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6월 30일 몽골한국신문 뉴스 |
|
작성자 : 관리자 |
2023.06.30 18:01:43, 조회 293 |
|
|
|
|
<p> </p><div> </div><div>2023년07월03일 몽골소식</div><div> </div><div>공동 우라늄 채굴 프로젝트가 가을에 중요한 단계를 밟을 것.</div><div>2023년 6월 29일부터 30일까지 몽골에서 여성 외교장관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는 Catherine Colonna 프랑스 외무장관이 참석했다. 이 기회에 우리는 그와 양국의 관계와 협력, 에너지 분야의 진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div><div>그는 “몽골에는 프랑스 관광객이 많이 찾다 보니 프랑스인들이 얼마나 몽골을 좋아하는지 알 수 있다”며 “더 많은 학생들이 프랑스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div><div>"우라늄 채굴 프로젝트의 시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므로 플랜트의 채굴 단계가 시작될 것이다."라고 말했다.</div><div>-안녕하세요, 장관님. 먼저 몽골 방문 목적에 대해?</div><div>-B.Battsetse외무부 장관의 초청으로 페미니스트 외교 정책과 여성의 권리를 논의하기 위한 여성 외무 장관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몽골에 왔다.</div><div>독일과 프랑스가 공동으로 회의를 주선했기 때문에 아날레나 베르복 독일 외무장관도 참석했다.</div><div>이번 회담을 계기로 특히 인도네시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외무장관을 다시 만나게 되어 매우 기쁘다. 페미니스트 외교 정책은 프랑스 외교 정책의 우선 순위 중 하나다. 이것이 우리가 매일 하는 일이다. </div><div>또한 한 달 남짓 전인 5월 21일과 22일에 걸쳐 프랑스 대통령의 몽골 국빈방문에 이어 몽골을 방문하게 되었다. </div><div>우리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프랑스 국가 원수의 첫 번째 국빈방문이자 역사적인 몽골 방문이었다. 나는 이번 방문이 만들어낸 강한 역동성에 따라 이번 방문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를 "특별한 파트너십"이라고 부르며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할 생각이다.</div><div>우리가 몽골과 공유하는 공동의 목표는 에너지, 희소 금속, 통신, 보안 및 농업과 같은 핵심 분야에서 양국의 독립과 전략적 독립을 상호 강화하는 것이다.</div><div>양국의 이러한 협력에 대한 전망은 밝다. 그는 또한 U.Khurelsukh 대통령을 만나 이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div><div>-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5월 몽골 국빈방문. 프랑스는 이번 방문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는가?</div><div>-마크롱 대통령의 방몽은 역사적인 방문이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리고 싶다. 그의 몽골 방문은 두 나라의 협력에 매우 희망적인 전망을 열어줄 것이다.</div><div>몽골은 우리 대통령을 특별한 방식으로 영접하고 높은 존경을 표했다. 그의 방문은 우리가 "특별한 파트너"로 간주하고 우리를 "제3의 이웃"으로 정의하는 양국 관계의 급속한 발전을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올해는 프랑스-몽골 관계에 특별한 해이다.</div><div>프랑스는 특히 민주주의, 인권, 법치주의, 법에 기초한 국제질서, 유엔 헌장 원칙 준수 등 많은 공유 가치를 지닌 몽골과의 파트너십을 귀중하게 생각한다.</div><div>또한, E.Macron 대통령이 U.Khurelsukh 대통령에게 말했듯이, 우리 관계는 독립과 전략적 독립을 촉진하려는 열망으로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국가들에 대한 프랑스의 적극적인 연대와 지원의 표현과 일치한다.</div><div>우리는 연대와 협력의 틀 안에서 국제무대에서 몽골과 협력을 원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E.Macron 대통령은 U.Khurelsukh 대통령과 에너지 전환, 희소금속 분야 협력, 우주 분야 파트너십 개발과 같은 양자 협력의 주요 전략적 축에 대해 논의했다.</div><div>-프랑스 측은 우라늄과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하겠다는 명확한 제안을 했다. 이 영역에서 먼저 어떤 진전이 일어날 것 같은가?</div><div>-프랑스는 에너지 전환과 경제의 탈탄소화를 위해 몽골과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div><div>예를 들어, 재생 에너지 협력 방향과 장기적 관점에서 소비자 원자력 에너지 방향으로 작동하게 만드는 것은 어떠한가? 귀국의 희귀 금속 자원을 기반으로 양국의 에너지 자립을 상호 강화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제안한다.</div><div>국가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환경을 완전히 존중하는 프로젝트가 구현될 것이다.</div><div>여기서 저는 주요 대형 프로젝트인 Orano와 Mon-Atom의 공동 우라늄 채굴 프로젝트를 생각하고 있으며 내년 가을 이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단계를 밟을 것이라고 믿는다. 다른 프로젝트도 있다. 다른 중요한 광물에 대해서도 협력의 가능성과 방향을 연구하고자 한다.</div><div>그래서 그는 프랑스 광물 전략 금속 부 장관 간 대표와 지질 및 광업 연구 센터 대표와 함께 몽골에 왔습니다.</div><div>- 이 분야에서 프랑스가 우리나라에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가?</div><div>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지난 5월 마크롱 대통령의 방몽은 양국 관계에 큰 자극을 주었고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다.</div><div>우리는 프로젝트의 파일럿 단계가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특히 우라늄 채굴 프로젝트의 산업 생산 단계의 시작과 같이 이제부터 실질적인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div><div>우리는 또한 에너지 전환에서 몽골을 도울 새로운 프로젝트가 있기를 희망한다.</div><div>가까운 장래에 우리는 가장 합리적인 비용으로 녹색 및 재생 가능 에너지원을 기반으로 몽골의 발전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투자자를 유치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다.</div><div>- 양국 관계의 역사에서 앞으로 협력이 가장 가까운 분야는 어디라고 생각하는가?</div><div>방금 말한 에너지 협력 외에도 우리가 중요시하는 인간관계도 있다. 많은 프랑스 관광객들이 몽골을 방문하는데 프랑스인들이 몽골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알 수 있어 몽골인들도 프랑스를 좋아한다.</div><div>그런 점에서 지난 10월 낭트 박물관에서 한 번도 열린 적이 없는 칭기즈칸 전시회를 열어준 문화계에 감사드린다. 이번 전시는 당신의 문화를 프랑스인들에게 알리는 데 기여했다.</div><div>교육 부문과 관련하여 우리는 몽골에서의 프랑스어 교육을 매우 중시하며 올해로 이 교육 활동이 60주년을 맞이한다. 우리는 더 많은 학생들이 프랑스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특히 U.Khurelsukh 대통령이 시작한 "대통령 메시지-2100" 프로그램 내에서 장학금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div><div>마지막으로, 농업 부문에서 지속 가능한 농업과 축산업에 대한 우리의 협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 10월 Clermont-Ferrand International Livestock Exhibition에서 몽골을 귀빈으로 맞이하게 되어 매우 기뻤다.</div><div>당신은 지난 4월 프랑스 농업 및 식량주권부 장관인 Marc Fenoux가 몽골 방문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div><div>-원자력 산업은 지구 기후변화에 어떤 진전을 가져올 것인가?</div><div>-지난 5월 양국 대통령은 몽골의 에너지 전환과 경제 탈탄소화를 위한 로드맵 작성 원칙에 합의했다. 로드맵은 재생 에너지에 대한 협력, 정부 간 협력, 원자력에 대한 협력 및 이러한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 조달 의지를 통해 구현될 것이다.</div><div>원자력은 전기와 열을 모두 생산하고 탄소 배출이 없는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다. 따라서 지구 기후 차원에서 저탄소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에너지 믹스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div><div>Ikon.mn 23.07.03</div><div>우호관계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한 이웃 방문</div><div>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 이후 L.Oyun-Erden 총리의 중국 공식 방문은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문으로 여겨져 왔다. 그 직전에 G.Zandashatar 국회의장이 러시아를 공식 방문했다.</div><div>대외관계 측면에서 다축 정책을 따르는 몽골의 경우 두 이웃 간의 관계도 우선시 된다. 두 이웃을 방문하는 동안 중장기적으로 몽골에 도움이 되는 많은 협상이 이루어졌다.</div><div>러시아: 연료 안정성 보장</div><div>G.Zandanshatar 국회의장이 러시아 연방을 방문하는 동안 석유 제품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하고 가격 인하, 에너지 생산을 업그레이드하는 가능성을 포함하여 양국 간의 포괄적인 에너지 협력이 이루어졌다. 몽골은 북쪽 이웃에 대한 연료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안정적인 연료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div><div>-양국 의회간 합동위원회가 구성되어 내년 8월 울란바토르에서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며, 양국 의회 간 협력의 틀 안에서 관세 인하를 적극 추진하자고 제안, 비관세규제, 양국간 공동자유지대 설정 등 무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공동실무단을 구성하기로 하였다.</div><div>-양국은 몽골에서 러시아로의 양모, 캐시미어, 육류, 가죽 및 가죽 제품 수출에 부과되는 수입 관세를 제로화하고 비관세 장벽을 줄이는 측면에서 상호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상할 것이다.</div><div>-양국 간 철도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울란바토르 철도 운영 개선에 대해 논의, 특정 결정에 도달했다. 예로 울란바토르 철도는 CPP 근로자의 임금을 점진적으로 인상하기로 결정했다.</div><div>-또한 복드한 철도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를 긴급히 완료하고 "동부 종축" 철도 건설 시작과 관련하여 구현 문제를 강화하고 철도의 Ereentsav-Choibalsan 구간의 리노베이션을 시작한다. , Dzungbayan-Sainshand 철도에서 주요 수리를 수행한다. 수출, 수입 및 운송량을 늘리기로 결정했다.</div><div>환승 요금 할인을 줄이는 문제를 연구하는 울란바토르 철도는 울란바토르 철도 주주에게 솔루션을 제시하고 러시아-몽골-중국 간의 국경 간 경제 회랑을 구축하는 프로젝트의 틀 내에서, 울란바토르 철도로 운송 및 운송되는 화물 양의 두 배룰 늘리는 것에 동의했다.</div><div>-이르쿠츠크에 울-캐시미어 합작투자 및 산업단지를 설립하고 원자재 수출을 늘리기로 합의</div><div>중국: 교육 프로젝트 실행을 위한 지원 제공</div><div>-L.Oyun-Erden 총리의 중국 공식방문의 일환으로 그는 몽골과 중국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새로운 내용으로 심화하기로 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이번 방문에서 몽골과 중국은 전면적 전략동반자관계를 가진 우호적인 이웃으로서 양국의 독립과 주권을 상호 존중하고 호혜협력을 확대 심화하며 이웃간 우호관계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div><div>-L.Oyun-Erdene 총리와 "China Energy" Liu Guoyue 이사회 의장은 Gashuunsuhait-Gantzmod 항구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div><div>-L.Oyun-Erdene 총리는 투자자들에게 상호 이익이 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파트너십을 맺을 것이라고 밝혔다.</div><div>-몽골 국유재산정책규제부와 중국 국무원 산하 국유재산규제위원회 사이에 양해각서가 체결됐다. 이번 각서의 틀 내에서 양국 기업 간 협력은 새로운 차원으로 나아가고 모든 면에서 강화하기로 합의한 대로 더욱 개선되고 확대될 것이다.</div><div>-예를 들어 인프라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의 신속한 구현과 같이 양국 간의 관계 및 협력 발전을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중에 중몽친선그룹이 새로 결성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앞으로 입법부는 각 위원회의 협력을 활성화하고 함께 반부패 투쟁에 나설 예정이다.</div><div>당사자들은 몽골과 베트남 사이의 정치, 경제 및 문화 관계가 꾸준히 발전하고 고위급 대화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며 안보, 국방 및 법 집행 기관 간의 유대가 강화되는 것에 대해 만족을 표명했다. 또한 당사자들은 양국 간의 무역 회전율 증가 및 운송 촉진의 틀에서 협력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div><div>대재앙 이후 몽골의 대외정책이 되살아났고, 3단계 정부가 많은 외국 방문을 했으며, 고위급 외국공무원들이 몽골을 방문한 특별한 해가 되고 있다. 또한 양국 방문, 모든 협상 및 교환된 많은 중요한 결정의 틀 내에서 구현된 포괄적 협력의 중요한 전략적 중요성이 곧 결실을 맺을 것이다.</div><div>News.mn 23.07.03</div><div>울란바토르는 재난을 예방하는 임무를 다하지 않아.</div><div>-울란바토르에서 강한 지진이 발생하면 장기간 정전 및 난방 중단의 위험이 있다.</div><div>울란바토르에서 강한 지진이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 일본이 10년 이상 전에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평가와 연구를 했다. 지진이 활발한 지역에 위치하여 많은 교훈과 경험을 가진 몽골인들이 재난 위험을 예방하고 대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심각하다고 할 수 있는 한 가지는 배전 설비와 난방망의 불신이다. 불행하게도 우리 국민들은 재난에 견디지 못하는 건물과 구조물의 수를 중요하게 여기고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가렸다. 관계자들은 그 이후로 수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재난을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고 말한다. 기본적으로 시험에서 나쁜 성적을 받을 것을 알면서 전혀 준비하지 않았다. </div><div>2~3시간도 하루도 아닌 20~30일 동안 난방이나 전기 없이. 겨울철에 이런 일이 발생하면 공동체 전체가 얼어붙고 건강과 생명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일본 연구자들은 울란바토르시 복원력을 높이고 공공 건물 및 구조물, 전기 및 열 전송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권장했다.</div><div>일본 국제협력기구와 NEMA가 공동으로 시행한 "울란바타르시 지진 재해 위험 예방 프로젝트의 역량 강화"의 틀에서 도시 방재 연구소, 아시아 방재 센터 및 "Tooden Sekkei"사가 재난 평가를 실시했다. 전기 및 열 전송선, 기둥 및 전신주를 포함했다. 그러자 '하이리스크'가 나왔다. 송전 설비는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지반이 6지점 이상 이동하면 대량으로 파손될 위험이 있다고 판단된다. 수도의 9개 구역에서 평가된 29,000개 이상의 기둥 중 845개는 건물 및 구조물의 붕괴로 인해 손상되거나 파괴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도시 전체에 혼란을 일으키고, 수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위험이 있다. 평가에서는 난방 네트워크의 대부분인 82%가 지하에 위치(열 우물에 배치되거나 직접 매립)되어 있어 위험도가 높다고 지적했다. 재해로 인해 많은 양의 잔해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모두 찾아 수리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다. </div><div>마지막으로 연구진은 "울란바토르 주거지역의 전력배전시설과 지하배선로의 피해 평가로 판단하면 도시가 중앙집중식 공급이 차단될 위험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얼어붙을 위험이 있고 사람들이 죽을 것"이라고 말하며 몽골인들에게 잠재적인 위험을 경고했다. 20~30일 동안 난방과 전기 없이 지낼 위험이 여기에 언급되어 있다. 일본 연구자들은 울란바토르 시의 복원력을 높이고 공공 건물과 구조물, 전기 및 열 전송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권고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 후 10년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NEMA의 재해 위험 관리 부서장인 D. Baasansuren 대령도 이에 동의한다. </div><div>그는 “2013년 일본이 수행한 연구를 지금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전력 분배 시설 및 난방 네트워크의 위험 평가에 따라 조치를 취하는 것은 부처의 책임이다. 우리는 "그런 위험은 위험이다"라고 계산하고 결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예산을 편성하고 회복탄력성을 강화·강화·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재난위험경감협의회가 있다. 여기에는 에너지부 차관이 포함된다. 관계 부처가 이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정부로부터 반복적으로 지시를 받았다. 예산이 준비되지 않았거나 그에 따라 작업이 수행되지 않았다. "구현이 매우 불충분하다." 특히 재해 시 에너지 신뢰성, 2021년 국가재난위험경감협의회(National Council for Disaster Risk Reduction)는 대비를 보장하기 위해 송전선 기둥의 금속 구조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지침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듬해에는 배전망, 열, 송전선로 등의 재해 위험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예방 조치를 취하는 임무를 맡게 됐다. 불행히도 해당 조직은 권장 사항을 "수락하지 않았다". </div><div>재해 대비 수준을 나타내는 커뮤니티 복원력과 도시 복원력 두 가지 개념이 있다. 연구원들은 최근 국제적으로 우리나라가 두 곳 모두에서 나쁜 평가를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즉, 시민과 지역사회가 준비되지 않고 도시가 준비되지 않은 것이다. 