간 우호 단체 간의 적극적인 관계가 지원될 것이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유엔 및 기타 국제기구 내에서 정기적으로 평화와 안보, 국제법, 사막화 및 기후 변화 퇴치, 페미니스트 외교 및 국제기구 선거와 같은 문제에 대해 협의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우리는 국방 분야, 특히 연례 국제 평화 유지 작전인 "킹스 퀘스트"와 유엔 평화 유지 작전의 훈련과 연습에서 양국 간의 협력을 계속하며 몽골군의 역량강화, 불어 훈련 편성, 전문화 등의 분야로 확대될 예정이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시민 보호 분야에서 구현된 프로젝트를 지속하고, 몽골 비상 상황 총국(NEGA)과 프랑스 시민 안보 및 재난 관리 총국 간의 협력을 강화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경제 협력의 틀에서 몽골과 프랑스는 특히 무역 규모 증가, 외국인 투자, 사업 수행을 위한 유리하고 안정적인 법적 환경 조성을 지원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몽골과 유럽 연합 간의 파트너십 및 협력 협정을 기반으로 몽골과 프랑스 간의 경제 관계를 심화하고 무역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일반 시스템 /GSP+/를 완전히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평화를 위한 우주과학 및 통신위성 분야 협력 확대</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지속 가능한 개발 부문을 특히 중요시하는 친환경 항공 운송 프로젝트는 프랑스의 자금과 지원을 받아 울란바토르에서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기후 변화와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 목표와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고 몽골의 "10억 그루의 나무" 국민 운동과 프랑스의 "Forest Summit"이 시작한 이니셔티브에 협력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에너지 부문 협력의 틀에서 "Badrah Energy LLC"의 Zoevch-Ovoo 프로젝트 투자와 주주 동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대화를 촉진하고 내년 가을에 진행한다. 또한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프랑스 투자 지원 및 확대, 에너지원 다양화, 청정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외상 및 종양 전문의 교류를 지원하고 역량 강화 기회를 모색, 보건 분야 협력을 확대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교육, 과학 및 문화 교류를 심화한다. 또한 농업, 생명공학,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평화로운 방사성 광물 분야의 인력을 늘리기 위해 '대통령 메시지-2100' 이니셔티브와 공동장학연수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프랑스에서의 몽골어 연수, 몽골에서의 프랑스어 연수를 전폭적으로 지원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문화와 고고학 분야의 협력을 강화한다. 국가 원수들은 프랑스 낭트의 국립역사박물관에서 열리는 "칭기스칸: 몽골인들이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전시회를 후원한다. 우리는 몽골 및 기타 국가에서 전시회를 개최하는 데 협력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영화 촬영 분야에서 공동 작품을 만들고 이러한 맥락에서 필요한 법적 환경을 조성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관광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고 몽골과 프랑스 간의 직항편 개설을 지원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몽골은 프랑스 측의 2024년 파리 국제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체육 협력을 지원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Ikon.mn 23.05.22</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미국, 청정 에너지를 지원하기 위한 원조 프로그램 발표</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미국 국제 개발청(USAID)은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여 몽골의 경제 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재정 지원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해 몽골 에너지 연구 및 혁신 기금(MERI)을 출범했다. EL 프로그램은 몽골의 에너지 거버넌스를 개선하기 위한 5개년, 1,200만 달러 자금 지원 프로젝트의 일부이며 이 부문을 보다 유연하고 지속 가능하도록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의 틀 내에서 이 부문은 보다 경쟁력 있고 재정적으로 안정되도록 개발되어 경제적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국내 전력 공급을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게 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IDA 개발 부 고문 Steve Winkates는 "우리는 미국 정부가 에너지 부문의 강력한 생태계 구축, 몽골 조직의 제도적 및 인적 자원 권한 부여, 산업 개혁, 전환을 지원하는 도구 개발을 위한 자금을 제공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IDA는 원조 프로그램 내에서 에너지 부문 전환 지원 조직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싱크 탱크, 컨설팅 회사, NGO, 민간 부문, 연구 및 기타 관련 조직에 보조금을 제공한다.”라고 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울란바토르 시장 서울 방문</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많은 몽골 시민들이 한국에서 계약 노동자로 살고있으며 또한 공부하고 있다. 따라서 몽골 시민들을 위한 상호 합의와 기회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이에 D.Soumyaabazar울란바토르 시장이 이달 16~18일 대한민국 서울을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두 도시는 투자와 교역 증대, 기후변화 대응,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이에 대해 시장실은 "시장 임기 중 비자가 만료된 한국과 몽골 국민에게 기회를 주는 방안을 논의했다. 3대 당국은 양측 모두 인권침해를 하지 않고 노동 안전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단호한 대응을 내놨다. 김현기 서울시민대표회의장, 오세훈 서울시장, 대한민국 여당인 국민의힘 지도부가 몽골에서 자국민 협박을 당하는 문제를 논의했다. . 아직까지 공식적인 결정은 나오지 않았지만 국민의 권익을 침해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신중히 임하겠다고 말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외교부가 제공한 정보에 따르면 "2022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대한민국 출입국 관리소에서 발표한 몽골 국민은 53,038명이다. "이 숫자에는 비자가 시민이 포함된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한국, 매년 사증 만료 외국인 사면</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비자 없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3만2000여명이 지난해 12월 특별사면을 받고 출국했다. 법무부에 따르면 국내에 체류 중인 미등록 외국인은 약 41만 명으로 이 중 8%인 3만2026명이 지난해 귀국했다. 프로그램 틀 내에서 자진 출국한 사람들은 최대 3000만 원(2만4000달러)의 벌금을 면제받았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미등록 외국인은 41만2000명 이상으로 늘었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이 숫자는 180,000명 미만이었다.</b></span></font></div><div><font color="#585858" face="돋움"><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b>올해 1월 법무부는 지난해 10월과 11월 국내 불법체류자 검거·송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만 명 이상을 추방했다고 발표했다. 국내에서 불법적으로 거주하고 일하는 외국인을 추방하는 프로그램은 대유행으로 인해 잠시 중단되었으나 지난 10월 재개되었다. 추방된 사람 중 태국 1441명, 베트남 814명, 중국 587명, 몽골 165명이었다. 자진 귀국한 7378명은 벌금이나 비자 제한 없이 사면을 받았다.</b></span></font></div><div><br></div><p> </p><p><b style="color: rgb(88, 88, 88); font-family: 돋움; 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span id="husky_bookmark_start_1684728723371"></span><span id="husky_bookmark_end_1684728723371"></span></b></p><p><b style="color: rgb(88, 88, 88); font-family: 돋움; 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span id="husky_bookmark_start_1684728711608"></span><span id="husky_bookmark_end_1684728711608"></span></b></p><p><b style="color: rgb(88, 88, 88); font-family: 돋움; background-color: rgb(248, 248, 248);"><span id="husky_bookmark_start_1684728697503"></span><span id="husky_bookmark_end_1684728697503"></span></b></p>
|
<p> </p><div>2023년05월20일 몽골소식</div><div> </div><div>에너지 현실에 대해.</div><div>B. Choijilsuren 에너지부 장관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div><div>-프랑스 대통령이 몽골을 국빈 방문한다. 이 기간 동안 원자력 발전소 건설 문제가 논의되는가?</div><div>-프랑스 대통령이 다음 일요일에 몽골을 방문할 예정이다. 방문 기간 동안 원자력 분야 발전에 관한 회담이 열릴 것이다. 처리되지 않은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몽골은 프랑스와 함께 이 분야에서 함께할 계획이다.</div><div>-에너지 분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투자 유치는 어떻게?</div><div>- 자유화는 에너지 부문의 시급한 목표다. 현행 가격이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시장 가격 체계가 확립되면 국내외 투자가 에너지 부문에 진출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국가는 스스로 부담을 지고 에너지 부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선택에 직면하게 된다. 2020년~ 2022년에는 세계적인 팬데믹으로 인해 에너지 부문의 가격 인상이 발생했다. 전쟁으로 인해 전기는 전략적 도구가 되었다.</div><div>지금은 서민생활이 어려운 만큼 경제가 먼저 안정되어야 한다. 2024년부터 경제 성장이 국민들의 삶에서 체감되기 시작하면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는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div><div>사실 비용이 시장에 의해 결정되고 매출도 시장에 의해 결정된다면 에너지 부문은 더 쉽게 발전할 것이다. 국가는 스스로 무거운 짐을 질 필요가 없다. 즉, 민간 투자가 에너지 부문에 진입하여 혜택을 받으면 숨을 쉴 수 있다.</div><div>- 몽골은 에너지 의존도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나?</div><div>- 6~7개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Ongino 변전소에서 태양열 집열기 프로젝트가 가동되어 280MW를 충전하고 80MW의 에너지를 생산하여 그리드에 다시 공급할 것이다. 올해 12월 1일부터 시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2024년 1분기에 실행된다.</div><div>동부 발전소를 50MW 확장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올해 12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위의 조치를 취하면 110MW의 소스를 갖게 된다. 이 추가 소스로 2023-2024년 겨울 피크 부하를 넘길 것으로 본다. 그렇지 않으면 중국 내몽골 에너지 시스템에서 약 70MW를 수입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div><div>위의 세 가지 조치를 취하면 겨울을 무사히 지날 것이다. 우리는 2024~2025년에 Booriljuot 발전소를 가동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300MW 발전소가 가동되면 에너지 자원이 소비량을 초과하기 시작할 것이다.</div><div>Tavantolgoi 발전소의 처음 두 블록이 2026년에 가동되고 Baganur 발전소의 첫 번째 400MW 블록이 2027년에 가동되면 2035년까지 소비량을 300MW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 장비를 차례로 중지하고 기술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div><div>-몽골은 언제 에너지 수입을 중단할 것인가?</div><div>-올해 TPP-3 증설이 합의되면 2030년까지 2개 블록을 가동한다. 따라서 몽골은 2030년까지 부족한 에너지를 수입해 메울 예정이다.</div><div>News.mn 23.05.19</div><div>G7, 우크라이나 문제 공동성명 발표</div><div>일본 히로시마에서 시작된 G7 정상회담에서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정상이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div><div>성명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 전쟁을 강력히 비난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약속했다.</div><div>공동 성명의 간략한 요약:</div><div>-러시아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군대와 무기의 즉시 철수</div><div>-Zaporizhzhya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우크라이나 영토에 위치한 핵 시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 원자력기구 지원.</div><div>-우크라이나 정부가 러시아의 침략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div><div>-우크라이나 경제에 필요한 지원 및 다양한 금융 수단의 사용을 포함 전후 재건 지원</div><div>-우크라이나 정부가 시작한 부패와 사법 개혁에 대한 지지 표명.</div><div>-침략 전쟁 자금을 차단하기 위해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 여기에는 러시아를 자체 경제에서 격리하고, 전쟁을 지원하는 사람들의 처벌, 다른 국가가 전쟁에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조성, 러시아의 수출 수입을 차단하는 것과 같은 조치가 포함된다.</div><div>-우크라이나 점령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기록하고 지불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유럽 연합 및 유엔과 같은 국제기구와 협력할 의향이 있음을 표명했다.</div><div>-전범의 책임을 묻기 위해 국제형사재판소 등 국제기구와 협력.</div><div>-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경제가 악화되고 식량난과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한 빈민국에 대한 원조를 늘리기로 합의.</div><div>G7 정상들은 공동성명 말미에서 최단 시간 내에 우크라이나의 포괄적이고 강력하며 안정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 모든 정책과 수단을 총동원할 것을 약속했다.</div><div>Ikon.mn 23.05.20</div><div>프랑스-몽골 협력</div><div>2025년 프랑스와 몽골 수교 60주년을 맞는다. 그러나 양국의 관계는 뭉크 칸(Munkh Khan) 치세에 프랑스 대사가 몽골에 왔을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역사적 기록이 있다.</div><div>E.Macron 프랑스 대통령이 U.Khurelsukh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달 21, 22일 몽골을 국빈방문한다. 다음은 프랑스-몽골 협력의 58년에 대한 간략한 개요다.</div><div>고고학 </div><div>- 20년 간의 협력의 틀 내에서 양국 연구원들은 17개의 기념물에서 몽골 역사의 모든 기간을 망라하는 광범위한 고고학적 탐사 및 발굴을 수행했다. 이 공동 프로젝트의 틀 내에서 5,000개 이상의 석기를 포함하여 총 6,000개 이상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양국의 고고학자들이 석기시대부터 징기스칸 시대까지 연구를 진행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방문 기간 내에서 E.Macron은 징기스칸 박물관을 방문한다.</div><div>1994년부터 1999년까지 수력 발전소 건설 부지를 정리하기 위해 에게 해 계곡에서 많은 기념물이 발굴되었다. 또한 몽골-프랑스 합동 고고학 탐험대가 몽골 알타이 지역에서 초기 철기시대 파지리크 문화 유목민의 매장지를 몽골 최초로 발굴했으며 지금까지 38개 기념물에서 200여 점의 유물이 발견됐다. 이 기념물은 많은 영역에 흩어져 있으며 목재, 가죽, 머리카락, 양모, 펠트 및 직물을 포함하여 유난히 잘 보존된 유기 제품을 갖춘 멋진 무덤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div><div>보건</div><div>몽골과 프랑스는 보건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의료 종사자, 의사 및 간호사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몽골에서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프랑스 의료 전문가는 몽골의 내시경 관상 심장 확장 수술 및 무릎 및 고관절 교체 수술 등 몽골에 많은 새로운 분야를 도입했다.</div><div>교육</div><div>몽골은 주로 교육, 문화, 과학 분야에서 프랑스와 협력하고 있다. 몽골이 독립을 되찾은 후인 1925년에 몽골 젊은이들은 서방 국가에서 교육을 받았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몽골 학생들이 프랑스에서 공부했다. 