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KOICA 지원, 다르항 18번 중ㆍ고등학교 음악실 구축 개소식 개최 |
|
작성자 : 관리자 |
2011.01.12 11:09:40, 조회 1,187 |
|
|
다르항 18번 중ㆍ고등학교에서 활동하고 있는 KOICA 최신애(음악교육) 단원이 동 학교의 협조하에 추진한 음악실 구축사업 개소식이 지난 12.28(화) 오후 1시 Yadamsuren 18번 중고등학교 교장 및 교직원, 학생과 이동구 KOICA 몽골사무소장 및 KOICA 봉사단원, TV 언론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Yadamsuren 교장은 환영사에서 동 음악실을 통해 음악적 표현 및 감수성을 키워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의 폭을 넓히고, 음악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계기를 마련해 준 KOICA 및 최신애 단원의 노력에 감사를 표하고, 특히 동 단원의 일에 대한 철저함, 시간 지키기, 활발한 대인관계 등을 높이 평가하였다. 이동구 소장은 축사에서 음악을 통해 다양한 세계와 자연을 경험할 수 있고, 다른 세상과 소통할 수 있으며,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용기를 잃지 않고 아름다운 세상을 가꾸어 나갈 수 있는 지혜를 얻을수 있다고 언급하고, 동 음악실이 학생과 지역사회에 정서적인 안정과 풍부한 감성을 가질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언급하였다. 이 음악실 구축사업은 $13,574(KOICA $9,561, 18번 중고등학교 $4,013)의 예산으로 디지털 피아노 5대 등 악기, 음악 교보재, 컴퓨터 및 프로젝터 등 시청각 교육장비 등을 지원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소양 향상과 음악실 개방을 통해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활용될 것이다.
최신애 단원은 향후 음악 교보재를 활용하여 체계적 이론습득을 도모하고, 악기를 직접 연주토록 하여 실음적 수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교수법 전수를 통해 동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KOICA는 다르항 지역을 대상으로 농업연구소에 유리온실 1개동과 비닐온실 4개동을 구축하였고, 현재 봉사단원 10명이 컴퓨터, 건축, 전기, 전자, 음악교육, 유아교육, 식품가공, 임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출처 : 2011.1.3 몽골교민신문
|
|
|
|
<!--StartFragment-->
<P class=바탕글>SK텔레콤이 몽골 이동통신 시장에 진출지 12년만에 몽골시장에서 철수한다.</P>
<P class=바탕글>
<P class=바탕글>SK텔레콤은 몽골 이동통신 2위 사업자인 스카이텔 지분 전량을 선클라이그룹과 글로벌컴 LLC 등 기존 몽골 주주들에게 258억원에 매각했다고 13일 밝혔다.</P>
<P class=바탕글>
14 Lines more... (total : 19lines)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IMG onclick=imgOrignWin(this); src="http://www.kmnews.co.kr/site/_system/include/image.view.php?id=news_mongollia&uid=2365"></TD></TR>
<TR>
1 Lines more... (total : 6lines)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IMG onclick=imgOrignWin(this); src="http://www.kmnews.co.kr/site/_system/include/image.view.php?id=news_hanmong&uid=2369"></TD></TR>
<TR>
1 Lines more... (total : 6lines)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bgColor=#ffffff>
<TD colSpan=2>
<DIV style="LINE-HEIGHT: 160%; MARGIN: 0px 0px 7px"><B style="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2px; COLOR: #6d6763; FONT-SIZE: 11pt">대통령궁서 대통령내외가 돌보는 고아원생 재롱잔치 열려</B></DIV></TD></TR></TBODY></TABLE>
19 Lines more... (total : 24lines)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bgColor=#ffffff>
<TD colSpan=2>
<DIV style="LINE-HEIGHT: 160%; MARGIN: 0px 0px 7px"><B style="FONT-FAMILY: 돋움; LETTER-SPACING: -2px; COLOR: #6d6763; FONT-SIZE: 11pt">사증신청 대행위탁,안내서비스 강화, 구비서류 일부 간소화</B></DIV></TD></TR>
4 Lines more... (total : 9lines)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IMG onclick=imgOrignWin(this); src="http://www.kmnews.co.kr/site/_system/include/image.view.php?id=news_mongollia&uid=2364"></TD></TR>
<TR>
1 Lines more... (total : 6lines) |