그는 지진과 쓰나미와 같은 재난의 위험이 있는 활성 지역에 위치한 국가는 처음부터 건물, 구조 및 인프라를 현명하게 계획하고 복원력 있는 도시를 건설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우리나라도 그런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div><div>연구원들에 따르면 울란바토르의 혼란스럽고 계획되지 않은 상태는 재난의 위험과 피해를 증가시키는 폭탄이다. 가연성 자재의 사용, 석조, 조립식 건물, 진동에 견디지 못하는 교량 등은 지진의 위험을 높이는 반면, 주요 도로변에는 노후 주택이 밀집해 있고, 기준을 초과하는 자동차가 많으며, 매우 파괴적이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전문가는 "몽골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터키처럼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기회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2-3일 후에는 잔해 밑에서 살아있는 사람을 찾을 기회가 없다. 겨울에 땅이 움직이면 전체 지역 사회에 물, 난방 및 전기가 공급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지진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과학 아카데미의 천문학 및 지구 물리학 연구소는 이러한 현상의 수가 지난 10년 동안 5.7배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몽골 영토의 60퍼센트와 울란바토르 시의 98퍼센트가 진도 7-9의 지진대에 속한다고 경고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려워하거나 게으르지 말고 실제 일을 해야 한다. 터키와 시리아 접경지역에서 일어난 지진은 몽골인들의 관심사인 이 현상이 인류에게 얼마나 큰 위협이 되는지를 보여주었다. 우리는 이것으로부터 배워야 한다. 폭우와 바람을 견디지 못하는 건물과 구조물, 기반 시설이 우리나라에 있다. 따라서 위험을 경험한 후 조치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다. 평시에 땀을 많이 흘리면 전시에 피가 덜 난다고 한다. 재해 위험 평가를 근본적으로 다시 해야 할 때다.</div><div>unuudur.mn 23.07.03</div><div>Erdeneburen HPP의 대출 계약 승인, 공사 시작</div><div>L.Oyun-Erden 총리의 중국 공식 방문이 종료되었다. 방문 중 Erdeneburen HPP에 대한 대출 계약을 마무리하고 공사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div><div>몽골과 중국 간의 도로 운송 협정이 체결됨에 따라 중국을 통해 베트남 및 중앙 아시아 국가로 수출입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되었다.</div><div>몽골, 중국, 러시아를 연결하는 두 번째 철도 회랑인 동부 수직 철도(Eastern Vertical Railway)에 대한 18억 달러 규모의 계약이 승인되었다.</div><div>초이발상 발전소 증설사업 차관계약 및 몽골은행과 중국인민은행간 스왑계약이 연장되었습다.</div><div>또한 중국 주장성 닝보시와 몽골 철강공장 설립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div><div>Ikon.mn 23.07.03</div><div>캐시미어 분야, 네팔과 협력.</div><div>T.Jambaltseren 농축산업부 사무총장, Madhu Kumar Marasini 네팔 무역산업공급부 장관, Vijoy Kumar Dugar 네팔 캐시미어 제조업체 협회 회장 등이 캐시미어 협력을 위해 만남을 가졌다. </div><div>네팔은 인구의 65%가 농업에 종사하고 농업이 국내총생산(GDP)의 25%를 차지하며 유럽연합(EU) 국가에 직물, 의류 등 섬유제품을 수출한 경험이 있다.</div><div>네팔은 캐시미어 산업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몽골과 협력하여 캐시미어 가공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div><div>V.Dugar 네팔 파시미나 생산자 협회 회장과 R. Badmaanyambuu 경공업 연구 개발 연구소 울 캐시미어 테스트 센터 소장이 협력 각서에 서명했다.</div><div>앞으로 양 당사자는 양모 및 캐시미어 섬유 원료 연구 및 분석, 지식 및 경험 교환, 전문가 교환, 실험실 전문가의 기본 및 고급 교육, 섬유 공학 교육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div><div>News.mn23.07.03</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262300.jpg" title="168835426230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272427.jpg" title="168835427242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279336.jpg" title="168835427933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286708.jpg" title="168835428670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294573.jpg" title="16883542945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02781.jpg" title="16883543027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09726.jpg" title="168835430972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17646.jpg" title="16883543176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25660.jpg" title="168835432566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33998.jpg" title="16883543339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40547.jpg" title="168835434054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48686.jpg" title="168835434868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57298.jpg" title="16883543572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64677.jpg" title="168835436467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71224.jpg" title="168835437122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79426.jpg" title="168835437942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86812.jpg" title="168835438681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394611.jpg" title="168835439461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402231.jpg" title="168835440223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408513.jpg" title="16883544085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416476.jpg" title="168835441647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423784.jpg" title="16883544237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354430228.jpg" title="1688354430228.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7월 10일부터 나담 축제 공휴일</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7-03T10:51:39+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7-03</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몽골의 나담 연휴가 7월 10일에 시작해서 7월 15일까지 이어진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자미얀후(N. Jamyankhu) 몽골 법무부 사법과장 대행은 지난 2022년 6월 28일 공휴일법 개정으로 7월 10일부터 국경일을 기념하는 것으로 승인되었다면서 오는 7월 10일부터 총 6일간 국경절과 인민혁명기념일을 기념하게 되었다고 전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그는 7월 10일에서 13일까지 전국체육대회가 열리며 7월 14일 ~ 15일은 휴식을 취하는 날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7월 10일부터 경축행사를 진행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국경절 축전에 관한 법률 제5조 2항에 따라 매년 7월 10일과 11일에 지방 및 솜에서 축제가 열리고 7월 11일부터 13일까지 전국적으로 축제가 열린다고 답변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한편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전국 축제에 매년 20억 투그릭 이상이 지출되었으며 최고 금액은 2020년 축제에 사용된 30억 투그릭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img loading="lazy" class="alignnone size-full wp-image-18235" src="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7/%EB%82%98%EB%8B%B4%EC%B6%95%EC%A0%9C-%EC%97%B0%EB%8F%84%EB%B3%84-%EC%98%88%EC%82%B0.png" alt="" srcset="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7/나담축제-연도별-예산.png 60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7/나담축제-연도별-예산-356x220.png 356w" sizes="(max-width: 600px) 100vw, 600px" style="width:600px; box-sizing: border-box; border: 1px solid rgb(225, 225, 225); max-width: 100%; height: 371px; margin: 0px 5px; display: inline-block;"></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창녕군, 몽골과 샤인머스캣 100만 달러 수출 협약</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7-03T10:03:29+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7-03</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창녕군은 지난 29일, 몽골의 과실도매업체(IKSISING 주식회사)와 샤인머스캣 100t, 100만 달러(한화 약 13억 원)를 수출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창녕 샤인머스캣은 2018년에 처음으로 과원이 조성됐고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확해 그해 8월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 국가로 첫 수출을 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군은 작년부터 신규 판로 개척을 위해 몽골 과실도매업체인 IKSISING 주식회사에 남지읍에 소재한 케이씨드 영농조합법인에서 생산한 샤인머스캣을 알렸고, 꾸준한 홍보로 올해 100t, 100만 달러 수출협약을 체결하게 됐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대지면에 소재한 창녕군 원예조합공동사업법인과 IKSISING 주식회사가 수출 상담을 개최했고 향후 현지 대형마트에서 신선농산물 판촉 행사를 펼칠 계획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군 관계자는 “앞으로도 신선 농산물 신규 수출 판로 개척은 물론 수출을 위한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451455.jpg" title="16881154514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470521.jpg" title="168811547052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483982.jpg" title="16881154839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494513.jpg" title="16881154945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04417.jpg" title="168811550441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16743.jpg" title="168811551674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25445.jpg" title="16881155254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33995.jpg" title="168811553399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42680.jpg" title="168811554268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51721.jpg" title="168811555172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60772.jpg" title="16881155607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68999.jpg" title="168811556899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78273.jpg" title="16881155782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87575.jpg" title="168811558757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598255.jpg" title="16881155982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607172.jpg" title="16881156071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617104.jpg" title="168811561710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626381.jpg" title="16881156263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637246.jpg" title="16881156372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649570.jpg" title="168811564957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658170.jpg" title="168811565817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669469.jpg" title="168811566946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681668.jpg" title="16881156816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115690945.jpg" title="1688115690945.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에어로케이, 2호기 이어 3호기 잇따라 도입</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30T10:05:3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30</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스마트폰 및 자동차 전장용 PCB 제조 기업 디에이피의 자회사에어로케이(대표이사 강병호)가 6월 26일 2호기 도입을 확정한 데 이어 3호기 도입도 완료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3호기는 미국에서 운항 및 안정성 등 각종 테스트를 마치고 6월 28일 청주공항에 도착했으며, 기존 1·2호기와 동일한 에어버스 A320-200이다. 이로써 에어로케이가 보유한 항공기는 3대로 늘어났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에어로케이는 올해 항공기 최대 5대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3호기 도입에 이어 7월 중 4호기도 도입할 예정이어서 앞으로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회사는 현재 <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700;">청주~몽골 울란바토르</span>, 청주~마닐라, 청주~러시아 노선의 운항권을 획득한 상태로, 추가 항공기 도입과 함께 연내 일본 주요 거점, 대만 타이베이, 몽골 울란바토르 등 국제선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디에이피는 2호기와 3호기를 연달아 도입하며 국제선 확대로 괄목할 만한 성장이 기대된다며, 특히 에어로케이는 충청북도와 협력을 통해 청주를 중심으로 한 충북 지역의 항공 산업 인프라를 확충하고 다변화된 정기편 국제노선 개발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p></div><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경찰청, “조직 범죄 관련자 20명 구속”</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30T09:57:26+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30</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몽골 경찰청은 지난 29일 최근 수사 중인 사건에 대해서 브리핑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경찰국장 수흐볼드 대령은 “조직 범죄자 20여명이 구속되어 수사를 받고 있다”고 말하면서 최근 증가하는 조직 범죄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국장은 최근 몽골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투자기업의 투자자들과 협력하여 조직을 구성하고 이들과 유사한 사업을 운영하는 국내 기업과 국민을 대상으로한 사기행각과 범죄활동을 벌인 이들에 대해서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2023년 1월 기준으로 23개 단체 42명에 대하여 조직범죄 단체를 결성하고 불법행위를 저지른 범죄자들에 대한 수사도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범죄를 신속하게 조사하기 위한 전담반이 새롭게 구성되었다고 덧붙였다.</p></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013512414.jpg" title="168801351241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013523731.jpg" title="168801352373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013533284.jpg" title="16880135332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013542494.jpg" title="168801354249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013551457.jpg" title="168801355145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013565847.jpg" title="168801356584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8013576778.jpg" title="1688013576778.