또한 양국 정부의 공동 교육 장학금이 발표되었다. 한편 Sebastien Surun 주몽골프랑스 특명전권대사는 언론에 몽골국립대학교와 프랑스 대학 사이에 프랑스에서 온 학생들의 몽골 유학에 관한 회담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div><div>농업</div><div>프랑스는 농업 발전 측면에서 유럽을 선도하는 국가다. 지난 4월 몽골을 방문한 마르크 페뉴 프랑스 농식품부 장관은 몽골 캐시미어 기업들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랑스 브랜드 '샤넬', '에르메스'와 협력 협약을 시작한다고 몽골인들에게 알렸다.</div><div>예술과 문화</div><div>문화예술 분야, 특히 영화 분야 협력도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제 영화제는 매년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된다. 프랑스 문화 기관 및 프랑스 영화 제작자들이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div><div>울란바토르</div><div>울란바타르시 관리는 혼잡과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 프랑스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Poma 회사와 양해 각서에 서명했다. Poma사는 세계 최대의 항공 케이블 운송 제조업체다. 이 회사는 파리, 뉴욕, 라틴 아메리카 국가와 같은 세계 주요 도시에서 공중 케이블카를 구축하고 도입한 경험이 있다.</div><div>우라늄 부문</div><div>프랑스와 몽골 정부의 합작 회사인 Badrah Energy는 몽골에서 우라늄 분야를 운영하고 있다.</div><div>관광 여행:</div><div>매년 몽골을 방문하는 프랑스 관광객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16년 7,000명이 몽골을 찾았고, 2017년에는 8,000명, 2018년에는 10,000명으로 증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div><div>News.mn 23.05.20</div><div>개발 프로젝트에서 KOICA와 협력 논의</div><div>D.Soumyaabazar 울란바토르 시장은 이윤용 한국국제협력기구(KOICA) 이사장을 만났다. 1995년 울란바토르에 사무소를 개설한 이래로 이 단체는 도시의 사회 경제적 발전에 기여한 많은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시행해 왔다.</div><div>D.Sumyaabazar 울란바토르 시장은 “과거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는 많은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시행한 KOICA에 감사드린다. 시 당국은 협력 사업의 시행과 결실, 한국의 기술 및 기술 솔루션의 현지화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앞으로 울란바토르시의 발전에 기여할 주요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시행하고자 한다."라고 했다.</div><div>KOICA 이윤용 이사장은 “대한민국 국제협력기구는 1991년 설립됐다. 총 3억 달러의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이 몽골에서 시행되었다. 이 중 현재 10개의 지속가능발전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동시에 훈련 및 역량 강화 과정이 정기적으로 실시되며 207명의 몽골 군인이 한국에서 훈련을 받고 있다.” 라고 했다</div><div>회의에서 D.Sumyabazar 울란바토르 시장은 수도에서 시행할 건설, 경제 및 비즈니스 프로젝트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했다. 예를 들어 그는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순환 도로와 경전철 건설을 강조했다.</div><div>당사자들은 미래 협력의 틀 내에서 세 가지 방향으로 함께 일할 가능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좋은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교통 혼잡을 줄이며 녹색 개발 프로젝트를 시행할 것이다. 또한 울란바토르의 대규모 건설 연구 협력 방향, 타당성 조사 갱신, 작업 및 기술 설계, 혁신의 현지화, 기술 솔루션 도입에 대해 논의했다.</div><div>덧붙여서, KOICA가 2024년에 실시할 사업 제안의 1단계에서는 중등학교 주변의 교통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스쿨존" 사업이 선정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틀 내에서 학교 주변 300m 반경의 도로 표지판, 표시 및 도로 구조물은 국제 표준에 따라 만들어지고 학교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통 서비스 관리가 도입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 프로젝트는 수도의 6개 지역에 있는 16개의 일반 교육 학교 주변에 "스쿨존"을 구축하는 것을 구상하고 있다.</div><div><br></div><div>대중 교통 지불 시스템 개발</div><div>D.Soumyaabazar 울란바토르 시장은 공식 임무의 일환으로 T-Moni JSC의 Kim Tae Kyg 대표를 만났다. 당사자들은 울란바토르의 교통 혼잡을 줄이는 맥락에서 대중 교통 지불 시스템 개선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한국 서울과 같은 주요 도시에서 대중교통 결제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 회사는 이 분야에서 울란바토르와 협력하고 있다. </div><div>D.Sumyaabazar울란바토르 시장은 “수도에서 택시를 늘리고 표준에 맞추기 위한 조치도 취해질 것이다. 1단계에서는 국제규격의 택시 2,000대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도시에서 진행되는 다른 개발뿐만 아니라 대중 교통 결제 시스템을 개선하고 이러한 방향으로 새로운 솔루션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결제 카드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인프라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관계는 주 및 도시 협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울란바토르 시가 이를 지원하는 이유다. </div><div>T-Moni JSC의 김태기 대표의 공식 방문 기간 동안 T-Moni 의 활동을 알게 되어 감사드린다. 오랜만에 울란바토르 대중교통 결제 서비스 '유머니(U Money)'와 협력하게 되었다. 초기에 당면한 표준 및 인프라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후 대중교통을 위한 스마트카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서울, 울란바토르, 조직 간의 협력은 새로운 차원에 도달할 것이다”라고 했다..</div><div>S.Javkhlantbaatar 대중교통부장은 "회사와 협력해 울란바토르에서 대중교통 결제 시스템이 도입된 지 7년이 됐다. 이 기간 동안 300만 개 이상의 카드가 판매되었으며 수도에서 매일 140만 개 이상의 결제가 이 카드로 이루어진다. 간담회에서는 향후 울란바토르에 도입될 대형 차량과 택시 서비스에 '유머니' 카드를 다기능화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는 것 외에도 주차비를 내는 등 많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iv><div>수도 대중 교통국은 이러한 방향으로 협력하고 기술과 솔루션을 도입하기 위해 대한민국 T-Moni와 협력 각서를 체결했다. </div><div>Unuudur. 23.05.20</div><div>Chingeltei 오래된 아파트의 m2당 평균 가격이 417만투구릭</div><div>울란바토르시의 올해 4월 주택 가격을 통계청이 발표했다. </div><div>올 4월 기준 울란바토르 아파트 평균가격은 지난해 동기 대비 9.9%, 전월 대비 0.2% 올랐다. 예를 들어, 새 아파트의 평방미터당 평균 가격은 353만투구릭이고 최고 가격은 Khan-Uul 지역에서 384만투구릭이다.</div><div>6개 지역 신규주택 평당 평균가격을 나타내면, </div><div>-Khan-Uul 지역 384만투구릭</div><div>-수흐바타르 지역 365만투구릭 </div><div>-Chingeltai 지역 347만투구릭</div><div>-바양골 지역 323만투구릭</div><div>-Bayanzurkh 지역 303만투구릭</div><div>-Songinokhairkhan 지역 261만투구릭이다. </div><div>오래된 아파트의 m2당 평균가격은 334만투구릭이며 최고 가격은 Chingiltei 417만투구릭이다.</div><div>Chingeltai 지역 417만투구릭</div><div>Khan-Uul 지역 377만투구릭</div><div>수흐바타르 지구 370만투구릭 </div><div>Bayanzurkh 지구 315만투구릭</div><div>바얀골 지구 298만투구릭</div><div>Songinohairkhan 지역 254만투구릭이다. </div><div>Chingeltei 지역의 오래된 아파트의 평방미터당 가격은 3월에 369만투구릭이었으나 4월에 48aks투구릭 상승했다. 그러나 Sukhbaatar 지역의 오래된 아파트 1m2 가격은 29만투구릭 하락했다. </div><div>Ikon.mn 23.05.19</div><div>내년 수출 목표 142억 달러 </div><div>목요일 국회 본회의가 시작되었다. 회의에서는 2024년 예산안과 2025~2026년 예산안 초안이 논의되고 있다. </div><div>이 법안을 B. Javhlan 재무장관이 발표했다.</div><div>그는 "부채 불이행의 위험을 완전히 피했다. 몽골은 처음으로 석탄을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7960만 달러의 이익이 났으며 외환보유액은 올해 4월 기준 37억 달러다</div><div>경제 성장률은 2019년 팬데믹 이전 수준에서 2023년에 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말에는 계획 수입이 계획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는 수출을 늘리는 사업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div><div>그는 "2024년에는 수출 142억 달러, 무역흑자 43억 달러, 경제를 6.5% 성장시킬 것으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div><div>Ikon.mn 23.05.19</div><div><br></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887.jpg" title="168446788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895.jpg" title="168446789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06.jpg" title="168446790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14.jpg" title="168446791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22.jpg" title="168446792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30.jpg" title="16844679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38.jpg" title="168446793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46.jpg" title="16844679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55.jpg" title="16844679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63.jpg" title="16844679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74.jpg" title="168446797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82.jpg" title="16844679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90.jpg" title="168446799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7997.jpg" title="168446799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05.jpg" title="16844680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13.jpg" title="16844680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21.jpg" title="168446802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29.jpg" title="168446802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37.jpg" title="16844680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49.jpg" title="168446804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63.jpg" title="16844680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70.jpg" title="168446807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78.jpg" title="168446807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86.jpg" title="168446808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094.jpg" title="168446809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103.jpg" title="168446810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111.jpg" title="168446811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119.jpg" title="168446811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132.jpg" title="16844681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139.jpg" title="168446813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153.jpg" title="168446815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468162.jpg" title="1684468162.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국토부, 몽골 울란바토르 운수권 신규 배분</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5-19T11:17:1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5-19</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날 열린 항공교통심의위원회에서 12개 노선의 운수권을 7개 국적항공사에 배분키로 결정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국토부는 ▲에어로K(청주·주 3회) ▲진에어(무안·주 3회) ▲티웨이항공(대구·주 3회)에 몽골 울란바토르 운수권을 신규 배분해 지방공항에서의 해당 노선을 대폭 늘렸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부산-울란바토르 노선도 기존 운항사인 에어부산 외에 제주항공에 주 3회를 추가 배분해 두 항공사의 경쟁체제를 유도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제주항공이 주 3회(비수기) 운항 중인 인천-울란바토르 노선의 경우 대한항공·아시아나·제주항공·티웨이항공(성수기)에 각각 주 1회 운수권을 추가 배분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국토부는 진에어(무안-상하이·주 6회), 에어로K(청주-마닐라·주 540석) 등의 운수권 배분으로 지역주민의 국제선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국토부는 한-러시아(에어로K·주 3회) 노선은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노선 다변화 등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밖에 국토부는 싱가포르 이원 5자유(대한항공·주 3단위, 에어인천·주 1단위), 한-필리핀(에어인천·주 100톤), 한-팔라우(에어인천·주 4회), 한-밀라노·로마·선택 2개 지점(대한항공, 주 3회) 등 화물 운수권도 배분했다.</p></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289.jpg" title="16843822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296.jpg" title="16843822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03.jpg" title="168438230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10.jpg" title="168438231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19.jpg" title="168438231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27.jpg" title="168438232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35.jpg" title="168438233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43.jpg" title="168438234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53.jpg" title="168438235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60.jpg" title="168438236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66.jpg" title="168438236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392.jpg" title="168438239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01.jpg" title="168438240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09.jpg" title="168438240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16.jpg" title="168438241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24.jpg" title="168438242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33.jpg" title="168438243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42.jpg" title="168438244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50.jpg" title="168438245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58.jpg" title="168438245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66.jpg" title="168438246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73.jpg" title="16843824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82.jpg" title="16843824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91.jpg" title="16843824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499.jpg" title="168438249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08.jpg" title="168438250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15.jpg" title="168438251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23.jpg" title="168438252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33.jpg" title="168438253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40.jpg" title="168438254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47.jpg" title="168438254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57.jpg" title="168438255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65.jpg" title="168438256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72.jpg" title="16843825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79.jpg" title="168438257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589.jpg" title="16843825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612.jpg" title="168438261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620.jpg" title="168438262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630.jpg" title="16843826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382638.jpg" title="1684382638.