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한-몽 그린벨트 사업단, 몽골에 한국 종자전문가 초청</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9T10:06:38+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9</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figure id="attachment_18218"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18218" class="wp-caption alignno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5px; text-align: center; max-width: 100%; width: undefined;"><img loading="lazy" class="wp-image-18218 size-full" src="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ED%95%9C%EB%AA%BD%EA%B7%B8%EB%A6%B0%EB%B2%A8%ED%8A%B8-1.png" alt="" srcset="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1.png 625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1-600x338.png 600w" sizes="(max-width: 625px) 100vw, 625px"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 1px solid rgb(225, 225, 225); max-width: 100%; height: 352px; margin-bottom: 0px; width: 625px; display: block;"><figcaption id="caption-attachment-18218" class="wp-caption-text"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Verdana, BlinkMacSystemFont, -apple-system, 'Segoe UI', Roboto, Oxygen, Ubuntu, Cantarell, 'Open Sans', 'Helvetica Neue', sans-serif; text-align: left; margin: 6px 0px 26px; font-size: 11px; font-style: italic; line-height: 17px; color: rgb(68, 68, 68);">한-몽 그린벨트 사업단 제공</figcaption></figure><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산림청 산하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단장 이성길)은 6월 19일부터 28일(10일간)까지 한국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의 산림종자 전문가팀을 몽골로 초청하여 현장 자문 및 워크숍을 진행했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산림종자 전문가팀은 한국-몽골 간 양자협력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몽 그린벨트 프로젝트 제3단계 사업지인 우브르항가이, 셀렝게, 홉스굴 아이막과 에르데네트 산림유전자원센터를 방문하여 몽골의 산림종자 생산·관리 현황을 확인하고 몽골 산림자원 조성의 핵심인 우수 종자 확보와 공급에 관한 자문을 제공하는 한편, 몽골 산림 관계자들과 함께 현장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몽골 산림종자 공급 방안을 제안하는 맞춤형 워크숍을 개최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국가 중 하나로 꼽히는 몽골은 전국토의 76.8%가 사막화의 영향을 받고 있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으며, 이를 타개하기 위하여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은 2021년 9월 유엔총회에서 기후변화와 사막화 대응을 위하여 2030년까지 몽골에10억 그루의 나무를 심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의 10억 그루 나무 심기 목표 달성을 위한 첫 관문은 우수한 산림 종자와 묘목의 공급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몽골정부는 몽골 제2의 도시인 에르데네트에 산림유전자원센터를 설립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펼치고 있으나 채종원 조성과 우수 종자 선별과 보급 등에 경험이 있는 전문 인력을 확보하지 못하여 한국의 산림종자 전문가 파견 및 경험 공유를 요청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우리나라 산림청(청장 남성현)과 몽골의 환경관광부(장관 바트-에르데네)간의 합의로 2007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은 한-몽 그린벨트 프로젝트 1단계(2007년~2016년), 2단계(2017년~2021년)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행하여 몽골의 사막화방지와 산림분야 인재 양성,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 내 녹색공간 조성 등의 성과를 거뒀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작년부터 시작된 한-몽 그린벨트 프로젝트 3단계(2022~2926) 사업은 산불대응 시스템 구축, 사막화 방지를 위한 양묘장 조성, 혼농임업 프로그램 도입, 민관협력 참여숲 만들기 등을 통하여 몽골의 산림분야 역량을 제고하고 몽골의 10억 그루 나무 심기 운동을 지원하고 있다.</p><figure id="attachment_18220" aria-describedby="caption-attachment-18220" class="wp-caption alignno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5px; text-align: center; max-width: 100%; width: 625px;"><img loading="lazy" class="wp-image-18220 size-full" src="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ED%95%9C%EB%AA%BD%EA%B7%B8%EB%A6%B0%EB%B2%A8%ED%8A%B8-3-scaled.jpg" alt="" srcset="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scaled.jpg 256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600x450.jpg 60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1024x768.jpg 1024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768x576.jpg 768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1536x1152.jpg 1536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2048x1536.jpg 2048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696x522.jpg 696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1068x801.jpg 1068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1920x1440.jpg 192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560x420.jpg 56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80x60.jpg 8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한몽그린벨트-3-265x198.jpg 265w" sizes="(max-width: 2560px) 100vw, 2560px"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 1px solid rgb(225, 225, 225); max-width: 100%; height: 1920px; margin-bottom: 0px; width: 2560px; display: block;"><figcaption id="caption-attachment-18220" class="wp-caption-text"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Verdana, BlinkMacSystemFont, -apple-system, 'Segoe UI', Roboto, Oxygen, Ubuntu, Cantarell, 'Open Sans', 'Helvetica Neue', sans-serif; text-align: left; margin: 6px 0px 26px; font-size: 11px; font-style: italic; line-height: 17px; color: rgb(68, 68, 68);">한-몽 그린벨트 사업단 제공</figcaption></figure><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산림종자 전문가팀을 몽골에 초청한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의 이성길 단장은 “몽골이 겪고 있는 심각한 토지황폐화 및 사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수 산림종자와 묘목 공급을 통한 대규모 조림사업이 필수적이며, 헐벗었던 국토를 성공적으로 녹화한 한국의 경험을 몽골과 나누는 것은 한국-몽골 양국의 협력을 넘어 서서 전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에도 기여하는 매우 뜻깊은 일”이라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산림종자 전문가팀을 이끈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권용락 종묘관리과장은 “숲으로 잘 사는 대한민국을 넘어 해외에 처음으로 산림종자분야 현지 협력을 시도하는 만큼 지속적으로 양국 간의 협력을 통하여 한국의 산림 종자 관리 기술을 알리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p></div><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한국, 미국·몽골과 3국 핵심광물 협의체 출범</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8T09:28:11+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8</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외교부는 이도훈 2차관이 몽골 현지에서 잠발 간바타르 몽골 광업중공업부 장관, 호세 페르난데즈 미국 국무부 경제차관과 ‘한·미·몽 핵심광물 3자 협의체’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3국은 광물 샘플 분석 협업을 추진해 나가기로도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몽골, 미국-몽골 양자 간 추진 중인 광물 탐사 정보를 공유하면서 3국 간 공통 관심지역을 발굴해 역량을 집중시키기로 뜻을 모았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이번 한·미·몽 고위급 핵심광물 협의를 계기로 3국 간 민관 협의 세션도 함께 열렸다. 이 세션에는 3국 광물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몽골의 광물자원 시장 현황과 잠재력 및 투자 전망에 관한 정보를 교환했다. 외교부는 “(세션 참석자들은) 몽골의 주요 수출품인 석탄, 구리 외에 희토류, 리튬 등 배터리 소재 핵심광물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고 전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한편, 정부는 미국 등과 함께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을 통한 글로벌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 및 다변화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한, 미, 몽 핵심광물 3국간 협력을 MSP 파트너국과 자원보유국간 협력의 주요 모범 사례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p></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25923.jpg" title="168783382592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32433.jpg" title="168783383243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41218.jpg" title="168783384121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49187.jpg" title="168783384918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58397.jpg" title="168783385839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66372.jpg" title="16878338663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73661.jpg" title="168783387366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81158.jpg" title="168783388115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90623.jpg" title="168783389062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897801.jpg" title="168783389780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904909.jpg" title="168783390490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912637.jpg" title="16878339126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954758.jpg" title="168783395475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964253.jpg" title="168783396425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972136.jpg" title="168783397213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833980196.jpg" title="1687833980196.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외교부, 제7차 한-몽골 공동위원회 개최</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7T09:35:47+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7</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외교부는 이도훈 제2차관이 지난 26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다쉬젝베 아마르바야스갈랑 내각관방부 장관과 제7차 한-몽골 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양국관계, 경제‧실질 협력, 인적‧문화적 교류, 한반도‧지역‧국제 협력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고 발표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양측은 한국과 몽골이 자유, 민주주의‧인권 등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전략적 동반자로서 경제, 개발협력, 한반도 문제, 국제무대 협력 등 폭넓은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을 발전시켜 오고 있는 것을 평가하고, 최근 활발히 진행된 고위급 교류를 통해 축적한 성과를 기반으로 한층 성과를 거양해 나가자는데 의견을 같이하였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양측은 양국의 경제구조는 상호보완적인 만큼, 서로가 가진 강점을 활용하여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호혜적 협력을 곳곳에서 개척 가능하다는 데 공감하였다. 이 차관은 양국 간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보강을 위해 경제동반자협정 및 투자보장협정 관련 협상의 가속화가 필요하다고 하면서, 우리 진출 기업들이 우호적인 환경속에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몽측의 각별한 관심과 협조를 요청하였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 차관은 대외환경의 변화로 인한 공급망의 불안정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부존자원이 풍부한 몽골과의 협력이 중요하고, 한국이 몽골의 광물 산업 발전을 위한 역량 개발 지원 및 관련 인프라 구축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아마르바야스갈랑 장관은 경제개발정책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몽골 정부의 신도시 개발 정책을 소개하면서, 한국측의 관심과 협력을 요청하였고, 이 차관은 KOICA 신규사업으로 추진중인 新하라호름 개발 등을 통해 몽골 국토균형발전 및 인구집중 문제 완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하였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한편 이 차관은 남북한 동시 수교국이자 북한에 상주공관을 유지하고 있는 몽골 측의 한반도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하였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수흐바타르 광장에서 열린 “세계 중소기업의 날-2023” 전시회</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7T10:08:18+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7</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img loading="lazy" class="alignnone size-full wp-image-18205" src="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ec63b3a5d11629e435d736647f263791.png" alt="" srcset="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ec63b3a5d11629e435d736647f263791.png 825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ec63b3a5d11629e435d736647f263791-600x400.png 600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ec63b3a5d11629e435d736647f263791-768x512.png 768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ec63b3a5d11629e435d736647f263791-696x464.png 696w, https://himongolianews.net/wp-content/uploads/2023/06/ec63b3a5d11629e435d736647f263791-630x420.png 630w" sizes="(max-width: 825px) 100vw, 825px" style="width:825px; box-sizing: border-box; border: 1px solid rgb(225, 225, 225); max-width: 100%; height: 550px; margin: 0px 5px; display: inline-block;"></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어제 26일부터 수흐바타르 광장에서는 “2023 세계 중소기업의 날”이 개막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오는 28일까지 열리는 이번 박람회는 몽골 대통령이 후원하는 “2023 세계수출진흥회의”의 일환으로 가죽, 양모, 캐시미어, 유기농식품, 봉제, IT, 수공예 분야 등의 국내외 200여개 기업이 참가하여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 박람회는 개도국의 무역 및 수출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의 제품을 국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유엔은 매년 6월 27일을 세계 중소기업의 날로 기념한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중국 내륙항 간츠모드…일일 물동량 사상 최대규모</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6T09:51:11+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6</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중국 북부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간츠모드는 중국의 주요 에너지 수입 채널이자 중국-몽골-러시아 경제 회랑의 중요한 허브로 꼽힌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신화통신에 따르면 간츠모드 내륙항에서 처리하는 1일 물동량이 사상 최대 규모인 17만 톤을 넘어섰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2022년에는 2021년 대비 2배 이상인 1,900만 톤 이상의 물품 통관을 완료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항만청은 지난 목요일 기준으로 간츠모드 내륙항에서는 1,500만톤 이상의 물품을 처리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지능적이고 능률적인 통관 시스템 덕분이라고 전했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어용에르덴 몽골 총리, 베이징 방문</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7T10:18:42+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7</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어용에르덴 몽골 총리는 중국 공식 방문을 위해 어제 26일 베이징에 도착했다. 이날 총리는 쑨웨이동 중국 외교부 부장, 차이원루이 주몽골 중국대사, 바드랄 주중 몽골대사 등의 환영을 받았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방문 기간 동안 총리는 시진핑 국가주석, 리창 국무원 총리, 자오류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과 공식회담을 가질 예정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총리는 여름 다보스 포럼이라고 불리는 세계경제포럼에도 참석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코로나19로 중단되었던 하계 세계경제포럼은 27일 오늘 중국 톈진에서 개막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포럼은 ‘기업가 정신 : 세계 경제의 원동력’이라는 주제로 경제 성장의 재개, 세계 속의 중국, 에너지 전환 및 재료 공급, 자연과 기후 보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소비 추세, 혁신 발전 등의 소주제를 놓고 168개 분과 토론이 진행된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
<p> </p><div> </div><div>2023년06월23일 몽골소식 </div><div> </div><div>투자법 개정 초안이 준비돼.</div><div>투자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이 개정안에 다음 10가지 규정이 포함되어 있다. </div><div>-투자 활동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일부 규정이 삭제되었다. </div><div>-국제 모범 사례에 따라 투자자에 대한 보증이 개선되었다. </div><div>-투자자 권익 보호를 위한 협의체 또는 고충처리 제도를 마련하고 그 해결방안의 구체화 </div><div>-국제 중재를 통해 투자 분쟁을 해결할 권리가 보장된다. </div><div>-투자를 보호하고 지원하는 역할은 모든 정부 조직의 기능으로 정의된다. </div><div>-세금 차이와 모호성을 없애기 위해 세법에서 인센티브를 규제하고 원천징수세율과 금액을 균등화하도록 변경한다. </div><div>-계획된 검사와 국가 검사의 중복 제거 </div><div>-비자 및 거주 허가 취득 절차가 간소화되고 투자자에게 이중 부담을 주는 규제의 완화. </div><div>-안정화 인증서 발급 기준을 간소화하고 전자 발급 조건을 만들었다. </div><div>-토지 사용 관계와 관련된 법률 규정은 토지법에 따라 만들어졌다. </div><div>unuudur.mn 23.06.23</div><div>몽골, 카타르 경제 관계 확대 합의</div><div>6월 21일 울란바토르에서 몽골 외교부와 카타르 외교부 간 두 번째 정치협의회가 열렸다. 협의 회의는 몽골측 N.Ankhbayar 외교부 사무총장과 Ahmad Hassan Al-Hammadi 카타르 외교부 사무총장이 공동의장을 맡았다.</div><div>N.Ankhbayar 외교부 장관은 협의 회의 시작에서 "몽골과 카타르 수교 25주년이 되는 올해, 양국 외교부에서 협의회를 열고 있는데, 실현 사항을 정리하는 게 중요하다.</div><div>Ahmad Hassan Al-Hammadi 카타르 외무부 사무총장은 양국 관계가 해마다 확대되는 데 대해 만족을 표시했으며 무역 및 경제 협력을 증진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카타르 측에서 몽골 경제에 투자할 것을 강조했다.</div><div>2023~2025년을 '몽골 방문의 해'로 선포한 것과 관련해 관광산업 협력 확대와 양국 간 직항편 개설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올해 안에 모든 종류의 여권 소지자에 대해 상호 비자 요건을 면제하는 정부 간 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양국은 관계의 법적 기반을 더욱 강화하는 것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환경, 관광, 교육, 문화 및 스포츠 분야에서 협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문서를 만든다.</div><div>unuudur.mn 23.06.23</div><div>Rosneft, 석유 공급의 신뢰성을 보장하겠다고 밝혀.</div><div>2023년 6월 21일, G.Zandanshatar 국회의장이 러시아 Rosneft CEO I. Sechin을 만났다.</div><div>회의에서 몽골로의 석유 제품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 보장과 가격 인하 가능성, 울란바토르의 에너지 생산 시설 업그레이드를 포함하여 양국 간의 포괄적인 에너지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div><div>당사자들은 미래의 위험과 불가항력으로 인해 공급이 중단될 경우 취할 조치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합의했다. 구체적으로 올해 6월 몽골 철도 부하로 인한 석유 공급 지연에 대한 보상 문제를 논의했다. 당사자들은 앞으로 몇 달 안에 지연된 석유 공급을 보충하기로 합의했다.</div><div>에너지 비축은 에너지 시장의 안정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osneft는 지난 8월 Kherson Company의 Angarsk 정유 공장에서 30일간 계획된 유지 보수 작업과 관련하여 몽골로 수출되는 연료의 양을 줄이기로 결정했다고 광업, 중공업부에 알렸다. 다만 이번 회의에서는 예정된 수리 작업 전인 6월과 7월에 몽골에 공급할 연료량을 늘리기로 합의했다.</div><div>회의 중 러시아 측은 2022년 12월 몽골 법률에 대한 관련 개정안 도입과 신공항의 연료 분배 단지에 제트 연료 공급 가능성에 대한 몽골 국회(Great Khural of Mongolia)의 중요한 기여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 </div><div>G.Zandanshatar 국회의장과 Igor Sechin Rosneft CEO는 몽골과 러시아 간의 관계가 좋은 이웃과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공급 신뢰성이 보장될 것이다."라고 말했다.</div><div>"Rosneft"는 2005년부터 몽골 시장에 석유 제품 공급에 전념해 왔으며, 현재까지 몽골에 총 1,370만 톤의 석유 제품을 공급했다.</div><div>Ikon.mn 23.06.23</div><div>개발 지연 감소 및 수출 다각화 증가</div><div>내륙국인 몽골은 많은 무역 및 수출 문제에 직면해 있다. 국가의 수출은 광물에 크게 의존하며 주로 원자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부가가치를 높이고 디지털화의 발전을 기반으로 무역 및 수출 능력을 향상함으로써 경제를 다각화하고 광물 부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보고 있다.</div><div>몽골 경제는 최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수년 연속 위축됐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로 큰 타격을 받았지만 2022년부터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다.</div><div>2022년 무역규모는 2021년에 비해 32% 증가, 이는 2022년 경제가 4.8% 성장하는 데 영향을 미쳐</div><div>그러나 이러한 회복은 단 하나의 부문인 광물 부문과 단 하나의 파트너인 중국과의 무역에 달려 있다. 몽골 수출품의 90% 이상이 광물이며 전체 수출의 80% 이상이 중국이다. 이는 몽골의 무역 구조와 기반이 열악하여 외부충격에 경제가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div><div>또한 몽골은 내륙 지형으로 인해 높은 운송 및 무역 물류 비용, 상품 수출 시 시간 손실 등의 손실에 직면해 있다. 다자간 무역 문제에 직면한 몽골은 무역 잠재력이 크지만 세계 시장에서 실적이 저조하다.</div><div>유엔이 디지털 및 지속 가능한 무역 촉진에 대해 실시한 글로벌 설문 조사에 따르면 몽골의 성과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및 세계 평균보다 훨씬 낮다. 몽골의 무역은 세계 무역 통합에서 가장 덜 통합된 국가 중 하나다. 몽골은 WTO 회원국이지만 일본과의 경제동반자협정과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APTA) 2개 지역무역협정에만 가입했다.</div><div>무역 및 물류 네트워크에 대한 몽골의 연결성은 매우 제한적이다. 세계은행이 최근 발표한 물류성과지수에 따르면 몽골은 세계 97위다.</div><div>국제 무역은 몽골 경제 성장의 주요 기둥이었다. 내수 시장 확대는 국가 경제성장을 높이는 한 가지 방법이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가 광활한 지역에 퍼져 있는 몽골에게는 쉬운 선택이 아니다.</div><div>제한된 국내 시장과 세계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막대한 천연 자원을 가진 몽골의 경우 무역 기반 경제 성장이 앞으로 나아갈 주요 방법임이 분명하다.</div><div>무역 기반 경제 발전을 강화하기 위해 몽골은 통합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4가지 차원에서 무역 능력을 높여야 한다. 네 가지 차원은 다음과 같다.</div><div>-거래 비용을 줄이기 위한 절차 및 절차의 채택을 지원.</div><div>-세계 시장에 대한 몽골의 접근을 가속화하고 통합에 참여하여 제3의 이웃 정책을 지원.</div><div>-제품 및 서비스의 흐름을 촉진하기 위해 글로벌 물리적 및 디지털 네트워크에 연결.</div><div>-몽골 수출시장 개척, 투자유치 및 생산 다각화.</div><div>이러한 방법을 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몽골은 문제점을 극복하고 개발되지 않은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위의 4개 분야에서 몽골의 무역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책/거버넌스, 인적 및 재정적 자원, 인프라, 디지털화 및 협력 등 5가지 부문 간 가능 요인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하며, 역량 강화 및 결실을 맺는 무역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div><div>-명확한 정책은 거래 생태계의 토대를 마련하고 거버넌스는 지속 가능성을 보장한다.</div><div>-인적 자원과 재정 자원은 상업 생태계를 가능하게 하고 유지하는 엔진이다.</div><div>-소프트 및 하드 인프라는 중단 없는 제품 및 서비스 흐름의 중추다.</div><div>-디지털화는 우리가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방식을 형성하고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지원한다.</div><div>-협력은 해외 무역 파트너와 몽골의 무역 생태계가 구축한 관계를 강화하고 시장을 확장한다.</div><div>유엔은 몽골에서 2023-2027년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유엔 프레임워크(UNSDF) 전략에 정의된 세 가지 우선 개발 목표 중 하나인 녹색적이고 포용적이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국제 무역의 발전이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몽골 정부와 유엔 간의 통일된 협력을 안내할 이 전략적 문서는 몽골의 중기 발전 정책인 새로운 부흥 정책에 포함된 국가 지속 가능한 발전의 우선 목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Alsin Hara-2050의 장기 개발 정책.</div><div>무역개발은 신재생정책의 두 가지 과제인 항만 부흥과 산업화부흥과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국가라는 비전 2050 정책의 네 번째 목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div><div>몽골 유엔은 무역 발전의 지체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 맞춰 무역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한 몽골 정부의 노력, 즉 수출 시장과 제품을 다양화하면서 무역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려는 노력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div><div>2023년 현재 몽골의 UN 시스템 조직은 이 분야에서 상당한 지원을 제공했다. 몽골의 일반적인 전자상거래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는 전자상거래 준비도 평가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또한 광업 중심 경제에서 지적 광업 기반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ICT Expo 2023, Mindgolia 를 개최한다. 또한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xpo 2023이 이번 6월 개최를 지원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자무역 및 상거래 발전에 관한 국제 글로벌 전자 대화가 2년째 개최되었다. 울란바토르는 아직 완전히 활용되지 않은 수출 개발의 거대한 잠재력을 발굴하기 위해 6월 마지막 주에 세계수출촉진회의(WEPC) 2023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러한 모든 조치는 UNFCCC 및 국제 무역 센터(ITC)와 같은 무역 전문 UN 기관과 협력하여 몽골 정부의 지도력 아래 시행되고 있다.</div><div>몽골의 UN은 시스템 내의 전문 기관 및 기타 개발 파트너 국제 조직을 포함하여 모든 관련 이해 관계자와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몽골의 무역 개발 여정에서 강력한 파트너가 될 것이다.</div><div>News.mn 23.06.23</div><div>외국 은행이 들어오면 통화량 증가 및 금리가 떨어져</div><div>Khurelbaatar경제개발부 장관이 내각 회의에서 정부의 경제 안정화 결의안 도입에 대해 알렸다.</div><div>그는 "일련의 쟁점은 은행 부문의 경쟁 심화 문제다. 기존 은행 외에 대형 외투은행이 들어오면 몽골 통화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증가하면 이자율이 떨어지기 시작한다.</div><div>우리는 지난 20-30년 동안 일부 시중은행과 함께했다. 따라서 몽골은행은 은행과 금융을 적극적으로 자유화하고 투자를 유치해야 한다.</div><div>은행 부문의 경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이자율이 내려갈 것이다.'</div><div>Ikon.mn 23.06.22</div><div>대부분의 관광객은 러시아, 중국, 한국에서.</div><div>2023년 이후 우리나라를 찾은 관광객은 22만6517명이다.</div><div>6개월 동안 가장 많은 수의 관광객(111,216명)은 러시아에서 왔으며 중국에서 41,768명, 한국에서 27,743명이 방문했다.</div><div>총 86,855명의 관광객이 항공으로 국경을 넘었으며, 46,840명은 Altanbulag 항구를 통해, 36,386명은 Borshoo 항구를 통해, 29,124명은 Zamyn-Uud 항구를 통해 입국했다.</div><div>몽골은 올해 관광객 100만명 유치를 목표로 세웠다.</div><div>Ikon.mn 23.06.22</div><p>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최질수렝, 올해 중국과 러시아의 가스관 건설 계약 체결 가능성 높아</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3T10:32:32+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3</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환경오염감소를 위한 국가위원회의 구성은 몽골 정부의 법령에 의해 승인되었다. 위원회는 장관 6명, 차관 4명, 수도지사, 울란바토르 시장, 수석고문 4명, 부처장 6명 등 총 21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회의에서 최질수렝(B. Choijilsuren) 에너지부 장관은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 작년에 430억 투그릭의 예산이 책정되었지만, 석탄을 계속 사용할 경우 대기 오염이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그는 지난 7일간의 러시아 방문에서 러시아와 중국 간의 가스관 건설에 대한 정보를 확인했다고 밝히면서 현재 러시아와 중국이 협상 중이라고 했다.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가정하면 올해 내에 가스관 계약이 체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빠르면 2024년부터 가스관 공사가 시작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장관은 공사 기간은 약 4년 정도 예상되며 이 기간 내에 공사가 완료된다면 몽골은 2029년 이전에 매우 저렴한 천연가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500억 입방미터의 천연가스를 러시아에서 몽골 영토를 거쳐 중국으로 운송하는 ‘시베리아의 힘 2’ 프로젝트는 수년 동안 논의되었지만 결실을 맺지 못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서방의 대 러시아 제재로 인하여 중국은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의 주요 시장이 되었고 프로젝트는 탄력을 받고 있는 상태다.