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울란바토르시장, 명예서울시민 위촉</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5-16T11:09:01+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5-16</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서울시가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시 돌고르수렌 소미야바자르 시장을 명예시민으로 위촉했다고 15일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청에서 소미야바자르 시장을 접견한 뒤 명예시민증을 수여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소미야바자르 시장은 “한국하고 몽골인들은 몽골반점을 갖고 태어나는 등 많은 유사한점이있다”며 “서울과 울란바토르의 협력관계가 더 발전하고 양국 시민들의 생활이 향상되는 등 새로운 단계에 올라설 수 있도록 책임감을 느끼며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오 시장은 “어느 날 만나서 1000일 동안 친구로 지낸다는 몽골 속담처럼 앞으로도 진정한 친구로 지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소미야바자르 울란바토르 시장님을 서울시 명예시민으로 위촉했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소미야바자르 시장은 3선 국회의원으로 국무위원 겸 광산중공업부 장관을 역임한 후 2000년부터 울란바토르 시장으로 재직하면서 서울과 울란바토르시 간 교통 분야와 공무원 역량 강화 사업 등을 통해 양 도시 우호협력 증진에 기여해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한편 ‘외국인 명예시민’은 서울에서 연속 3년 또는 누적 5년 이상 거주했거나 서울시를 방문한 주요 외빈을 대상으로 선정한다.</p></div><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몽골 방문 예정</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5-17T10:42:58+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5-17</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에마뉘엘 마크롱(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이 5월 21~22일 우크나긴 후렐수흐(Ukhnaagiin Khurelsukh) 몽골 대통령의 초청으로 몽골을 국빈방문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방문 기간 동안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공식 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발전 및 협력 확대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며 특히 투자 확대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그린 에너지, 도로교통, 보건, 농업, 문화, 교육, 인도주의 등 분야에서의 관계 확대와 상생협력사업 추진 등의 이슈가 회담의 화두가 될 전망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양국 정상은 ‘식량 혁명’, ’10억 그루의 나무’, ‘대통령 학자-2100’ 등 국가적 캠페인의 틀 안에서 협력을 논의하고 방문 결과를 언론에 브리핑할 예정이다.</p></div><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caffe conte(카페 콘테) 체인점 공식 오픈</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5-18T10:52:07+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5-18</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figure id="attachment_18041"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18041" class="wp-caption alignno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5px; text-align: center; max-width: 100%; width: undefined;"><img loading="lazy" class="wp-image-18041 size-full" src="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uy489x_12_x974.jpg" alt="" srcset="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uy489x_12_x974.jpg 160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uy489x_12_x974-600x400.jpg 60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uy489x_12_x974-1024x683.jpg 1024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uy489x_12_x974-768x512.jpg 768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uy489x_12_x974-1536x1024.jpg 1536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uy489x_12_x974-696x464.jpg 696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uy489x_12_x974-1068x712.jpg 1068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uy489x_12_x974-630x420.jpg 630w" sizes="(max-width: 1600px) 100vw, 1600px"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 1px solid rgb(225, 225, 225); max-width: 100%; height: 1067px; margin-bottom: 0px; width: 1600px; display: block;"><figcaption id="caption-attachment-18041" class="wp-caption-text"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Verdana, BlinkMacSystemFont, -apple-system, 'Segoe UI', Roboto, Oxygen, Ubuntu, Cantarell, 'Open Sans', 'Helvetica Neue', sans-serif; text-align: left; margin: 6px 0px 26px; font-size: 11px; font-style: italic; line-height: 17px; color: rgb(68, 68, 68);">@caffe conte</figcaption></figure><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커피숍 체인점인 Caffe Conte(이하, 카페 콘테)가 지난 17일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카페 콘테는 전통적인 몽골식 스타일과 유럽식 커피문화가 접목된 카페로, 직접 로스팅한 신선한 아라비카 커피와 맛있는 제품, 쾌적한 환경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커피 브랜드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카페 콘테의 우수한 커피맛을 제공하면서도 가격은 해외 브랜드에 비해 약 30%이상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해외에 로열티를 제공하지 않고 커피, 페이스트리 등의 모든 제품을 몽골 현지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도 안전하다고 관계자는 전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카페 폰테 체인점 개발에는 몽베이커리, 티아모, 카페베네, 뚜레주르 등의 해외 브랜드를 몽골에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팀이 참여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카페 폰테는 체인점 오픈에 드는 투자금이 해외 브랜드 카페에 비해 절반 밖에 들지 않기 때문에 투자금을 조기에 회수 있다고 강조했으며 통합적이고 강력한 마케팅 정책 실행으로 다른 커피숍과 차별화되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카페 폰테 체인점의 공식 오픈은 훈누2222의 첫번째 지점에서 이뤄졌으며 행사를 하는 동안 두번째 지점에 대한 계약을 마쳤다. 향후 5년 내에 전국 50개 체인점 개설이 목표다.</p></div><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전년대비 5.7% 증가</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5-18T11:05:20+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5-18</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몽골 통계위원회에서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가계소득·지출자료를 발표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2023년 1분기 결과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90만 투그릭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반면 1가구당 평균 실질 월소득은 120만 투그릭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했으며 이전 분기보다는 1.2% 증가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실질 소득이 감소한 것은 연금 및 수당 실질 소득이 15.9% 감소했기 때문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2023년 1분기 가구당 월평균 현금 소득은 180만 투그릭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했다.</p></div><p> </p><p> </p><p> </p><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17.jpg" title="168420901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23.jpg" title="168420902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30.jpg" title="16842090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37.jpg" title="16842090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44.jpg" title="168420904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50.jpg" title="168420905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58.jpg" title="168420905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69.jpg" title="168420906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76.jpg" title="168420907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84.jpg" title="16842090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090.jpg" title="168420909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00.jpg" title="168420910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08.jpg" title="168420910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17.jpg" title="168420911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25.jpg" title="168420912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32.jpg" title="16842091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39.jpg" title="168420913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46.jpg" title="16842091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52.jpg" title="168420915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60.jpg" title="168420916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68.jpg" title="16842091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76.jpg" title="168420917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85.jpg" title="168420918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194.jpg" title="168420919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01.jpg" title="168420920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11.jpg" title="168420921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19.jpg" title="168420921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26.jpg" title="168420922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35.jpg" title="168420923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42.jpg" title="168420924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49.jpg" title="168420924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56.jpg" title="168420925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63.jpg" title="16842092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209270.jpg" title="1684209270.jpg"><br