</p></div><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러시아 로스네프트, 몽골에 몇 달간 석유공급 확대</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3T10:15:18+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3</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러시아 국영 통합 에너지사인 로스네프트(Rosneft)는 이고르 세친 로스네프트 CEO와 몽골 국회 의장 잔단사타르가 회의를 갖고 양국 간의 포괄적인 에너지 협력 개발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양국은 몽골에 대한 석유 제품과 원유 공급, 특히 울란바토르 발전 시설의 현대화 등에 대해서 의견을 나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로스네프트는 공급 가격의 안정성이 협상의 핵심 주제 중 하나였으며 석유 제품 가격 설정에 유연한 시장 접근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이전에 합의한 약속을 확인했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몽골의 철도 혼잡으로 6월에 공급되지 않은 석유 제품을 보충하고, 안가라 정유소의 예정된 유지보수 계획을 고려하여 향후 몇 달 동안 석유 제품 공급을 늘리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세친 로스네프트 CEO는 “몽골은 우리의 전략적 에너지 파트너다. 우리는 국가 에너지 공급의 신뢰성을 보장한다.”라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로스네프트는 2005년부터 몽골 시장에 진출했으며 총 1,370만 톤의 석유 제품을 몽골에 수출했다.</p></div><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관광업계, “관광산업 종사자 직업 안정성 떨어져”</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2T10:33:18+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2</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바트울지 환경관광부 장관이 주재하는 관광산업 활성화 회의에서 대학, 관광업계 대표 등이 참여하여 몽골 관광산업의 인적자원 및 직업 안정성에 대해 논의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업계 관계자들은 몽골의 관광산업이 코로나 시기를 거치면서 어려움을 겪었는데 그 중 하나가 관광 인프라 감소와 인력 감소라고 지적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코로나 시기 이전과 비교해 관광업 종사자의 78%, 관광 센터 68%, 호텔 25%, 레스토랑 50%이 사라졌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에는 총 16개 대학에서 관광 인력을 육성하고 있으며 대학교 관광학과 졸업생 수는 지난 2007년 7,251명에서 2022년에는 979명으로 줄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는 몽골의 관광업 성수기가 여름에만 집중되어 있어 직업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 학생들이 해외에서 공부하고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업계 대표들은 농촌에서도 관광산업을 육성하여 지역 아이덴티티와 브랜드를 육성하고 지역민을 기반으로 관광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사계절 관광객을 받아 지속 가능한 관광과 관련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div><p> </p><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797662.jpg" title="168740779766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05786.jpg" title="168740780578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12763.jpg" title="16874078127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19425.jpg" title="168740781942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26335.jpg" title="168740782633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34891.jpg" title="16874078348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41997.jpg" title="168740784199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51778.jpg" title="168740785177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57952.jpg" title="168740785795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65464.jpg" title="168740786546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72914.jpg" title="168740787291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79966.jpg" title="168740787996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86675.jpg" title="168740788667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894930.jpg" title="16874078949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02821.jpg" title="168740790282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09386.jpg" title="168740790938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16439.jpg" title="168740791643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23154.jpg" title="168740792315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31294.jpg" title="168740793129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39546.jpg" title="16874079395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45737.jpg" title="16874079457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56648.jpg" title="168740795664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63896.jpg" title="16874079638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71459.jpg" title="168740797145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78746.jpg" title="16874079787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86559.jpg" title="168740798655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7993746.jpg" title="168740799374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8000951.jpg" title="168740800095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8007661.jpg" title="168740800766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8015871.jpg" title="168740801587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408023822.jpg" title="1687408023822.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대전혁신센터·몽골 과학단지청, 글로벌 교류 확대 MOU 체결</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2T09:56:30+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2</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대전혁신센터가 20일 본원에서 몽골 교육과학부 산하 과학단지청과 글로벌 교류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p><div id="newsct_article" class="newsct_article _article_body" style="box-sizing: border-box;"><div id="dic_area" class="go_trans _article_content" style="box-sizing: border-box;">협약식에는 박대희 대전혁신센터장, 황윤성 대전혁신센터 경영기획본부장과 바토토크 도르쟈토프(<span data-type="ore" data-lang="en" style="box-sizing: border-box;">Battogtokh</span> <span data-type="ore" data-lang="en" style="box-sizing: border-box;">Dorjgotov</span>) 몽골 교육과학부 국장, 아마르사나 바드가(<span data-type="ore" data-lang="en" style="box-sizing: border-box;">Amarsanaa</span> <span data-type="ore" data-lang="en" style="box-sizing: border-box;">Badgaa</span>) 몽골 과학단지청 전무이사 등이 참석해 양국의 스타트업 공동 발전에 기여하기로 했다.<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양측은 협약에 따라 벤치마킹을 위한 산업시찰 연계 지원, 보육·지원기업 및 회원사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공동사업 기획 및 추진, 스타트업의 상대 국가 시장진출 공동 지원 을 하기로 약속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과학단지청은 몽골 교육과학부 산하기관으로 지식기반 혁신기술산업 개발, 과학산업 제품 활성화 등 첨단기술산업 기반인 기업가·신생기업을 배출하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아마르사나 바드가 몽골 과학단지청 전무이사는 “몽골 울란바토르에 과학단지를 구축하고 있다”며 “창업생태계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조성할 것인지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와 논의하며 서로 협업할 기회가 생겨 기쁘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박대희 대전혁신센터장은 “몽골 과학단지청과의 협업을 통해 대전의 스타트업이 몽골시장에 진출할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며 공동 기술 개발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관광업계, “관광산업 종사자 직업 안정성 떨어져”</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2T10:33:18+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2</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바트울지 환경관광부 장관이 주재하는 관광산업 활성화 회의에서 대학, 관광업계 대표 등이 참여하여 몽골 관광산업의 인적자원 및 직업 안정성에 대해 논의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업계 관계자들은 몽골의 관광산업이 코로나 시기를 거치면서 어려움을 겪었는데 그 중 하나가 관광 인프라 감소와 인력 감소라고 지적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코로나 시기 이전과 비교해 관광업 종사자의 78%, 관광 센터 68%, 호텔 25%, 레스토랑 50%이 사라졌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에는 총 16개 대학에서 관광 인력을 육성하고 있으며 대학교 관광학과 졸업생 수는 지난 2007년 7,251명에서 2022년에는 979명으로 줄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는 몽골의 관광업 성수기가 여름에만 집중되어 있어 직업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 학생들이 해외에서 공부하고 일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업계 대표들은 농촌에서도 관광산업을 육성하여 지역 아이덴티티와 브랜드를 육성하고 지역민을 기반으로 관광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사계절 관광객을 받아 지속 가능한 관광과 관련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div></div>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346797.jpg" title="168733834679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356396.jpg" title="16873383563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365631.jpg" title="168733836563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373602.jpg" title="168733837360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383905.jpg" title="168733838390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393861.jpg" title="168733839386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01230.jpg" title="16873384012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09661.jpg" title="168733840966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17789.jpg" title="16873384177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28347.jpg" title="168733842834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39350.jpg" title="168733843935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47738.jpg" title="168733844773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56863.jpg" title="16873384568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65504.jpg" title="168733846550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73659.jpg" title="168733847365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82473.jpg" title="16873384824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89235.jpg" title="168733848923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498120.jpg" title="168733849812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507985.jpg" title="168733850798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516875.jpg" title="168733851687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525178.jpg" title="168733852517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533989.jpg" title="16873385339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541122.jpg" title="168733854112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338551595.jpg" title="1687338551595.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div><div>2023년06월21일 몽골소식</div><div> </div><div>투자법이 개정된다.</div><div>오늘 정부 회의의 결정 사항 발표에서 Ch. Khurelbaatar 경제개발부 장관은 "과거에는 몽골에 대한 투자 금액이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몽골의 경제를 더욱 확장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투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오늘 투자법을 개정하기로 결정했다. 4월 14일부터 모든 논의가 진행되었고 120개 이상의 기관으로부터 의견이 접수되었다. 제안 중 60%가 개정안에 포함되었으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div><div>-투자자 고충처리 위원회 설립.</div><div>-투자자 자신이 중재를 거칠 기회를 갖게 돼.</div><div>-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요소들이 제거된다고 강조했다. </div><div>unuudur.mn 23.06.21</div><div>L.Oyun-Erdene 총리, 중국 방문</div><div>L.Oyun-Erdene 총리가 Li Qian중국 국무원 총리의 초청으로 6월 26일부터 7월 1일까지 중국을 공식 방문한다.</div><div>방문 기간 동안 L.Oyun-Erdene 총리는 중국 국무원의 Li Qiang 총리와 공식 회담을 갖고 Xi Jinping 중국 국가주석, Zhao Luji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과 회담을 갖는다. 회담에서 몽골과 중국 간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확장 및 발전시키고 호혜적인 협력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방문기간 동안 양자 협력 문서에 서명한다.</div><div>또한 L.Oyun-Erdene 총리는 톈진에서 개최되는 2023년 "하계 다보스" 국제 경제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div><div>unuudur.mn 23.06.21</div><div>향후 기준금리 인상 없을 것</div><div>어제 국회 경제상임위원회가 52.6%의 출석률로 개막해 2가지 안건이 논의·의결됐다.</div><div>이날 회의는 J.Bat-Erdene이 주재했다.</div><div>몽골은행 2022년 활동보고서와 몽골은행 감독위원회의 보고서가 논의되었고, 몽골은행 G.Dolgoen이 발표했다.</div><div>몽골이 작년에 일련의 주요 도전에 직면했다고 소개 초반에 언급되었다. 몽골은행의 정책과 활동은 전염병과 극심한 국제 지정학적 불안정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 경제 성장 촉진, 인플레이션 억제, 은행 및 금융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div><div>2022년에는 지정학적 위기와 그로 인한 공급망 중단으로 인해 전 세계 가격, 특히 에너지 및 식품 가격이 상승했다. 많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은 지난 수십 년 동안보다 높은 인플레이션에 직면하여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을 펼쳤다. 첫 번째 몽골 은행 부총재는 어려운 선택에 직면했다고 강조했다.</div><div>세계 최대 경제 강국인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과 부진한 경제성장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도 언급됐다. 