style="clear:both;">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646.jpg" title="16841206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655.jpg" title="16841206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663.jpg" title="16841206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673.jpg" title="16841206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681.jpg" title="16841206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689.jpg" title="16841206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696.jpg" title="16841206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05.jpg" title="16841207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13.jpg" title="16841207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22.jpg" title="168412072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29.jpg" title="168412072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42.jpg" title="168412074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52.jpg" title="168412075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62.jpg" title="168412076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69.jpg" title="168412076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77.jpg" title="168412077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86.jpg" title="168412078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793.jpg" title="168412079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01.jpg" title="168412080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09.jpg" title="168412080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16.jpg" title="168412081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24.jpg" title="168412082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32.jpg" title="16841208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40.jpg" title="168412084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48.jpg" title="168412084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57.jpg" title="168412085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65.jpg" title="168412086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73.jpg" title="16841208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82.jpg" title="16841208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90.jpg" title="168412089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898.jpg" title="16841208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06.jpg" title="168412090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15.jpg" title="168412091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25.jpg" title="168412092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34.jpg" title="168412093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47.jpg" title="168412094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55.jpg" title="16841209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63.jpg" title="16841209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72.jpg" title="16841209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81.jpg" title="16841209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89.jpg" title="16841209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997.jpg" title="168412099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1005.jpg" title="16841210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1013.jpg" title="16841210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1020.jpg" title="168412102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1028.jpg" title="168412102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1037.jpg" title="16841210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1045.jpg" title="1684121045.jpg"><br style="clear:both;"> </p>
|
<p> </p><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한-몽 그린벨트 사업단, ‘몽골 식목일 맞이 나무심기’ 행사 개최</h1><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424.jpg" title="1684120424.jpg"><br style="clear:both;"> </p><p> </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이 지난 5월 12일 한-몽 우호의 숲에서 한국과 몽골 참가자 100여명과 함께 몽골의 식목일을 맞아 나무심기 행사를 개최했다고 전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2021년 개장한 한-몽 우호의 숲(울란바타르 도시숲)은 한국과 몽골 양국 간 우호의 상징으로 울란바타르 도심에서 북쪽으로 약 8km 떨어져 있는 녹색 휴양공간으로, 한-몽 그린벨트 프로젝트 제2단계 사업(2017~2021)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날 식목행사에 참석한 김종구 주몽골대한민국대사는 ‘2007년부터 시작된 한-몽 산림협력은 통하여 몽골의 사막화와 황사를 저지하는데 큰 기여를 했으며, 한국은 한-몽 그린벨트 제3단계 사업을 통하여 몽골의 10억 그루 나무 운동을 비롯하여 몽골 산림분야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몽골측 대표로 참석한 바트후 몽골 대통령 환경 및 녹색발전 정책 자문은 “오늘 심은 나무들이 잘 자라서 몽골의 사막화를 막고, 한국과 몽골 양국의 녹색협력을 더욱 굳건히 만드는 상징이 되길 바란다”는 소망을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날 식목행사는 우리나라 산림청과 몽골 환경관광부간의 합의로 2007년 설립되어 몽골의 사막화, 황사 방지와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이행을 지원하는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이 주관하고, 몽골의 10억 그루 나무심기 운동을 재정지원하는 <몽골 10억 그루 나무 기금(Billion Tree Fund)>이 후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또한 금번 행사는 한국 외교부와 산림청, UNICEF 공동의 기후변화대응 글로벌 캠페인 ‘Plant Our Planrt(POP)’과 연계하여 시행하였다. 동 캠페인은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연대의 필요성을 환기하고, 온· 오프라인 참여를 통한 정부, 민간, 국가간 협력으로 국내외 숲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날 행사에는 한국정부 장학금으로 한국 유학을 다녀온 몽골인들의 모임인 GKS-MA(Korean Government Scholarship – Mongolian Alumni) 소속 10여 명과 한-몽 언론인 클럽 소속 언론인 그리고 양국의 소통을 돕는 서포터즈도 함께하여 양국의 끈끈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행사를 주관한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의 이성길 단장은 몽골의 기후변화와 사막화는 국경을 넘어 황사와 미세먼지의 형태로 한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남의 일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일이며,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최선의 방법 중 하나가 나무 심기임을 강조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우리나라 산림청과 몽골의 환경관광부 간의 합의로 설립된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진행되는 한-몽 그린벨트 제3단계 사업을 통하여 몽골의 우부르항가이, 홉스굴, 셀렝게에 산림 복원을 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몽골 북부에 산불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몽골의 산림분야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460.jpg" title="1684120460.jpg"><br style="clear:both;"> </p><p> </p><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항울(Khan-Uul) 일부 지역 온수 제한…27일까지</h1><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4120518.png" title="1684120518.png"> </p><figure id="attachment_18030"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18030" class="wp-caption alignno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5px; text-align: center; max-width: 100%;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idth: undefined;"><figcaption id="caption-attachment-18030" class="wp-caption-text"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Verdana, BlinkMacSystemFont, -apple-system, 'Segoe UI', Roboto, Oxygen, Ubuntu, Cantarell, 'Open Sans', 'Helvetica Neue', sans-serif; text-align: left; margin: 6px 0px 26px; font-size: 11px; font-style: italic; line-height: 17px; color: rgb(68, 68, 68);">난방제한구역</figcaption></figure><p> </p><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p> </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오늘 15일부터 27일까지 12일 간의 중앙 난방선 수리를 위한 첫 번째 계획이 가동된다. 따라서 아래의 지역에서 난방 사용이 제한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KIDNEY, Govi-2 JSC, Viva City, New Fair Districts, HUD General Hospital, New Capital Hangard area, Central Stadium, Hunnu, Rapid District, 120th Thousand, Tuul Bank, Zaisan District, HUD General Hospital, Tannery 등의 구역이 포함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다음의 링크를 들어가면 <a href="https://www.arcgis.com/apps/mapviewer/index.html?webmap=e0a9ca1636ce4ccc85f1136aec1c6d33&fbclid=IwAR2cGh87ROXEBbVPuJZcB5LQbIxu-xsdSrDQRjWgoxT8--zlx0_5wpcQMtQ" target="_blank" rel="noopener" style="box-sizing: border-box;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 rgb(77, 178, 236); text-decoration-line: none;">자세한 구역</a>을 볼 수 있다.</p><p> </p><p> </p><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641.jpg" title="168387864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651.jpg" title="168387865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658.jpg" title="168387865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666.jpg" title="168387866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675.jpg" title="168387867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683.jpg" title="168387868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691.jpg" title="16838786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698.jpg" title="16838786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710.jpg" title="168387871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719.jpg" title="168387871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732.jpg" title="16838787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742.jpg" title="168387874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757.jpg" title="168387875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765.jpg" title="168387876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773.jpg" title="16838787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782.jpg" title="16838787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796.jpg" title="16838787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05.jpg" title="16838788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15.jpg" title="168387881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24.jpg" title="168387882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32.jpg" title="16838788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39.jpg" title="168387883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46.jpg" title="16838788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54.jpg" title="168387885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63.jpg" title="16838788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71.jpg" title="168387887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79.jpg" title="168387887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889.jpg" title="16838788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904.jpg" title="168387890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913.jpg" title="16838789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922.jpg" title="168387892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878932.png" title="1683878932.png"><br style="clear:both;"> </p>
|
<p> </p><div>2023년05월12일 몽골소식</div><div> </div><div>부패 척결의 기반은 공무원 윤리법에서 시작.</div><div>G.Zandanshatar 국회의장은 어제 수도의 지방행정기관 관계자들과 만나 봄 정기국회에서 시행될 공무원 개혁안을 소개했다. 이런 맥락에서 그는 부패 척결, 정당 제도 개혁, 개헌안을 위한 법률 패키지를 승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논의 단계에서는 내부고발자의 법적 지위, 공익에 대한 공익 규제, 이해충돌 방지, 국가 부패방지 프로그램 등에 관한 법률안이 논의되고 있다. 그는 의회의 목표는 거버넌스를 개선하고 경제 및 인간 개발 개혁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G.Zandanshatar 의회 의장은 "공직자 윤리에 관한 법률은 부패 척결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div><div>이 법은 4,337명의 국가 직원과 234,251명의 국영 조직 직원에게 적용EHLS다. 윤리는 법의 영혼이다. 윤리가 없으면 천 가지 법을 만들어도 지키지 않는다"는 옛 동양 속담이 있다. 이것이 모든 수준에서 윤리적 규범이 준수되고 사회 정의가 확립되고 회복되는 이유다. 또한 그는 시 위원회가 직면한 공통적인 문제와 그 범위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고 참가자들의 질문에 자세하게 답변했다. 참석자들은 국회의장에게 현안과 개헌안 등에 대해 질의하고 입장을 밝혔다. </div><div>Unuudur. 23.05.12</div><div>몽골, 체코 외무부 장관 회담</div><div>5월 11일 B. Battseg 외무부 장관이 Jan Lipavsky 체코 외무부 장관과 회담을 가졌다.</div><div>당사자들은 양자 및 국제 관계의 많은 문제를 논의했다.</div><div>회담에서 양국은은 몽골과 체코 간의 전통적인 우호 협력에서 시민 간의 무역, 경제 및 관계의 중요한 역할을 언급, 체코 투자를 늘리고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했다.</div><div>B. Battsetse 장관은 재개발 프로젝트가 몽골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유럽 연합의 산림 파트너십 프로그램과 함께 "10억 그루의 나무" 국가 운동 이니셔티브를 조정하고 환경을 보호하고 기후 변화에 대처하고 있다.</div><div>그는 또한 교육과 사회보장 분야에서 양국 관계의 확장에 주목하고 몽골 대통령이 제안한 "Send-2100" 프로그램의 틀 내에서 몽골 학생들이 체코 대학에서 교육 받는 것을 높이 평가했으며 양국 정부 간의 사회 보장 협정이 발효되었다 라고 했다.</div><div>또한 당사자들은 체코 시민과 관광객이 비자 없이 몽골을 여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환영하고 울란바토르-프라하 직항편이 체코, 몽골 간의 관계와 협력에 중요한 지원을 위한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div><div>양국 간 교역과 투자 확대를 위해 중요한 정부간 위원회 정례 회의와 올해 3분기 울란바토르에서 몽골-체코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하기로 했으며 프라하에서 영사 간 협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div><div>Ikon.mn 23.05.12</div><div>가격이 떨어지고 몽골 석탄이 중국 시장에서 압착될 수도</div><div>세계은행의 상품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석탄 가격이 42%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은 몽골에 매우 나쁜 소식이다.