보고서 발표에서 그는 해외 시장의 높은 원자재 가격이 우리의 수출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광업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문제가 있다고 했다. </div><div>그러나 실물경제는 전체적으로 4.8% 성장했다고 그는 비광업 부문의 회복, 즉 정부와 몽골은행의 신용패키지와 금융정책과 대책의 결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강화한다. 이처럼 노동력을 많이 흡수하는 무역, 서비스업, 농업, 가공업 등의 순조로운 성장으로 몽골 경제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는 결론이 나왔다.</div><div>그는 글로벌 가격 상승 폭풍의 강력한 영향이 우리나라에서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2022년 인플레이션의 절반 이상이 수입품 가격 상승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발생했으며 이는 안정적이고 접근 가능한 공급 시스템의 개발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 매우 중요함을 증명하고 있다. 국내 생산과 수입 의존도가 높은 소비 구조. 또한 이웃한 두 나라에 운송 체증과 오작동의 발생은 우리 나라의 운송 시간 및 비용 증가, 인플레이션 유발, 경제 성장 둔화 등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했다.</div><div>2022년 하반기에 석탄 수출이 증가했지만, 지난해 상반기에는 불리한 대외 여건과 국경 제한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 주목했다. 동시에 국내외 연료가격 상승과 경기회복으로 수입이 2년 연속 급증하여 연간 7억 2,700만 달러의 국제수지 적자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9억6700만달러 감소했다. G.Dolgoon 몽골은행 제1부총재는 지난해 대외수지 적자 및 지급준비금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몽골은행이 상대적으로 유연한 환율정책과 외환보유고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펼쳤다고 했다.</div><div>그는 몽골은행의 활동은 은행 및 금융 부문의 발전을 목표로 하며 2022년 중앙은행이 개시한 "은행 부문 개혁 프로그램" 및 "은행 부문 법률 개혁 프로그램"의 틀 내에서 있다고 말했다. 일부 은행은 주식을 공개하기 시작했고 합자 회사 소유 형태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 이것은 은행 업계에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했다.</div><div>또한 결제 시스템을 한 단계 끌어올려 토큰 서비스 시스템을 도입하고 국내 투구릭 카드로 무역 상대국에 결제가 가능하도록 했다.</div><div>전염병과 어려운 지정학적 상황은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몽골의 취약성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국내 물가와 환율은 해외 물가에 크게 좌우되며, 운송·물류의 안정성은 기업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G.Dolgoon 부총재는 경제 성장에 대한 접근 문제가 미래의 경제 및 사회적 안정을 위해 중요하다고 말했다.</div><div>이러한 문제는 통화 정책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정부와 협력했다. </div><div>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투구릭 환율을 보호하기 위해 지난해 필요한 정책을 신속하게 시행했다.</div><div>예를 들어 2022년에는 5번에 걸쳐 기준금리를 7% 인상했다. 그 과정에서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을 썼고 2022년 신용증가율은 평균 19%에 달했다. 그는 물가 인상에 대한 몽골은행의 정책적 결정이 성과를 내어 2022년 6월 16.9%에 달했던 인플레이션이 연말 13.2%로 감소했으며 이것이 지속적인 하락의 기본 조건이라고 말했다. </div><div>다만 그는 보고서 발표에서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 공급원의 충격 가능성, 확장예산정책 등이 통화정책의 여력을 제한하고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div><div>G.Dolgoen 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경제의 대내외 균형을 보장하기 위해 효과적인 거시 경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몽골은행의 정책과 활동은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기본 여건 조성을 지원하고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안정화시켜 경제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div><div>2022년 몽골은행 활동 보고서 및 몽골 은행 감독 위원회 보고서와 관련하여 B.Battumor, N.Hanibal, O.Tsogtgerel, J.Bat-Erdene, T.Dorjkhand는 질의를 하고 답변을 받았다.</div><div>The Financial Action Task Force FATF/ or the Financial Action Task Force FATF/, FATF의 40개 권고안 이행과 그 결과, 주택담보대출 문제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라는 위원들의 질문에 대해 몽골은행은 2020년에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조달 방지를 위해 전략적 결함이 있는 국가 목록에서 제외됐다"고 언급했다.</div><div>어떤 목록에도 포함되지 않은 회원국은 일정한 간격으로 관련 보고서를 제시해야 한다. 지난해에는 기구의 아시아태평양그룹에 보고서를 제출해 FATF가 제시한 권고안 40개 중 39개를 성공적으로 이행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런 식으로 FATF의 40가지 권고사항이 완전히 이행될 것이다. 주택담보대출과 관련해 2023년 정부 통화정책의 주요 방향은 올해 상반기 안에 주택담보대출 프로그램을 정부에 이관하는 것이다.</div><div>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지방분권화, 지역발전 지원, 지자체 참여 시 선지급 지원 등의 정책적 방안을 중앙은행과 정부가 함께 추진하고 있다. 새부흥정책에서 농촌부흥정책의 일환으로 접근성을 높이는 등의 대책을 시행한다고 답하였다.</div><div>G. Enkhtayvan 몽골은행 부총재는 몽골의 조세부담과 국제평균을 비교한 회원들의 질문에 답했다.</div><div>D. D. Davaasambuu 몽골은행 감독위원회 의장이 지하 경제에 대한 회원들의 질문에 답했다. 그는 몽골의 세금 수준이 세계 기준에 비해 평균이거나 평균 이하이며 지하 경제가 등장한 이유는 소득 등록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국가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 중 사회보험료의 절반을 근로자 명의로 적립하여 취업하여 소득이 있는 사람이 각 소득을 등록하여 각 소득의 몫을 받는 방식이다. </div><div>또한 고용을 개별적으로 기록하고 각 시민이 벌어들인 소득을 기록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요구 사항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다. 기준금리 변경에 대해 한 T.Dorjkhan위원원의 질문에 "앞으로 기준금리는 인상되지 않을 것이며, 여유가 생길 때마다 최대한 낮추도록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답했다."</div><div>Ikon.mn 23.06.21 </div><div>129,200톤 연료 보유.</div><div>6월 16일 현재 전국의 연료는 총 129,231톤이며, A-80 휘발유는 3,178톤(19일), AI-92 휘발유는 35,357톤(28일), AI-95 휘발유는 4,054톤(30일) 경유 82,547톤(32일) 보유하고 있으며 항공유는 48일분을 보유하고 있다.</div><div>울란바타르시가 보유한 연료 총 76,391톤 중 A-80 휘발유는 284톤, AI-92 휘발유는 21,126톤(22일), AI-95 휘발유는 2,707톤(37일), 경유는 46,309톤(39일) 정상적인 보유량을 갖고 있다. </div><div>우리나라는 연초부터 총 102만톤의 석유제품을 수입했다. 그 중 A-80 휘발유 950만 톤, AI-92 휘발유 286.6천 톤, AI-95/98 휘발유 8,900 톤, 경유 581,200 톤, 항공유 23,200톤, 제트 A-1 22,200 톤, 기타 88,200 톤이다. </div><div>unuudur.mn 23.06.21</div><div>몽-러 국회간 협력 공동위원회 출범</div><div>Vyacheslav Volodin 러시아연방 연방의회 의장의 초청으로 G.Zandanshatar 의장이 6월 18일부터 22일까지 러시아 연방을 공식 방문 중이다.</div><div>6월 19일,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러시아연방 연방의회 의장과 공식 회담을 가졌다.</div><div>회의가 시작되자 러시아연방 연방의회 의장 발렌티나 마트비엔코(Valentina Matvienko)는 양국 간의 전통적 우호 및 선린 관계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준으로 발전한 데 대해 만족을 표시하며 몽골에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러시아 연방의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다.</div><div>지정학적 긴장과 코로나19의 대유행 속에서도 양국은 고위급 상호방문의 빈도를 유지하며 양국 관계의 수준을 과시하고 있다.</div><div>G.Zandanshatar 국회의장은 당사국들이 양모, 캐시미어, 육류, 가죽 및 가죽 제품의 수출에 부과되는 수입 관세 철폐 및 비관세 장벽 축소에 관한 회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몽골에서 러시아에 이르기까지 상호 이해에 도달하지 못했다.</div><div>이런 맥락에서 양측은 자유무역지대 공동설립, 관세 장벽 축소 등 양국 간 무역 불균형 해소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div><div>그런 다음 G.Zandanshatar 의장과 Valentina Matvienko러시아 연방 의회 연방 의회 의장은 양국의 의회 간 협력에 관한 공동위원회를 설립하는 문서에 서명했다. 양 당사국은 올해 안에 공동위원회의 첫 번째 회의를 소집하기로 합의했다.</div><div>회의에서 다루어진 다른 문제는 경제, 에너지, 철도, 운송 및 문화 분야의 양자 관계, 교육 프로그램, 청소년 교류, 관광 및 보건 분야에서 시행될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이었다.</div><div>MONTSAM. 23.06.21</div><div>오르지오 치킨 23% 할인</div><div>2023년은 몽골 최초의 가금류 농장인 오르지오 브랜드의 10주년이 되는 해로, 장비 업그레이드와 공장의 효율성 향상을 통해 고객에게 제품 단가를 낮추고, 제품 가격. 소비재 가격이 나날이 오르는 상황에서 오르지오 브랜드는 2023년 6월부터 닭고기 가격을 23% 인하한다.</div><div>소비자들은 모든 체인점 및 델구르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오르지오" 닭고기를 구입할 수 있다.</div><div>오르지오 브랜드는 몽골에서 키우고 몽골에서 키운 닭고기를 고객에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수입 닭고기와 다르다.</div><div>이 목표의 틀 내에서 지난 10년 동안 우리는 현대식 양계를 개발하고 몽골 소비자에게 매일 새로운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는 국가 브랜드를 만들었다. 앞으로도 고객께 합리적인 가격의 닭고기 가격을 제공하고 늘어나는 수요에 부응하고자 산란계사 및 육계사를 증설하여 가공공장의 생산능력 증대에 힘쓰고 있다. </div><div>News.mn 23.06.19</div><div>몽골인의 영어 실력은 111개국 중 72위</div><div>2022년 보고서에서 전 세계 국가 시민의 영어 능력 수준을 결정하는 EF 영어 능력 지수(EF English Proficiency Index)는 몽골을 111개국 중 72위다.</div><div>세계 평균은 502점, 몽골은 485점이다.</div><div>아시아 24개국 중 13위다.</div><div>위의 평가로 몽골은 "낮은" 영어 능력 범주에 있다.</div><div>이 범주는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 및 "매우 낮음"의 총 5개 범주 아래 두 번째 수준이다.</div><div>성별로는 몽골 남성의 영어능력이 488점, 여성이 480점으로 평가됐다.</div><div>점수가 500점에 도달하면 "보통" 범주로 전환된다.</div><div>지난 6년간의 평가와 비교할 때 몽골인의 영어 지식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div><div>예를 들어 2016년에는 72개국 중 66위로 '매우 낮음' 범주에 속했고, 2021년에는 112개국 중 83위로 '낮음' 범주에 속했다.</div><div>Ikon.mn 23.06.21</div><div><br></div><p>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경제포럼 – 7월 9~10일 개최</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1T10:34:57+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1</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몽골경제포럼이 7월 9일부터 10일까지 개최된다. 약 1,500명의 참가자가 5개의 다른 장소에서 열리는 이 회의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용 에르덴(L. Oyun-Erdene) 총리가 포럼을 열고 잔단사타르(G. Zandanshatar) 국회의장이 주요 연설에 나선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포럼 첫날 일반 세션의 주제는 “몽골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정책”과 “몽골 경제 와 지속 가능한 발전” 이다. 패널 세션은 다음 세부 주제로 구성된다.</p><ul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margin-bottom: 26px;"><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노동 시장</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디지털 전환 및 e-비즈니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무역 기회 – 경제 자유 구역신산업</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식품공장</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농업 투자</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0px;">새로운 기회 – 관광</li></ul><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2일차에는 총리가 주제발표를 하고, 총회는 “새로운 미래 – 새로운 기회”와 “인프라”를 주제로 진행된다. 이날 패널 세션은 다음과 같다.</p><ul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margin-bottom: 26px;"><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투자환경</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미래 개발 – 희토류 원소, 구리, 우라늄</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새로운 에너지원 – 태양, 바람, 수소</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광물 부문, 개선의 여지</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은행 및 금융</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지역 협력 기회 – 내륙국</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주식 시장</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광업 운송 및 물류</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0px;">녹색 개발 – 녹색 금융</li></ul><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아시아 개발 은행과 리오 틴토 그룹의 고위 경영진은 2023년 몽골 경제 포럼에 귀빈으로 참석해 연설할 예정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7월 11일에는 포럼 내빈들이 나담전국축제 개막식, 문화제, 경마, 양궁 등을 관람할 예정이다.</p></div><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국가인권위원회, 간단사원 성범죄 사건 조사 착수예정</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1T10:04:26+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1</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지난 19일 바양골 지방경찰청은 소셜네트워크에 게재된 ‘수도원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이 성희롱을 당하고 있는가’라는 제목의 글의 제보를 토대로 수사에 착수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몽골 국가인권위원회의 아동학대국민운동단이 간단 사원에서 아동 보호법 제12.1조에 해당하는 범죄사건이 발생했다면서 다음 주부터 실사단을 구성해 조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현재 국가인권위원회는 음느고비에서 활동 중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형법 12조 1항(강간죄)에 따르면 성폭행 범죄에 대한 처벌은 1년 이상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고 명시되어 있다.