</div><div>이 가설을 확인하듯 중국 시장의 석탄 가격이 급락했다. 그 이유는 중국 철강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최근 몇 달 동안 석탄 가격이 급락했기 때문이다. "Erdenes Tavantolgoi" JSC에서 정부 전권대표로 임명된 J Ganbat는 불황이 몽골 석탄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올해 3월 초 중국 간즈모드 항 점결탄 1톤 가격이 약 1780위안이었지만 현재는 1220위안약(31.5%) 안팎으로 하락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급격한 가격 하락은 몽골 경제뿐만 아니라 기업의 운영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급격한 가격 하락으로 인해 구매자는 위험을 평가하고 선적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매출을 줄이지 않기 위해 모든 조치를 취했고 지난 4월 180만 톤의 석탄을 판매했다. 또한 4월과 5월에는 7회 거래소에서 석탄 352,000톤이 성공적으로 판매되었다.</div><div>D.Angar 경제학자는 호주가 중국에 석탄을 퍼붓고 있다. 몽골 선물 거래소에서 석탄 거래를 시작하면서 몽골 석탄은 중국에서 경쟁력을 완전히 잃었다.</div><div>호주는 몽골에서 석탄을 구입한 중국 회사들을 그들에게로 돌릴 수 있었다. 호주는 잘못이 없습니다. 중국인도 비난 할 수 없다. 석탄을 더 유리한 조건으로 주고 싶은 사람을 선택하는 것이 사업 원칙이다. 또한 Erdenes Tavantolgoi JSC는 지난 9번의 증권거래소 경매 중 7번의 경매에서 중국측 업체 없이 거래가 성사됐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div><div>몽골산 석탄이 중국 시장에서 압착될 수 있다는 소문은 지난 3월부터 돌기 시작했다. 호주와 중국 간의 정치적 분쟁이 끝나고 경제 관계가 재개됨에 따라 호주가 세계 최대 석탄 생산국이자 수입국인 중국에 고품질 석탄 수출을 재개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나온 것이다.</div><div>중국은 몽골에서 석탄을 수입할 뿐만 아니라 호주, 러시아, 인도네시아와 같은 국가에서도 구매하여 철강 생산 및 여러 수요를 충족시킨다. 지난해 중국은 총 2억9000만t의 석탄을 수입했다.</div><div>몽골의 경우 2022년 2400만톤의 석탄을 수출해 2019년 5700만톤보다 적었지만 석탄 가격 상승이 수출 실적에 크게 기여했다.</div><div>부채에 갇힌 "Erdenes Tavantolgoi" JSC에게는 문제를 해결할 기회가 있었다. 그러나 재정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지난해 석탄으로 갚기로 한 부채 탕감은 계속된다. 총 4조투구릭의 부채가 있다. 여기에는 올해 만기인 채권 상환액이 포함된다. "Erdenes Tavantolgoi" JSC의 J.Ganbat 전권 대표는 "4월 7일 판매 수익에서 4000억 이상의 채권 상환이 기한 내에 이루어졌다. 이제 미화 2억 8천만 달러의 부채를 갚아야 한다. 단기간에 빚을 갚은 뒤 무부채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div><div>그러나 중국 시장의 석탄 가격이 하락한 가운데 몽골 석탄 시장은 호주산 석탄이 장악하고 있어 중국에 석탄 3650만t을 수출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div><div>일부 전문가들은 Erdenes Tavantolgoi JSC가 거래소에서 석탄 거래를 시작했다는 사실이 숨겨진 경제를 드러냈다고 생각하지만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몽골에서 석탄 절도가 늘면서 올해 2월 1일부터 석탄을 광산 가격이 아닌 국경 가격으로 사고 팔기 때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석탄 구매를 보다 투명하게 하기 위해 거래소에서 거래하는 단계를 테스트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희소식이었지만 약 3개월이 지나면서 석탄 구매에 관심을 가진 중국 파트너가 줄어들었고, 어떤 날에는 단 한 명의 구매자도 거래에 들어오지 않았다.</div><div>Ch.Khurelbaatar 경제개발부 장관은 거래소를 통한 석탄 거래가 많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는 "톤당 100달러 정도에 팔리던 석탄이 180달러에, 9.5달러에 팔리던 열탄이 73달러에 팔리면서 가격이 올랐다. 채굴 제품의 판매는 투명성이 옳은 일임을 보여준다. "이 거래소 거래는 몽골이 가격 인상을 위해 두 명의 이사가 앉아서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을 통해 수입 및 판매해야 함을 보여준다."</div><div>또 6개월 전 몽골의 외환보유액은 25억 달러로 줄었지만 올해 3월 말에는 34억3800만 달러로 늘었고, 그 증가의 주요 효과는 석탄 수출로 받은 외화라고 밝혔다. </div><div>현재 관계자들은 남쪽 이웃의 철강 생산 감소가 석탄 가격을 낮추기 시작했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몽골 석탄은 호주 석탄과 경쟁할 수 없다는 점에서 향후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div><div>News.mn 23.05.12</div><div>대외 무역액 77억 달러 </div><div>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4월 우리나라 대외 무역액은 약 77억 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50.4%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51억 개의 녹색 상품과 원자재가 판매되었고 26억 개의 제품이 수입되었으며 수출 수입이 수입을 24억달러 초과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액의 88.7%는 광물 제품, 4.1%는 귀석 및 준귀석, 2%는 식물성 제품이었다. 또한 GEA 보고서에 따르면 동물 고기 및 부산물의 공급은 2022년 첫 4개월에 비해 27.9배 증가한 반면 워시드 캐시미어의 판매는 86.8% 감소했다. 수입에 사용된 자본의 21.1%는 석유 제품, 12.5%는 자동차 및 트럭, 그리고 에너지를 수입했다. 또 화물차와 승용차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줄었고 쌀·계란·식물성 기름·설탕 등 주식 수입은 10.647.7% 줄었다. </div><div>Unuudur. 23.05.12</div><div><br></div><div><br></div><div>금 1온스의 가격 2030 USD에 도달.</div><div>로이터는 시장 참여자들이 미국의 인플레이션율 발표를 기다리고 있는 시점에 금값이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이 지표는 국가 중앙 은행이 다음 달 정책 금리를 인상하거나 유지하기로 결정할 때 고려된다. 투자자들이 또한 미국이 부채 한도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했다. 국가 부채 한도가 31조4000억 달러에 달했다고 한다. </div><div>국가의 경제 상황, 수급 비율은 신뢰할 수 있는 투자 도구로 간주되는 금 가격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어제 기준으로 금 1온스의 가격은 지난 금요일에 비해 1.45% 또는 상승한 2030달러에 도달했다. </div><div>Unuudur. 23.05.12</div><div>심혈관, 간 및 위암이 몽골인들의 주요 사망 원인.</div><div>세계 각국 인구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웹사이트 worldlifeexpectancy.com이 몽골인의 주요 사망 원인을 자세히 보여준다.</div><div>몽골 인구의 주요 사망 원인과 그 수준을 세계의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보여준다.</div><div>웹사이트는 세계보건기구, 세계은행, 유네스코, 미국 중앙정보국의 자료와 정보를 출처로 사용했다고 설명했다.</div><div>worldlifeexpectancy.com의 몽골의 10대 사망 원인을 보면</div><div>심혈관 질환, 뇌졸중, 간 암, 간 질환, 교통 사고, 위암, 알코올 중독, 자살. 부상, 폐암 순이다. </div><div>이 중 전 세계 선행지표(인원수 대비)를 보면</div><div>-간암과 위암이 사망원인 1위</div><div>-두 번째 주요 사망 원인은 뇌졸중, 간 질환 및 알코올 중독.</div><div>-식도암은 세 번째로 흔한 사망 원인이다.</div><div>이 외에도 몽골은 인구 100,000명당 모든 유형의 암으로 인한 사망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어 걱정스러운 지표다.</div><div>Ikon.mn 23.05.12</div><div>PCR 양성 결과가 급격히 증가 205건이 보고돼.</div><div>오늘/2023년 5월 12일/ NCSC가 전염병 상황에 대해 알렸다.</div><div>Ts.Naranzul, 국립보건의료과학연구소 바이러스학 연구소 소장:</div><div>-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7억6500만 건이 확인됐으며 690만 명이 사망했다. 연초부터 전 세계 국가에서 감염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지난주에는 전주 대비 15% 감소했다.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전염병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한국, 일본, 브라질, 인도, 러시아에서는 매주 30,000~80,000건의 사례가 등록된다.</div><div>WHO는 5월 5일 회의에서 "일부 국가에서 높은 발병률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는 더 이상 세계적인 공중 보건 비상사태가 아니다.”라고 했다.</div><div>최근 몇 주 동안 오미크론 하위 변종인 HBV1.5가 40~50%의 유병률로 전 세계를 지배했다. 18주차에 몽골에서 총 205건의 새로운 사례가 등록되었다. 양성 PCR 검사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인간 간 전파는 다른 버전의 Omicron에 비해 여전히 높다. 의학적 합병증은 상대적으로 경미하지만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에서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div><div>현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치료 중인 환자는 임산부 19명, 산모 2명, 어린이 27명 등 총 101명이다. 3명의 중증 환자와 7명의 위독한 환자가 있다. 환자의 70~80%는 코막힘, 피로감, 관절통을 호소한다. 또한 마른 기침, 콧물, 두통, 인후통 및 숨가쁨이 모든 환자에서 관찰된다.</div><div>O.Suvdmaa 감시 연구 부장</div><div>- 봄에는 사람들의 면역력이 약해진다. 공기 감염의 발병이 발생한다. 그런 의미에서 수족구병, 수두, 엔테로바이러스, 급성열, 수포성 발진 증후군이 더 흔하다. 이 질병은 일반적으로 0-9세의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친다. 수두는 5-9세 어린이에게, 수족구병은 0-5세 어린이에게 더 흔하므로 부모의 주의가 필요하다. 유치원 의사와 교사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권장 사항을 이행해야 한다. 수포성 발진이기 때문에 손을 깨끗이 씻고 더러워질 때마다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부모는 가능한 한 공공 장소에 데려가는 것을 피해야 한다.</div><div>성인의 경우 증상이 미미하기 때문에 종종 방치된다. 조기에 치료를 받고 다른 사람에게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다. 어린이 장난감은 멸균, 세척해야 한다.</div><div>V.Baigal예방 접종 서비스, 감시 및 모니터링 부장 </div><div>- 보건복지부는 홍역에 대한 주의보를 여러 차례 발령했다. 홍역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고 공기 중의 물방울을 통해 전염되는 전염성이 높은 질병이다. 예를 들어, 감염된 사람 한 명이 10명과 접촉하면 질병에 대한 면역이 없으면 9명이 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 2022년 전 세계적으로 162개국에서 17만 건 이상이 질병이 등록되다. 이 수치는 2021년에 비해 3배 증가했다. 2023년 첫 3개월 기준으로 40,000건의 홍역 사례가 등록되었다. 여기에서 대유행 이후 다른 전염병의 증가를 볼 수 있다. 현재 몽골에서 보고된 홍역 사례는 없다.</div><div>2015년과 2016년에 몽골에서 발생한 마지막 홍역 발생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때 0-2세 아동이 초기에 병에 걸렸고, 전체 5만명 이상 인구의 25%가 0-2세였다. 합병증 사례의 90%는 0-1세였습니다. 홍역은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기 때문이다. 예방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다. 부모는 15세까지의 자녀에게 가정 및 예방병원에서 홍역 예방 접종을 받을 수 있다. 전염병이 유행하는 해에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 0-4세 아동은 한 달 간격으로 두 번 접종해야 한다. 단, 15세 이하 어린이는 1회 접종한다. 5월에 자녀에게 예방접종을 시키길 당부한다.</div><div>News</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03.jpg" title="168377500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13.jpg" title="16837750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21.jpg" title="168377502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30.jpg" title="16837750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38.jpg" title="168377503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46.jpg" title="16837750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54.jpg" title="168377505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61.jpg" title="168377506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69.jpg" title="168377506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80.jpg" title="168377508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88.jpg" title="168377508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098.jpg" title="16837750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106.jpg" title="168377510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116.jpg" title="168377511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124.jpg" title="168377512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133.jpg" title="168377513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179.jpg" title="168377517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190.jpg" title="168377519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199.jpg" title="168377519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08.jpg" title="168377520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17.jpg" title="168377521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26.jpg" title="168377522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35.jpg" title="168377523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45.jpg" title="16837752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54.jpg" title="168377525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63.jpg" title="16837752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70.jpg" title="168377527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79.jpg" title="168377527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87.jpg" title="168377528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296.jpg" title="16837752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304.jpg" title="168377530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314.jpg" title="168377531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322.jpg" title="168377532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336.jpg" title="168377533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349.jpg" title="168377534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357.jpg" title="168377535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367.jpg" title="168377536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382.jpg" title="16837753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396.jpg" title="16837753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405.jpg" title="16837754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416.jpg" title="168377541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425.jpg" title="168377542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775433.jpg" title="1683775433.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2023년05월10일 몽골소식</div><div><br></div><div>총리, 중국 공식 방문 예정</div><div>L.Oyun-Erdene 총리가 가까운 시일 내에 이달 중국을 공식 방문할 예정이다. 총리의 중국 방문과 관련된 일이 오래전부터 준비되었으며, 차이원루이 주몽골대사는 "중국측은 그동안 몽골 총리의 중국 방문을 중시해왔다. 지난 3월 양측이 편리한 시기에 방문할 것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달 초 B.Battsetseg 외교부 장관이 Chin Gan 외교부 장관의 초청으로 중국을 방문했으며 양측은 가까운 시일 내에 방문하기로 합의했다. </div><div>참고로 U.Khurelsukh 대통령은 작년 11월 중국을 국빈 방문하여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과 만났다. B.Battsetseg 장관은 최근 실무 방문에서 국가 원수 간의 합의를 이행하고 양국 간의 포괄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결정했다. </div><div>L.Oyun-Erdeni 총리는 지난해 2월 '베이징-2022'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국가 국무원 총리와 공식 회담을 갖고 몽골과 중국의 관계 강화 및 기타 상호 관심사에 대해 자세한 의견을 교환했다. </div><div>Unuudur. 23.05.10</div><div>외국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해야</div><div>외국인 직접 투자는 경제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 이는 2010년 이후 몽골의 경제성장으로 증명된다.</div><div>2011년과 2012년에 몽골에 46억~52억 달러를 투자했을 때 경제가 17% 성장했고, 0이던 2015년에는 몽골 경제가 1%로 위축된 것을 기억한다. 몽골은 제조업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외국인 직접 투자는 경제 확장의 가장 큰 동력 중 하나다.</div><div>외국인들은 우리나라의 광물이나 광업 분야에 투자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가장 큰 예는 오유톨고이다. 세 번째 이웃이 투자한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인 이 프로젝트는 지난 10년 동안 외환보유액을 고갈시키지 않고 어려운 경제 상황을 겪지 않고 몽골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었다.</div><div>이러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투자는 경제에 몇 배의 수익을 제공하므로 우리와 같은 작은 국가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투자는 국내 소비와 자금 흐름의 증가로 인해 가치가 배가되고 이는 근로자의 임금, 공급업체에 대한 지불 및 세금의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외환 보유고를 늘리고 투구릭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업과 관련이 없더라도 모든 국민과 모든 가구의 소득과 생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div><div>외국인 투자는 어떻게 들어오나? 투자자들은 그 나라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돈을 준다.</div><div>과거에 몽골은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강탈했으며 일부는 쫓아내기도 했다. 현 정부는 이 잘못을 깨닫고 사과와 피해보상에 힘쓰고 있지만 아직까지 신규 투자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div><div>광산업 수출로 살아가는 우리 경제는 향후 10~20년 안에 이 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없앨 수 없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자원을 사용하고 천연 자원을 기반으로 투자를 유치하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특히 두 개의 이웃이 아닌 세 번째 이웃에 대한 투자는 전략적이고 지정학적이다. 특히 제3 정책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는 말이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예로 D.Damba 전 몽골 광업 협회 회장은 "돈을 투자한 국가는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한다. 제3의 이웃 정책을 미국과 영국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두 이웃 국가 외에도 많은 국가가 있다. 투자의 형태로 그들의 관심을 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div><div>현재 몽골에 투자할 준비가 된 대규모 전략 프로젝트는 거의 없다. 이미 준비가 되었다고 하면 Dornogovi 지방의 Ulaanbadrach suman에 있는 Zeovch-Ovoo 우라늄 광산의 테스트가 완료되었으며 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것은 몽골과 프랑스의 국영 기업 간의 공동 프로젝트다. 호주 증권 거래소에 상장된 세 회사, 즉 "G UH", "Methane Gas Resource" 및 "Telman Resource"는 Mungogov 지방 유역을 기반으로 메탄 가스를 시추하고 있다. 정부는 이 기회를 잡고 투자를 유치할 수밖에 없다.</div><div>몽골에서 외국인직접투자가 늘지 않는다면? 심각한 일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도약과 한계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없다. 개발이 느려지고 거북이처럼 앞으로 나아갈 것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작은 자원을 소진하여 경제를 성장시키려고 노력하겠지만 예산 적자는 쉽게 줄어들지 않을 것이며, 물가와 투구릭의 불안정으로 가족의 삶이 쉽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다. 어떻게 보면 경제적 수혈을 안 받는 것과 마찬가지다.</div><div>따라서 우리 나라는 가능한 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진출한 국가를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div><div>오유톨고이 프로젝트가 우리 경제의 유일한 희망이라고 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프로젝트와 관련된 투자 증가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것으로 투자자들에게 약간의 희망이 있다. 여기에서 배운 교훈을 바탕으로 제3국으로부터 수익성 있게 투자를 받는 것은 몽골 경제에 면역력을 더할 것이다.</div><div>Ikon.mn 23.05.10</div><div>생산성과 성과에 기반한 임금 개혁이 진행 중.</div><div>L.Oyun-Erdene 총리가 기업의 인사 관리자와 정기적인 ‘아침 회의’를 가졌다. B.Javhlan 재무부 장관, H.Bulgantuya 노동 및 사회 보호부 장관, 부처장 및 전문 협회 대표가 회의에 참석했다. </div><div>몽골의 노동 시장에는 1,125,000명의 사람들이 일하고 있으며 그 중 22%는 공공 부문, 74%는 민간 부문에 있다. 이 지표에 따르면 우리 국민 4명 중 1명은 정부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총리는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정부에서 민간이 할 수 있는 일을 없애고, 성과와 실적에 따라 통일된 급여 네트워크 업데이트, 인센티브를 최적화하는 등의 정책을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H. Bulgantuya 장관은 급여 구조 개혁의 일환으로 작년에 공무원의 222 가지 급여가 53으로 삭감되었고 지역 급여가 20에서 100%로 인상되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2026년까지 고용을 지원하기 위해 7가지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div><div>인적자원 분야 관계자들은 몽골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력이 부족해 지속가능하고 종합적인 정책을 채택하고 정부와 민간 부문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당한 임금인상의 필요성이 있지만, 생산성에 기반하고 시장이 요구하는 전문가, 그들의 능력, 태도, 성숙도에 초점을 맞출 필요성을 강조했다. Onch Audit LLC의 D.Onchinsuren 이사는 "임금을 인상하지 않으면 결국 해외로 인력을 잃게 될 것이다. 하지만 사회보장 기여금과 세금은 높은 급여를 지불하는 데 부담이 된다. 또 해외에서 노동력을 수입하는 대가가 높다”고 말했고, '인사동호회' 바야르마그나이(Bayarmagnai) 대표는 "숙련된 인력보다 올바른 교육과 태도를 가진 사람이 필요하다. 기본 교육 프로그램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라고 했다.</div><div>우리는 기술 교육 및 훈련 기관 졸업생의 기술을 향상시켜야 한다. G.Battsengel 몽골 국립광업협회 회장은 "우리는 사회적 부의 균등 분배 정책의 관점에서 공무원의 최저임금 인상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간 부문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를 줄이려면 생산성과 연결되어야 한다. 임금 인상에 있어 기업이 직면한 주요 문제는 사회 보험료이며, "Human Resource Managers" Association의 T.Tsetsegmaa 회장은 "노동 시장에서 젊은 근로자가 부족하다.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며 정부의 정책 조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div><div>A.Delgermunkh Vitafit Group 인사 담당 이사는 "10년 전 정부는 "Bee's Nest"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고등 교육을 받고 경험이 풍부한 사람을 찾는 것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동일하다. 특히 엔지니어와 기술 전문가가 드물다. 식품 분야에서는 올해 기계 및 장비 공학 졸업생이 없다. 예를 들어, 그는 지난 4년 동안 배관 엔지니어가 졸업하지 않았다. 회의 중에 제시된 제안을 검토하고 대책을 만들기로 했다. </div><div>Unuudur. 23.05.09</div><div>4월 전국 물가상승률 11.3%</div><div>4월 소비재 및 서비스 가격이 11.3% 상승했다. </div><div>분야별로 보면</div><div>-식음료 및 물 분야 17%</div><div>-주류 및 담배 분야 8.1%</div><div>-의류, 직물 및 신발 분야 13.2%</div><div>-주택, 수도, 전기, 가스 및 기타 연료 분야 6.7%</div><div>-가구 및 생활용품 분야 13%</div><div>-의약품 및 의료 서비스 분야 6.7%</div><div>-운송 그룹 분야 4%</div><div>-호텔, 케이터링 및 탑승 서비스 그룹의 가격이 24% 인상되었기 때문이다.</div><div>물가상승률(소비재·서비스 물가)은 2022년 4월 15.8%, 2023년 같은 달 11.3%로 전년 동기 대비 4.5%포인트 하락했다.</div><div>Ikon.mn 23.05.10</div><div>석탄 수출 2,000만 톤 달성</div><div>지난 목요일(5/4) 기준으로 2023년 초부터 우리나라는 1977만톤의 석탄을 수출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4배 많게 수출한 것이다. 앞서 우리나라는 올해 3650만t의 석탄을 수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같은 기간 동정광은 49만5100t을 수출해 이는 2022년에 근접하거나 2% 증가한 수준이다. 또 철광석과 정광은 178만t으로 70% 증가했다. 몽골은행은 3.27톤의 금을 수매했니다. 몽골의 광물 제품 수출은 이제 평균 41%에 도달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석탄 54.2%, 구리 정광 35.4%, 철 21.2%, 금 16.3%, 석유 24.9%, 아연 69.4%, 불소 64.3% 다. </div><div>Unuudur. 23.05.10</div><div>KHAN 은행, 한국 신한 은행과 협력 각서 체결</div><div>고객의 니즈가 나날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한은행은 대한민국 신한은행과 디지털 전환 전략적 제휴 분야 협력각서를 체결하고, 글로벌 금융 기관으로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div><div>양해각서 체결식에는 임수한 신한은행 부행장과 B.Erdenedelger 한은행 제1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신한은행과 디지털 전략, 금융상품 및 서비스의 e-innovation, 고객 중심의 디지털 혁신 서비스 및 패치워크, 물리적 영역과 디지털 영역의 조율, 직원 효율성 향상, 혁신적인 디지털 인프라 구축 컨설팅 등을 공유하게 되며 한은행과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div><div>지난해 한은행 대표들이 두 차례 신한은행 본점을 방문, 디지털 혁신의 최고 상품과 서비스 도입을 검토, 서울에 디지로그 디지털점을 오픈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객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고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고급 제품과 서비스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div><div>신한은행은 디지털 전환 측면에서 한국 최고의 은행으로, 과거 일본 키로바시금융그룹에 디지털 전환 분야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자서비스 분야 최고의 경험을 공유했다”고 말했다.</div><div>임수한 신한은행 부행장은 "몽골 최대 은행인 칸은행과 협력각서를 체결한 것은 신한은행의 디지털 전환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정받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디지털 혁신을 지속 발전시켜 해외에서 많은 신규 파트너를 확보하고 협력 확대를 독려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div><div>B. Erdenedelger KHAN Bank 제1부회장은 "KHAN Bank는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고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전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신한은행과 협력을 시작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최근 몇 년 동안 KHAN Bank는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시작했으며 인프라 개선 외에도 기술 혁신에 상당한 투자를 했다. "우리는 고객의 금융 여정의 모든 단계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함께 성장한다는 고귀한 목표에 더 가까이 다가가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했다.</div><div>2006년에 Khan Bank는 한국에 대표 사무소를 개설한 최초의 몽골 시중은행이었으며, 한국에서 거주하고 일하는 몽골 국민들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더 가까이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하나은행과 협력하여 몽골로 가장 저렴하고 빠른 송금 서비스인 "Hana EZ" 서비스를 도입했다.</div><div>News.mn 23.05.09</div><div><br></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374.jpg" title="168368637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384.jpg" title="16836863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391.jpg" title="16836863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398.jpg" title="16836863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05.jpg" title="16836864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12.jpg" title="168368641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19.jpg" title="168368641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27.jpg" title="168368642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45.jpg" title="16836864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53.jpg" title="168368645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60.jpg" title="168368646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67.jpg" title="168368646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74.jpg" title="168368647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81.jpg" title="16836864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89.jpg" title="16836864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496.jpg" title="16836864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03.jpg" title="168368650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11.jpg" title="168368651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21.jpg" title="168368652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30.jpg" title="16836865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37.jpg" title="16836865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45.jpg" title="16836865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56.jpg" title="168368655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65.jpg" title="168368656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72.jpg" title="16836865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81.jpg" title="16836865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591.jpg" title="16836865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603.jpg" title="168368660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615.jpg" title="168368661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624.jpg" title="168368662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635.jpg" title="168368663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645.jpg" title="16836866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655.jpg" title="16836866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668.jpg" title="16836866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86678.jpg" title="1683686678.