</p></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178995.jpg" title="168725817899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190272.jpg" title="16872581902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199901.jpg" title="168725819990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07436.jpg" title="168725820743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16581.jpg" title="16872582165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24294.jpg" title="168725822429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33953.jpg" title="168725823395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41209.jpg" title="168725824120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49984.jpg" title="16872582499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59185.jpg" title="168725825918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77986.jpg" title="168725827798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84466.jpg" title="168725828446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292112.jpg" title="168725829211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01827.jpg" title="168725830182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10644.jpg" title="168725831064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18186.jpg" title="168725831818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26455.jpg" title="16872583264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35538.jpg" title="168725833553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45624.jpg" title="168725834562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54525.jpg" title="168725835452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63968.jpg" title="16872583639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72252.jpg" title="168725837225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82276.jpg" title="168725838227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91865.jpg" title="168725839186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399484.jpg" title="16872583994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07133.jpg" title="168725840713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15939.jpg" title="168725841593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25540.jpg" title="168725842554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33650.jpg" title="168725843365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41270.jpg" title="168725844127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50465.jpg" title="168725845046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58741.jpg" title="168725845874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66694.jpg" title="168725846669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75368.jpg" title="16872584753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83509.jpg" title="168725848350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492838.jpg" title="168725849283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01192.jpg" title="168725850119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09549.jpg" title="168725850954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18692.jpg" title="168725851869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27341.jpg" title="168725852734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35438.jpg" title="168725853543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43736.jpg" title="168725854373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52777.jpg" title="168725855277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64736.jpg" title="168725856473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72377.jpg" title="168725857237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80191.jpg" title="16872585801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89394.jpg" title="168725858939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599780.jpg" title="168725859978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608874.jpg" title="168725860887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617623.jpg" title="168725861762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7258626980.jpg" title="1687258626980.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div><div>2023년06월20일 몽골소식 </div><div> </div><div>국가 경쟁력 몽골은 베네수엘라, 남아프리카와 같은 수준</div><div>글로벌경쟁력센터와 경제정책경쟁력연구센터가 발간한 '세계경쟁력 연차보고서 2023'이 오늘 발표됐다. </div><div>글로벌 경쟁력 보고서에 포함된 64개국 중 몽골은 62위를 차지했다. 연구센터는 국가 경쟁력을 4가지로 평가한다. </div><div>경제력, 거버넌스 효율성, 수익성 있는 사업 활동, 인프라가 주요 지표다. </div><div>덴마크, 아일랜드, 스위스, 싱가포르, 네덜란드가 가장 경쟁력 있는 국가로 선정되었다. </div><div>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브라질·남아프리카공화국· 몽골 ·아르헨티나·베네수엘라가 경쟁력이 가장 약한 국가 로 꼽혔다.</div><div>정치화로 인해 경제의 장기적 목표에 불리한 결정을 내릴 위험이 있다는 결론</div><div>이와 관련해 경쟁력 연구 센터의 P.Tsagaan 이사장은 "글로벌 경쟁력에 대한 연례 보고서는 총 335개의 지표를 기반으로 연구되고 처리된다.</div><div>보고서는 국가 발전 방향으로 수행된 정책 및 활동의 결과를 보여준다.</div><div>우리나라는 특정 지표에 대해 총 100점 만점에 35.56점을 받았다. 이는 전년도보다 0.6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한 단계 하락했다. </div><div>몽골이 직면할 수 있는 도전:</div><div>-높은 인플레이션율은 중앙은행이 대출을 줄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div><div>-실업, 빈곤, 불평등은 여전히 시급한 사회 문제다.</div><div>-높고 예측할 수 없는 환율은 투자 결정을 어렵게 만든다. </div><div>-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지정학적 긴장과 베이징과 대만 간의 긴장은 몽골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div><div>-선거와 정치 주기에 대한 의존도는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즉, 정치적 주기로 인해 먼 미래에 경제 목표에 해가 되는 결정을 내릴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div><div>국제경쟁력 평가 최하위에서 3위</div><div>I.Odonchimeg 경쟁력연구센터 부소장은 “올해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몽골은 종합 경쟁력 순위에서 선정된 64개국 중 62위를 기록했다.</div><div>2018년부터 몽골 경쟁력 점수는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많은 요인이 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div><div>설문 조사에는 335개의 기준이 있다. 최근 과학, 로봇 공학 및 전염병의 영향으로 새로운 지표가 등장했다. </div><div>우리나라는 2015년 1차 조사에서 57위를 기록했다. 이것은 몽골에서 가장 높은 순위였다. </div><div>아쉽게도 2023년에는 최하위에서 3위에 그쳤다.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남아공 등 경쟁력 측면에서 여전히 최하위 국가에 속한다.</div><div>경영 환경 지표는 작년에 비해 크게 악화되었다. 거버넌스 지표가 작년에 비해 한 자릿수 감소했다”고 말했다. </div><div>연구의 이 하위 섹션에서는 지역 및 경제 구조를 소규모 국가와 비교합니다. 몽골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14개국 중 14위를 기록했다. </div><div>인구 2000만 미만 국가 37개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37위다. </div><div>Ikon.mn 23.06.20</div><div>몽골 경제 포럼, 2023년 7월 9~10일 개최</div><div>’몽골 방문 해’ 주제로 몽골 경제 포럼이 2023이 7월 9일부터 10일까지 10회 개최된다. 약 1,500명의 참가자가 5개의 다른 장소 에서 열리는 이 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L.Oyun-Erdene 총리가 포럼 개막을 선언하고G.Zandanshatar 국회의장이 인사말을 한다.</div><div>몽골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정책과 몽골 경제와 지속 가능한 발전이 포럼 첫날 일반 세션의 주제가 된다. 패널 세션은 다음 주제로 구성된다.</div><div>노동 시장, 디지털 전환 및 e-비즈니스, 무역 기회 - 경제 자유 구역, 신산업 – 식품공장, 농업 투자, 새로운 기회 - 관광</div><div>2일차에는 L.Oyun-Erdene 총리가 주제발표를 하고, 포럼은 ‘새로운 미래 - 새로운 기회’와 ‘인프라’를 주제로 진행된다. 이날 패널 세션은 다음과 같다.</div><div>투자환경, 미래 개발 - 희토류 원소, 구리, 우라늄, 새로운 에너지원 - 태양, 바람, 수소, 광물 부문의 개선 여지, 은행 및 금융, 지역 협력 기회 – 내륙국, 주식 시장, 광업 운송 및 물류, 녹색 개발 - 녹색 금융</div><div>아시아 개발 은행과 리오 틴토 그룹의 고위 경영진이 2023년 몽골 경제 포럼에 내빈으로 참석해 연설할 예정이다.</div><div>7월 11일에는 포럼 내빈들이 나담축제 개막식, 문화제, 경마, 양궁 등을 관람할 예정이다.</div><div>montsame.mn 23.06.20</div><div>‘Khaan Quest-2023’ 몽골에서 시작</div><div>6월 19일, 제19차 연례 "Khaan Quest" 다국적 평화유지군 훈련 개막식이 Five Hills Training Area에서 열렸다U.Khurelsukh 대통령, 몽골군 총사령관이 개회사를 했다.</div><div>개회사에서 대통령은 몽골이 평화 유지, 개방, 독립, 다중 기둥 외교 정책을 추구하고 전 세계 국가 및 UN과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우정과 협력을 강조했다.</div><div>“아시아·태평양 지역 평화 지원 역량 강화를 위한 5대 방안 중 하나인 ‘칸퀘스트’ 평화유지훈련은 참가국의 평화 지원 역량을 높이고 각 국의 우호와 유대를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군사 신뢰”라고 대통령이 언급했다.</div><div>총 26개국이 제19차 연례 "Khaan Quest" 다국적 평화 유지 훈련에 참가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처음으로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와 완전한 팀을 가진 Türkiye 공화국이 참석했다.</div><div>2002년 2명의 군사 옵서버를 파견한 이후 몽골은 전 세계 20개 이상의 유엔 평화유지군에 21,000명 이상의 병력을 파견했다.</div><div>더욱이 몽골은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1325호 "여성, 평화, 안보"를 지지하는 사상 최초의 여성 평화유지군 국제 회의를 주최했다. </div><div>2003년부터 몽골군과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가 공동으로 개최한 다국적 평화유지훈련 '칸 퀘스트'에 67개국 1만8000여명의 장병이 참가했다.</div><div>montsame.mn 23.06.20</div><div>몽골 여행 가이드의 최고 연봉은 60,000달러.</div><div>B.Bat-Erdene 관광부 장관이 관광 전문가, 고용주 및 학생을 교육하는 대학 대표들과 "인적 자원 및 관광 산업의 지속 가능성"이라는 주제로 회의를 가졌다. </div><div>관광 부문은 코로나로 인해 여행사는 78%, 관광 센터는 68%, 호텔은 25%, 레스토랑은 50%를 잃었다. 16개 대학에서 이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7,251명이 졸업했지만 2022년에는 979명으로 감소했다.</div><div>관광 산업은 여름철에만 이루어 지기 때문이다. 안정적이지 않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울란바토르 출신이며 현지에서 일하고 싶지 않고 외국에서 공부하고 일하는 것을 선호한다. 몽골 여행 가이드의 최고 연봉은 60,000달러이다. </div><div>2007년 이후 관광 직업은 87% 감소.</div><div>이에 관광산업계는 이 분야의 직업을 선택하는 학생들에게 400,000,000투구릭의 장학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으며, 일반입시/EEP가 시행되는 시기에 관광산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강조했으며 현재 전국 각지에서 진행중이다.</div><div>또한 농촌에서 관광산업을 선택하고, 지역의 아이덴티티와 브랜딩을 만들고, 지역민을 기반으로 관광을 발전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며, 관광 기업은 여름뿐만 아니라 사계절 내내 관광객을 맞이하고, 지속 가능한 관광 및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업계의 시급한 문제라고 했다.</div><div>Ikon.mn 23.06.20</div><div><br></div><p>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육군 특전사, 몽골서 유엔 평화유지활동 훈련 참가</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20T09:55:1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20</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육군 특수전사령부는 다음 달 2일까지 몽골에서 진행되는 유엔 평화유지활동(<span data-type="ore" data-lang="en" style="box-sizing: border-box;">PKO</span>) 연합훈련인 칸 퀘스트 훈련에 참가한다고 19일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올해 훈련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몽골, 인도, 카타르 등 35개국 1100여 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우리 군은 교관을 포함한 특전사 장병 35명이 참가해 급조 폭발물 <span data-type="ore" data-lang="en" style="box-sizing: border-box;">IED</span> 대응과 전투부상자 처치 등은 물론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숙달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특전사는 이를 위해서 지난 3주간 국방대학교 국제평화활동센터와 주둔지에서 <span data-type="ore" data-lang="en" style="box-sizing: border-box;">PKO</span> 핵심과목과 표준과제 워게임을 실시하는 등의 준비를 마쳤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훈련 기간 부대는 해외 평화유지작전 중 발생 가능한 상황을 상정해 다국적군과 함께 연합작전 수행능력을 강화할 계획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칸 퀘스트 훈련은 <span data-type="ore" data-lang="en" style="box-sizing: border-box;">PKO</span> 능력 향상을 위한 정례적인 다국적군 훈련으로 2003년 미국 태평양사와 몽골군 간 첫 연합훈련이 실시된 이후, 2006년부터 다국적군 <span data-type="ore" data-lang="en" style="box-sizing: border-box;">PKO</span> 훈련으로 확대<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되며 우리 군도 처음 참가했다. 2019년부터 홀수년에는 특전사가, 짝수년에는 해병대가 참가하고 있다. <span id="husky_bookmark_start_1687257161442"></span><span id="husky_bookmark_end_1687257161442"></span></span></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국제식품농업 전시회 “2023 아그로 엑스포” 9월 22일부터</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19T10:24:1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19</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2023 아그로 엑스포 국제식품농업 전시회(Agro Expo)가 9월 22일부터 24일까지 스텝 아레나에서 개최될 예정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총 3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되는 이번 엑스포는 정부 부처 및 관련 기관, 대사관, 국제기구, 솜 대표, 기업가, 농축산업자 등의 지원을 받는다. 또한 관련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여 산업 성장 및 발전에 대한 정보를 교환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엑스포는 제조사와 공급자, 바이어를 직접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할 예정이며 현재 중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한국 등 10개국 이상에서 약 50개 단체 및 기업이 전시회 참가등록을 마쳤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전시회 관계자는 현재 추가 참가 기업을 모집 중이며 이번 전시회가 몽골 시장에 식품 및 농업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할 좋은 기회라고 설명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전시회 웹사이트 : <a href="http://www.agroexpo.mn/"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77, 178, 236); text-decoration-line: none;">http://www.agroexpo.mn/</a></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유엔무역개발회의, “몽골 온라인 쇼핑 사용자 비율 급증”</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19T09:15:45+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19</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몽골 온라인 쇼핑 사용자 비율이 지난 몇 년 간 빠르게 증가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UNCTAD는 몽골이 구리, 석탄, 철광석 및 금 채굴에 의존하는 지리적인 문제를 극복하고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전자상거래를 육성하고 있다면서 2017년과 2021년 몽골 온라인 쇼핑 사용자 수치를 비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자료에 따르면 2021년 몽골의 온라인 쇼핑 사용자는 2017년 대비 약 500% 증가했다. 조사는 15세 이상 몽골인을 대상으로 했으면 2017년 7%에서 2021년 42%로 증가한 것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는 내륙 개발도상국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한편 UNCTAD는 도시와 농촌의 분열과 물류 문제를 지적했다. 농촌 지역 사람들의 인터넷 연결이 제한적이며 인구 밀도가 낮고 부실한 도로 인프라, 통일된 주소 체계의 미비가 전자상거래 물류에 대한 제한점이 있다고 강조했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KIST 천연물연구소, 몽골과 맞손…약용 식물 기술 개발·산업화 추진</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16T09:42:10+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16</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 천연물연구소는 지난14일 몽골국립대에서 몽골국립대, 몽골 생명과학대, 몽골과학원 산하의 정부출연연구소인 몽골 화학기술연구소 및 몽골 생물학연구소와 함께 다자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양국 기관들은 몽골 약용식물 유래 기능성 소재 발굴, 스마트팜 기반의 기능성 식물 재배 기술 확립 등에서 원천기술을 공동개발하고 유망기술 산업화에 협력하기로 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정기적인 한-몽골 공동연구 워크숍 등을 통해 각 기관 연구 분야의 정보를 공유하고 우리나라 정부 부처 국제협력 사업도 함께 모색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장준연 강릉분원장은 “KIST 강릉 천연물연구소에서 그동안 확보한 천연물 소재 개발 및 스마트팜 기반 생산기술 등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해외 기능성 소재를 그린바이오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협력체계가 구축됐다”며 “국내 천연물·바이오기업은 생물 다양성의 부족으로 산업화 소재 발굴에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 이번 계기로 몽골의 희귀한 천연물 소재를 활용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KIST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미아트 국내선 6월 30일부터 본격 운항</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15T10:07:00+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15</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미아트가 몽골 정부의 경기 회복 정책의 일환으로 오는 6월 30일부터 주 1~3회 운항하며 국내 8개 노선을 기존 대비 약 50% 저렴한 항공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p><ul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margin-bottom: 26px;"><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700;">홉드</span> : 매주 화·금·일요일에 운항하며 편도 40만 5천 투그릭부터 시작한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700;">달란자드가드</span> : 월·수·토요일에 운항하며 편도 25만 투그릭부터 시작한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700;">울리아스태</span> : 월·목·토요일에 운항하며 편도 31만 6천 7백 투그릭부터 시작한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700;">알타이</span> : 월·목요일에 운항하며 편도 36만 6천 5백투그릭부터 시작한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700;">무릉</span> : 수·목·토요일에 운항하며 편도 25만 투그릭부터 시작한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700;">처이발상</span> : 수요일에 운항하며 편도 26만 8천 5백 투그릭부터 시작한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700;">울란곰</span> : 화·금요일에 운항하며 편도 40만 투그릭부터 시작한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700;">울기</span> : 화·금요일에 운항하며 편도 40만 5천 투그릭부터 시작한다.</li></ul><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정부는 지방 항공편의 재개가 농촌 부흥의 원동력이 될 것이며 육로로 여행할 수 없는 관광객이나 시민들이 항공을 이용하여 빠르게 여행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오논 발즈 국립공원,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15T09:43:22+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15</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지난 14일 몽골의 오논 발즈(Onon-Balj) 국립공원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생물권 보전지역은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보전가치가 뛰어난 생태계 중 유네스코가 지정한 육상, 연안 또는 해양 생태계를 말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유네스코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오논 발즈 생물권보전지역은 다우리안(Daurian) 대초원과 오논 및 발즈 강 유역을 포함하는 시베리아 및 북방 침엽수림의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곳의 주요 생태계 유형에는 숲, 초원, 민물이 포함되며, 헹티 산맥에서 타이가/아한대 침엽수림으로 이어진 다음 대초원으로 이어지는 수직 경관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 지역은 습지와 물새의 서식지일 뿐만 아니라 몽골 제국을 세운 칭기즈칸(c. 1162–1227)과 관련된 유적지를 포함하여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도 풍부한 곳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생물권보전지역의 일부는 전통적인 공동 토지로 관리되며 지역 사회에서 가축을 기르는 데 사용되며 건초 만들기, 채소 재배 및 가정용 비목재 임산물 수집에도 이 지역이 이용된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ToC Week 2023: “기후 위험 관리 및 온실 가스 계산” 교육</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14T10:41:23+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14</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몽골 후렐수흐 대통령의 후원으로 진행된 ‘지속 가능한 금융주간 2023 (ToC Week)는 몽골이 지속 가능한 금융 프로그램 시행 10주년과 ToC협회 설립 5주년을 기념하여 조직되었다. 13일부터 16일까지 개최되는 행사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어제 13일에는 지속 가능 은행 및 금융기관 협회, 온실가스 계산 및 재무회계를 위한 파트너십, 골롬트 은행이 공동으로 ‘기후 위험 관리 및 온실가스 계산’에 대한 워크샵을 열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회원국, 금융기관 대표, 규제기관 대표 등 100여명이 적극 참여하여 교육을 받았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국제금융공사(IFC)는 기후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금융기관 및 규제 당국을 위해서 미래 기후 리스크를 계산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을 교육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골롬트 은행은 온실가스 관리와 관련된 실제 경험을 공유했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네이버클라우드 웨일, 몽골 ICT 엑스포 참가</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14T10:27:55+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14</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네이버클라우드는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된 ‘ICT(정보통신기술) 엑스포 2023’에 참여했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올해로 17주년을 맞은 몽골의 ‘ICT 엑스포 2023’은 몽골 내 최대규모의 IT 컨퍼런스다. 최근 중앙아시아 지역을 향한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매년 규모를 더해가고 있다. 올해는 네이버클라우드 웨일을 비롯해 구글,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글로벌 IT기업들이 행사의 파트너사로 대거 참여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네이버클라우드 웨일은 이번 행사에서 국내 에듀테크 기업 엔에스데블, 몽골의 에듀테크 기업 테스테라와 함께 부스를 마련하고 에듀테크 플랫폼인 ‘웨일 스페이스’와 디바이스 ‘웨일북’을 선보였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웨일의 부스에는 3일간 약 3000명의 참가자가 방문해 웨일북의 특장점인 수업 관리 기능과 화면 필기 기능 등을 직접 체험했다. 웨일북은 선생님 등 학급 관리자가 학생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공유 받고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수업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어떤 화면에서도 필기가 가능하고 필기의 과정까지 녹화해 확인할 수 있는 화면 필기 기능을 지원한다. 이는 웨일 팀이 국내 여러 교육현장의 선생님, 학생의 목소리를 청취해 구현한 기능으로, 웨일북의 특장점으로 꼽힌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행사에서 몽골의 엥흐 암강랑 로브상체렝 교육과학부 장관, 오치랄 냠 오소르 디지털개발통신부 장관 등 정부인사와 몽골의 교육 관련 기업인들이 방문해 웨일의 기술을 체험하고 호평을 보냈다고 한다. 웨일은 ICT 엑스포 2023의 ‘베스트 참가기업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네이버클라우드 웨일은 현지의 긍정적인 반응을 토대로 웨일북의 글로벌 진출을 도모할 계획이다. 지난해 8월부터 베트남의 최대 교육기업 페니카 그룹과 협약을 체결하고 베트남 교육현장에 적합한 웨일 스페이스와 웨일북 디바이스 구상을 논의하고 있는데 더해 이번 ICT 엑스포 2023을 계기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도 입지를 다져가겠다는 계획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김효 네이버클라우드 이사는 “웨일 스페이스 플랫폼에서 웨일OS, 웨일북 디바이스까지 연결되는 웨일의 독자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몽골의 디지털 교육수준이 발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나아가 글로벌 시장 내에서 웨일의 입지를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녹색금융-국제컨퍼런스” 개최</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vidalpt/"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6-13T09:53:2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6-13</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span style="box-sizing: border-box;">몽골 후렐수흐 대통령의 후원으로 “녹색 금융 – 국제 회의”가 2년째 개최된다. 이번 회의는 지속 가능한 녹색금융 분야에서 지역 및 국제 협력 확대, 상호이해 강화, 녹색금융 확대, 시스템 개선, 정책 및 대책 조율 등을 목적으로 한다.</span></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6월 13일부터 16일까지 열리는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지속 가능한 금융 주간-2023(ToC Week)” 국제 리더십 프로그램 및 고위급 정책 토론회가 열린다.</span></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컨퍼런스 주요 의제는 다음과 같다.</span></p><ul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margin-bottom: 26px;"><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녹색 금융을 가속화하는 데 필요한 제도적 역량 향상</span></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녹색 개발을 강화하기 위한 경제 부문의 조정, 역할 및 책임 증가,</span></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지속 가능한 금융, 국제적 접근 방식, 표준, 새로운 도구, 첨단 기술 및 혁신의 현재 상태</span></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0px;"><span style="box-sizing: border-box;">녹색 농업 및 에너지 효율적인 건설 : </span><span style="box-sizing: border-box;">몽골의 경우, 녹색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 결정 기여금을 이행하는 데 미화 115억 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기후 변화와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해 매년 GDP의 최소 1%를 지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span></li></ul><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또한 민간 부문 조직은 지속 가능한 자금을 늘리기 위해 최근 몇 년간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span></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br></div></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color: rgb(34, 34, 34);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p></div>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670.jpg" title="168603467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677.jpg" title="168603467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684.jpg" title="168603468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692.jpg" title="168603469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00.jpg" title="168603470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07.jpg" title="168603470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15.jpg" title="168603471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22.jpg" title="168603472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30.jpg" title="16860347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37.jpg" title="16860347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45.jpg" title="16860347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52.jpg" title="168603475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60.jpg" title="168603476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68.jpg" title="16860347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81.jpg" title="16860347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89.jpg" title="16860347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798.jpg" title="16860347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09.jpg" title="168603480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16.jpg" title="168603481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24.jpg" title="168603482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33.jpg" title="168603483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44.jpg" title="168603484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52.jpg" title="168603485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65.jpg" title="168603486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73.jpg" title="16860348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81.jpg" title="16860348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90.jpg" title="168603489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899.jpg" title="168603489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909.jpg" title="168603490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918.jpg" title="168603491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927.jpg" title="168603492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6034935.jpg" title="1686034935.jpg"><br style="clear:both;"> </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