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한국문화진흥원, 몽골서 ‘코리아 컬쳐페스티벌’ 개최</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5-09T17:50:37+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5-09</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img loading="lazy" class="alignnone size-full wp-image-18022" src="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EB%B3%B8%ED%96%89%EC%82%AC-2.jpg" alt="" srcset="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본행사-2.jpg 1328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본행사-2-600x450.jpg 60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본행사-2-1024x768.jpg 1024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본행사-2-768x576.jpg 768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본행사-2-696x522.jpg 696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본행사-2-1068x801.jpg 1068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본행사-2-560x420.jpg 56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본행사-2-80x60.jpg 8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5/본행사-2-265x198.jpg 265w" sizes="(max-width: 1328px) 100vw, 1328px" style="width:1328px; box-sizing: border-box; border: 1px solid rgb(225, 225, 225); max-width: 100%; height: 996px; margin: 0px 5px; display: inline-block;"></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지난 5월 4일부터 5일까지 양일간에 걸쳐 몽골 한국 친선 문화교류를 위해 한국문화진흥원에서 ‘코리아 컬쳐 페스티벌’을 진행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행사는 과학기술대학교, 에투겡 대학교, 몽골 어린이 회관, 바양걸 호텔 등 4군데에서 한국 청년 50명과 몽골 자원봉사자 84명이 직접 기획한 한국 문화 체험 부스와 공연으로 진행됐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한국 의원 친선 교류 협회장인 은느르 벌러르 국회의원과 과학기술대학교 뱜바수렝 학부장, 에투겡 대학교 설립자 냠작드 이사장, 전 바양헝거르 도지사 쟈르갈 새흥, 한국대사관 1등 서기관 정필현 사무관이 축사를 남겼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특히 공연과 함께 마인드 교육이 있었는데 강사인 이헌목 박사는 한국 경제 발전을 모델로 국가의 경제가 발전하려면 먼저 국민들의 마인드에 변화가 와야 하는 부분을 강연했고 많은 사람들이 공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 행사를 위해서 선발된 84명의 몽골 자원봉사자들은 접수, 사회, 전통댄스, 안내, 의전, 통역, 무대지원, 부스 진행 등 다양한 부서를 담당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코리아 컬쳐 페스티벌은 울란바토르 시청, 가족청소년발전청 등 정부기관을 비롯하여 대학교, 언론에 큰 관심을 받았고, 이 행사를 주최한 한국문화진흥원 이헌목 원장은 UBS 방송국의 ‘кофе юу цай юу‘에 초대되어 마인드 교육에 대해 소개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뿐만 아니라 울란바타르 시청 트므르푸름 부시장, 가족청소년 발전청 강 을지 청장과 에투겡 의대 설립자 냠작드 이사장과 면담을 통해 한국과 몽골의 문화교류를 위한 일에 함께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행사는 몽골과 한국의 청소년들이 만나는 친선 문화 교류의 장이 되었다. 행사 관계자는 이런 교류를 통해서 양국의 청소년들이 더욱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p></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671.jpg" title="168360267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681.jpg" title="16836026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689.jpg" title="16836026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698.jpg" title="16836026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05.jpg" title="16836027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14.jpg" title="168360271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21.jpg" title="168360272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30.jpg" title="16836027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38.jpg" title="168360273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50.jpg" title="168360275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58.jpg" title="168360275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66.jpg" title="168360276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73.jpg" title="16836027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80.jpg" title="168360278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89.jpg" title="16836027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796.jpg" title="16836027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805.jpg" title="16836028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812.jpg" title="168360281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821.jpg" title="168360282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829.jpg" title="168360282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837.jpg" title="16836028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844.jpg" title="168360284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878.jpg" title="168360287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886.jpg" title="168360288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893.jpg" title="168360289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602901.jpg" title="1683602901.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2023년05월08일 몽골소식</div><div> </div><div>5월 15일부터 Hunnu 및 Rapid 지역 12일 동안 온수 제한.</div><div>울란바토르시가 이달 15일부터 울란바토르시 난방라인 보수공사를 시작한다고 밝히고 일정을 제시했다.</div><div>UBDS는 홈페이지에 5월 15일부터 27일까지 12일간 열선 보수 위치 정보를 공개했다.</div><div>구체적으로 10abvgdej, 1a, 3de 간선의 수리 작업은 Khan-Uul 지역에서 시작된다.</div><div>БӨҮР, Говь-2 ХК орчим, Вива сити, Шинэ яармаг хорооллууд, ХУД-ийн нэгдсэн эмнэлэг,</div><div>Нийслэлийн шинэ төв Хангарьд орчмын хэрэглэгчид, Төв цэнгэлдэх, Хүннү хороолол, </div><div>Рапид хороолол, 120 мянгат, Туулын хөвөө, Зайсан орчмын орон сууцны хороолол,</div><div>ХУД-ийн нэгдсэн эмнэлэг, Арьс ширний үйлдвэрийн район</div><div>19 дүгээр хороолол орчмын хэрэглэгчдийн халуун усыг хязгаарлах юм байна.</div><div>Ikon.mn 23.05.08</div><div>RFID 시스템은 혼잡을 줄이고 도로 교통을 규제하는 데 사용될 것</div><div>도로교통 관련 공무원들이 통합 도로 운송 시스템, 특히 차량 등록 및 제어 RFID 시스템 구현을 준비하고 있다.</div><div>E.Batshugar, 의회 혁신 및 전자 정책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수도의 전자 개발 및 정보 기술부를 방문했다. 이 부서가 자동차와 관련된 차세대 "전자 몽골"이 되기 위해 통합 도로 교통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그 하위 시스템인 RFID는 업데이트된 등록을 개선하고 울란바토르의 654,000대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현재 161개의 RFID 리더 포스트를 설치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미진단, 보험료 미납, 세금 미납 등 위반 차량 적발이 늘고 있다. </div><div>또한 올해부터 울란바토르 시민들은 기본 지도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시스템은 대중교통의 위치와 경로, 어린이 버스, 수리 및 혼잡한 도로, 주차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준다.</div><div>현재 사용되고 있는 구글맵, 스마트버스와 같은 시스템과 달리 위의 매개변수가 지도에 상세하게 표시되어 승객이 차량 선택부터 시작하여 전체 경로를 미리 계획할 수 있다. </div><div>E.Batshugar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이전 회의에서 RFID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도로 교통을 관리하고 혼잡을 줄이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했다. 교통과 교차로 접근을 실시간으로 연결해 교통체증을 최대 20%까지 줄인 런던, 모스크바 등 도시에는 좋은 사례가 많다. 상당한 비용을 지출한 후, 보다 지능적으로 출시된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목표를 실행하기 위해 다시 지시가 내려졌다.</div><div>국회 혁신 및 전자 정책 상임위원회가 전자 기술의 도움을 받아 스마트한 울란바타르를 만들기 위해 법적, 법적, 정책적 측면에서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div><div>Ikon.mn 23.05.08</div><div>코리안 드림을 안고 온 이들은 실망했다.</div><div>세계는 매년 5월 1일을 노동자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올해 노동의 날을 맞아 이주노동자들이 모여 강제노동과 차별을 규탄했다.</div><div>이달 3일 발표된 성명에서 법무부는 불법체류 근로자를 추방하겠다는 약속을 재차 강조했다. 이주 노동자들은 수십 년 동안 한국에 살고 있다. 정부는 농업과 산업 분야에 이주노동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들의 불만을 모른 채 외면하는 것 같다.</div><div>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이 수도인 서울에 살고 있다. 그러나 농업과 산업의 중심지인 농촌지역은 불균등발전과 인구감소에 직면해 있다. 가까운 미래에 도시와 마을의 4분의 1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228개 도시 중 59개 도시가 사라진다. 동시에 향후 40년 동안 생산 가능 인구는 절반인 약 1,700만 명으로 감소한다.</div><div>그래서 한국 정부는 이 공백을 이주노동자로 채우고 있다. 현재 국내에 합법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미숙련 이주노동자는 약 37만4000명이다. 그들 중 절반 이상이 동남아시아 출신이며 E-9 비자를 소지하고 있다. E-9 비자는 농업, 어업, 제조업, 건설업 등 중공업 분야에서 일하기 위한 비자다. 이 비자로 일하기 위해 전문 자격증이나 업무 경험이 필요하지 않다. 정부가 올해 E-9 사증 발급을 2004년 이후 최대 규모인 11만건으로 결정했다. 또한 410,000명 이상의 미등록 노동자들이 지하에서 일하고 있다. </div><div>고용주가 이주 노동자들이 살기에 부적합한 장소에 내모는 것은 흔한 일이다. 올해 3월 태국에서 온 노동자가 돼지우리에서 살다가 황화수소 중독으로 사망했다. 또 2021년에는 캄보디아 시민이 비닐하우스에서 얼어 죽은 사례도 있었다. 사실 이 사건 이후 한국 정부는 이주노동자 배치에 관한 정책을 발표했다. 정책에는 근로자가 승인되지 않은 사업장에 근무하는 경우 고용주의 신청이 무효화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이는 시행되지 않고 있다.</div><div>이주노동자의 약 20%는 얇은 철판과 차양망으로 만든 쉼터에서 생활한다. 그리고 60% 이상이 선적 컨테이너에 살고 있습니다.</div><div>고용주는 이주 노동자 임금의 최대 20%까지 법적으로 공제할 수 있습니다. 일부 근로자는 매달 거의 400 USD를 공제한다. 따라서 숙소에 더 많은 돈을 쓰지 않을수록 고용주에게 더 좋다. 고용주는 직장이나 그 근처에서 이주 노동자를 수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 결과 이주노동자들은 고용주의 24시간 통제 하에 과로를 강요당하고 있다. 고용주에 의한 다양한 유형의 학대 사례도 있다.</div><div>여성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약 12%가 성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div><div>이러한 이유로 국제노동기구는 이주노동자들이 고용주와 분리된 생활을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근로자는 외부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고용주의 뜻에 따라 생활하게 된다.</div><div>또한 E-9 비자는 이주 노동자를 붙잡을 수 있다. 특히, 비자는 고용주가 직원을 고용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만 취득할 수 있다. 그들의 비자의 유효성은 그들이 이 첫 직장을 계속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학대 때문이든 다른 이유 때문이든 근로자는 E-9 신분을 다른 고용주에게 양도하거나 체류 기간을 연장하려면 원래 고용주로부터 법적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합법적인 거주권을 상실하므로 고용주에게 항의할 수 없다. </div><div>고용노동부는 이주노동자가 폭행을 당했거나 생활환경이 열악하다는 사실이 입증될 경우 사업주의 허가 없이 다른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주노동자가 노동고충처리센터에 가면 센터에서 사업주와 연락을 하고 대화를 나눈 후 모든 것이 정상이고 문제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언어 장벽으로 인해 대부분의 근로자는 항소를 하지 못한다.</div><div>물론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은 상황이 더 열악하다. 폭력을 당하면 법무부에 구금된 뒤 본국으로 송환된다. 때때로 법무부는 미등록 노동자를 체포하기 위해 문화 행사와 종교 시설을 표적으로 삼는 전술을 사용했다. 이런 수법으로 올해 2만5000명의 미등록 노동자가 체포돼 추방됐다.</div><div>이주 노동자들과의 격렬한 투쟁은 문화적, 경제적 초강대국이 되려는 야망을 약화시키고 있다. 코리안 드림을 안고 온 이들은 실망했다. 유엔은 한국에 이주노동자의 노동권을 보호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의 수출품 뒤에 이주노동자들이 있다는 사실을 세계가 점차 깨닫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div><div>News.mn 23.05.08</div><div>1,890억투구릭 국가 예산 도로 공사에 중국 기업을 선정한 것에 반대</div><div>도로 회사 대표들이 Kherlen Sum에서 Dornod 지방의 Khavirgy 항구 방향으로 124.5km의 포장 도로 입찰에 대한 국가 조달 부서의 법률 위반에 대해 알렸다. </div><div>구체적으로 그들은 국가 예산에서 1,890억투그릭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 도로 프로젝트에 중국 기업이 불법적으로 선정되었다고 말했다. </div><div>국영기업, 법 위반으로 중국인에 유리하게 적용돼</div><div>입찰에 참가한 국영기업의 G.Enkhtulga 대표는 “국가조달부는 올해 1월 27일 입찰공고를 했다. 입찰 개시가 알 수 없는 이유로 4월 11일로 연기되었고, 입찰이 개시되자 갑자기 중국 기업 6개가 참가했다. </div><div>주요 문제는 중국 회사가 모든 도로 패키지 또는 입찰에서 이겼다는 것이다. 국내 기업은 선정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수년 동안 도로 부문에서 생산적이고 지속적으로 일해 온 국내 기업들이 항의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div><div>국내기업들은 법을 어겨 중국인들에게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여러 가지 사실로 미루어볼 때 유리하게 작용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div><div>구체적으로 올해 3월 23일 4차 낙찰을 받은 유명 중국 기업이 공공조달 입찰을 주관하는 전자시스템인 tender.gov.mn 에 등록됐다. 입찰은 2월 27일에 열릴 예정이었다.</div><div>이어 "알 수 없는 이유로 연기됐기 때문에 중국 기업을 포함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다는 의혹이 있다"고 말했다.</div><div>Peak Development 회사의 R.Batsog 대표는 "몽골의 도로 부문은 9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가는 길은 우리 국영 기업이 건설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 기업이 진출했다. </div><div>최근 총리는 전체 도로 산업과의 회의를 가졌다. "도로 품질 및 유지 관리"를 주제로 한 회의에서 그는 몽골 기업을 지원하고 품질 품질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달부는 항상 중국 기업을 지원하고 선정한다. </div><div>가장 중요한 것은 도로가 국가예산 자금과 납세자의 돈으로 건설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구 10억이 넘는 중국의 경제를 도로 부문을 통해 몽골 자본으로 지원하는 정책이 됐다.</div><div>Dornod 지방의 Kherlen Sum에서 Khavirg 항구까지의 124.5km 도로에 대한 입찰에서 몽골 회사가 낙찰되면 불만이 없다. 다만 일부 핑계로 입찰에 참가한 몽골 기업이 제외되고 중국 기업이 포함되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div><div>Ikon.mn 23.05.08</div><div>한국 통과 조건을 충족하는 외국인, 최대 30일 동안 체류 가능.</div><div>대한민국 법무부는 2020년 2월부터 '코로나19' 전염병 확산으로 인해 대한민국 영토를 통과하기 위해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외국인에 대한 국경 입국 절차를 잠정 중단했던 것을 2023년 5월 1일부터 복원한다고 발표했다.</div><div>대한민국 영토를 통과하기 위해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외국인은 국경을 통과 최대 30일 동안 대한민국에 체류할 수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div><div>-미국(괌, 사이판),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 유효한 비자를 소지하고 대한민국 영토를 경유하거나 위 국가로 여행 중이거나 대한민국을 경유하여 귀국하는 경우 </div><div>-유럽연합 32개국의 유효한 사증을 소지하고 대한민국 영토를 경유하는 경우, 해당 국가로 여행하거나 위 국가에서 대한민국 영토를 경유하여 귀국하는 것.</div><div>대한민국 영토를 통과하는 동안 다음 중 하나라도 위반하면 국경을 통한 임시 입국이 거부되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div><div>-최근 3년 이내 대한민국 국경에서 입국이 거부된 적이 있는 경우</div><div>-대한민국 법령을 위반하여 5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은 경우</div><div>-대한민국에 불법체류 중이거나 출국통지서를 받거나 강제 송환된 경우</div><div>-목적지 국가에서 3일 미만 체류(예를 들어, 미국에서 2일 후에 귀국하는 시민권자는 한국을 경유할 경우 입국이 거부된다.</div><div>Ikon.mn 23.05.08</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19.jpg" title="168352461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27.jpg" title="168352462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34.jpg" title="168352463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45.jpg" title="16835246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53.jpg" title="168352465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61.jpg" title="168352466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68.jpg" title="16835246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76.jpg" title="168352467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84.jpg" title="16835246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91.jpg" title="16835246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698.jpg" title="16835246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05.jpg" title="16835247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14.jpg" title="168352471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20.jpg" title="168352472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29.jpg" title="168352472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36.jpg" title="168352473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43.jpg" title="168352474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54.jpg" title="168352475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63.jpg" title="16835247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72.jpg" title="16835247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80.jpg" title="168352478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89.jpg" title="16835247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797.jpg" title="168352479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05.jpg" title="16835248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12.jpg" title="168352481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19.jpg" title="168352481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25.jpg" title="168352482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33.jpg" title="168352483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40.jpg" title="168352484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47.jpg" title="168352484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54.jpg" title="168352485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62.jpg" title="168352486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70.jpg" title="168352487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77.jpg" title="168352487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84.jpg" title="16835248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91.jpg" title="16835248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3524897.jpg" title="1683524897.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신한은행, 몽골 최대 ‘칸은행’과 디지털 금융 협약</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5-08T10:20:3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5-08</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신한은행은 몽골 최대 은행 칸은행(Khan Bank – 한뱅크)과 디지털 금융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1991년 설립된 칸은행은 몽골 전 지역에 540여개 영업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몽골 전체 인구의 약 80%가 이용하는 몽골 내 가장 큰 상업은행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칸은행은 지난해 2차례에 걸쳐 주요 경영진 및 이사회가 신한은행을 방문해 미래형 점포 모델 ‘디지로그 브랜치’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혁신 사례를 체험했고, 지난 4월 칸은행은 이를 벤치마킹한 셀프 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특화 점포 ‘Digi-Go’를 몽골 현지에 신설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어 칸은행은 이번 협약식에서 신한은행에 △디지털 전략 △혁신 서비스 △ICT 시스템 등 디지털 금융 전반의 노하우 공유를 요청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고객중심 기반의 디지털 혁신 서비스 및 전략 공유 △온·오프라인 채널간 유기적인 고객경험 설계 지원 △금융 시스템과 연계한 혁신적 디지털 인프라 구축 자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인 협업을 추진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최근 칸은행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은행의 혁신을 추진하는 ‘디지털 혁신’을 전략 목표로 설정했고, 벤치마킹 대상으로 신한은행을 선택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몽골 칸은행과의 업무협약은 신한은행의 차별화된 디지털 금융 서비스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혁신을 지속하면서 다양한 해외 파트너와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한편 신한은행은 지난해 도쿄 키라보시 금융그룹에 디지털 전환 컨설팅과 함께 비대면 서비스 모델, 모바일 뱅킹 앱 등 디지털 기술을 제공해 키라보시 금융그룹의 모바일 전문은행 설립에 협력한 바 있다</p></div><p> </p>
|
<p> </p><div>2023년05월07일 몽골소식</div><div> </div><div>몽골과 헝가리, 경제·사회·관광 분야 협력 확대 합의</div><div>오늘 L.Oyun-Erdene 총리가 몽골을 공식 방문 중인 Köver Laszlo 헝가리 국회의장을 만났다.</div><div>L.Oyun-Erdene 총리는 회의 초반에 몽골 정부가 양국 의회 간의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Kover Laszlo 씨의 방문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div><div>모든 분야에서 몽골과 헝가리 간의 관계와 협력을 확대하고 경제적 내용으로 풍요롭게 하는 것은 몽골 외교 정책의 우선 목표 중 하나다. 따라서 총리는 양국 간의 경제, 대외 무역 및 투자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div><div>Kover Laszlo 국회의장은 헝가리 국회가 몽골 정부가 시행하는 "새로운 부흥 정책"의 일환으로 양국 정부 간의 무역, 경제 및 전면적인 협력을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div><div>L.Oyun-Erdene 총리는 몽골 정부가 G.Zandanshatar 국회의장과 Kover Laszlo 헝가리 국회의장 간의 회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모든 측면에서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div><div>특히 교육과 문화 분야의 전통적 협력이 경제, 사회, 관광 등의 분야로 확대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div><div>헝가리는 유럽연합의 회원국으로서 제3의 이웃나라로 우리나라와 전통적이고 우호적인 관계와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17년부터 몽골에서 온 200명의 학생들이 헝가리 정부의 장학금으로 몽골에서 공부하고 있다.</div><div>Ikon.mn 23.05.04</div><div>개헌안 국회에 제출.</div><div>D.Amarbayasgalan 내각관방장관이 정부가 만든 헌법 개정안을 G.Zandanshatar 국회의장에게 제출했다. 이 개정안에 국회의원 수는 152명으로 증가하고, 그 중 50%는 투표로, 50%는 비례대표로 선출된다. </div><div>정부는 지난달 14일부터 개헌안에 대한 의견수렴을 시작했다. 당시 헌법재판소 관련 조항, 몽골 국민 1% 이상에 의한 정당 설립에 관한 조항 등 일부 조항이 포함돼 있었는데 삭제되었다. H.Nyambaatar 법무부 장관은 개헌안 제출 후 브리핑에서 "개헌안을 만드는 동안 정부 형태 변경, 국가 상징 및 국기 변경을 시작으로 많은 제안을 받았다. 모든 제안이 포함된다면 이는 훨씬 더 커질 것이고 그만큼 사회와 지역 사회가 참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우선 2022년 국회 결의 34호와 54호 및 헌법개정절차법에 따라 국회의원 수만, 선거 제도와 관련된 변경 사항이 논의를 위해 제출했다. 2019년에 채택된 개정안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차기 의회는 더 넓은 범위에서 헌법 개정안을 승인할 권리가 있다." 라고 했다.</div><div>21개 도 9개 자치구에서 열린 22회의 토론회에는 약 6,000명의 국민이 참여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div><div>D.Amarbayasgalan 장관은 "국회의원들이 국회의원 수를 늘리는 것을 지지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152명의 구성원이 있는 것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우리는 정당의 회원 수를 늘리는 것도 지원한다."라고 했다. </div><div>Unuudur. 23.05.07</div><div>TDB, 한국에서 열린 제56차 아시아개발은행 회의에 참석.</div><div>제56차 아시아개발은행(ADB) 합동회의가 2023년 5월 2일 대한민국 송도에서 "아시아의 부흥"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으며 ADB 대표들이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서 아시아개발은행(ADB) 회원국 정책입안자들은 대유행 이후 국가의 지속 가능한 경제 및 사회 발전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div><div>아사카와 마사쓰구 아시아개발은행(Masatsugu Asakawa)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는 올해 행사 개회사에서 2030년까지 녹색 개발 분야에서 총 1000억 달러를 지역에 할당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녹색 발전이 비롯한 회원국의 사회발전이다.</div><div>행사 기간 동안 TDB는 국가의 녹색 개발 및 지속 가능한 자금 조달 분야의 선구자이자 UN 기후의 신뢰할 수 있는 조직으로서 2억 5천만 달러 규모의 국가 수준 녹색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구현한 최초의 은행이 되었다고 언급했다.</div><div>또한 ADB 대표들은 지속가능금융, 녹색 개발, 식량안보 분야의 대책과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ADB 민간부문운영부 경영진과의 협력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News.mn 23.05.07</div><div>정부, 물가 상승에 맞춰 임금과 연금 인상 매년 이를 지수화</div><div>정부의 결정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Khurelbaatar경제개발부 장관이 급여 및 연금 인상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div><div>이에 대해 그는 “2024년 연간 계획에 포함시켰다. 급여와 연금을 물가 수준이나 인플레이션과 연계해 매년 인상한다는 원칙에 대한 입장을 제시했다. 어제 경제상임위 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거론됐다. </div><div>급여와 연금이 물가 상승에 맞춰 조정되지 않으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시민들에게도 문제가 된다"고 말했다.</div><div>Ikon.mn 23.05.06</div><div>주택 가격 계속 하락할 것.</div><div>건설개발센터가 오늘 기자간담회를 통해 건설경기 부흥과 집값에 대한 정보를 전했다.</div><div>Barilga.mn의 설립자이자 이사회 회장인 G.Batsukh는 "건설 산업의 성장과 쇠퇴는 경제의 성장과 많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대유행 동안 약간의 쇠퇴가 있었다. 아직까지 건설 공사가 많이 시작되지 않았다. 공사가 이번 달에 시작되어 회복되기 시작했다.</div><div>팬데믹 기간 동안 100억 규모의 경기 부양 프로그램, 주택담보대출 금액 증가, 현금 유입으로 주택 및 부동산 수요가 증가했다. 이로 인해 신축 아파트와 노후 아파트의 가격이 상승했다. 시민은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따라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대한 책임이 있다.</div><div>대유행 기간 동안 건축 자재 가격은 평균 85% 상승했다. 예산 비용도 이만큼 늘었기 때문에 새 주택 가격도 올랐다. 가격을 인상해 신규 주택을 건설하는 회사가 있다.</div><div>2023년부터 주택담보대출 금액이 줄어들고 경제에 현금을 줄이는 정책이 시행됐다. 이와 함께 오늘 현재 아파트와 부동산 가격이 소폭 하락하고 있다.</div><div>그는 "수입 건축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주택 가격이 계속 하락할 것이다"라고 했다.</div><div>Ikon.mn 23.05.06</div><div>EU 회원국에 동물 내장 수출 가능</div><div>동물과 그로부터 파생된 식품의 주요 문제는 동물용 의약품의 잔류물이다. 성장호르몬 등의 잔류항생제, 중금속, 방사성물질, 염소·인·질소를 함유한 화학물질, 유해식물해충 및 동물의 외부 및 내부기생충, 살충제 등의 잔류물을 관리하기 위한 국가계획을 수립 승인되었다.</div><div>식품, 농업 및 경공업 장관이 승인한 실무 그룹은 유럽 위원회의 보건, 식품 검사, 테스트 및 관리부에서 2단계 위험 평가(F1, F4)를 성공적으로 거쳤다. 그 결과 유럽연합 회원국에 소창자 가공품을 수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고, 유럽연합 회원국에 다른 종류의 부속물도 수출할 수 있게 됐다.</div><div>매년 동물성 식품을 수입하는 국가는 다음 정보를 유럽위원회에 제출하고 계획을 승인 받는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div><div>-국가 잔류물 통제 계획에 포함된 제품 잔류물의 통제를 담당하는 관할 당국에 대한 일반 정보</div><div>-잔류물 관리 계획/감시(및 전년도 계획 결과)</div><div>-실험실 네트워크, 용량 및 분석 방법 기능</div><div>여기에는 식용 동물의 약리 활성 물질 및 기타 물질의 승인을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와 동물용 의약품 목록이 포함된다.</div><div>Unuudur. 23.05.07</div><div><br></div><div><br></div><p> </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