외국인출입국관리청에서 발급하는 30여가지 인지에 대한 수수료가 이번 달 1일부터 인상되었다. <BR> <BR>몽골에 공식 및 개인 업무로 체류할 수 있는 허가를 발급할 때 60.000, 외국인에게 비자 허가를 발급할 때 6000, 비자 기간을 1주일 연장할 때 27.500, 한번 입국이자 출국-입국 비자를 발급할 때 50.000, 두 번 입국이자 출국-입국 비자를 발급할 때 72.500, 6개월까지 기간으로 복수 비자를 발급할 때 110.000, 6개월에서 1년까지 기간으로 복수 비자를 발급할 때 215.000, 몽골 국적 취득, 국적 포기, 국적 회복 신청서를 검토할 때 55.000, 무국적자에게 해외 방문 자격증 발급, 자격증 기간 연장할 때 12.000 투그릭이 되었다. <BR> <BR>국회에서 작년 11월 25일에 제정한 국가인지세법에 따라 이렇게 인상되었다고 한다. “이에 대한 정보를 <A href="http://www.immigration.mn/"><FONT color=#333333>www.immigration.mn</FONT></A>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다”고 외국인출입국관리청 공공관계문제를 담당한 아.바이갈마 전문가가 말했다. <BR> <BR>출처 : 2011.01.04 몽골교민신문 (mongolnews.mn 흐.이르문)<BR><BR>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IMG onclick=imgOrignWin(this); src="http://www.kmnews.co.kr/site/_system/include/image.view.php?id=news_mongollia&uid=2368"></TD></TR>
<TR>
1 Lines more... (total : 6lines) |
(아주경제=<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몽골</A> 한정탁 특파원) 몽골에서 몇 년전부터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인기</A>를 끌기 시작한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어그부츠</A>는 겨울철 영하 30도를 넘나드는 추위 속에서 수도 올란바타르 여성들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목축업이 성해 양가죽과 양털이 풍부한 몽골이지만 어그부츠는 전량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수입</A>에 의존하고 있다. <BR><BR>몽골 일간지 으너뜨르는 몽골 내에서의 양털 부츠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제조</A>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판매</A>는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일자리</A>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창출</A>과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중소기업</A> 육성에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도움</A>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최근 몽골에서도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제조업</A> 육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 차원의 각종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대출</A> 및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지원</A> 정책이 실행되고 있지만 아직은 걸음마 단계다. <BR><BR><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신문</A>은 양가죽과 양모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및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뉴질랜드</A>와 몽골은 기후와 목축업 등 공통점이 많다고 전하며, 가죽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의류</A>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신발</A>을 오래전부터 제작해 온 몽골의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전통</A>적인 제작기술을 현대화한다면 부츠 등의 제품을 시장에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BR><BR>또 몽골에서 양가죽 한 장은 5달러 선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다르항 피혁’이라는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대형</A> 피혁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가공업체</A>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운영</A>되고 있어 가죽 등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원자재</A>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조달</A>이 쉽다. <BR><BR>현재 ‘메이드인 몽골’로 생산되는 제품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캐시</A>미어 의류가 주종이며 사회주의 체제 붕괴이후 제조업의 발전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작년 기준 약 4만7000명이 제조업에 근무하고 있으며 대부분 몽골 국내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10000030" target=_blank>식품가공</A> 분야에 속해 있어 여타 제조업 분야의 발전이 시급한 실정이다.<BR><BR><BR>출처 : 아주경제 뉴스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js.keywordsconnect.com/ajnews.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js.keywordsconnect.com/DKLv2.4.1.utf8.js"></SCRIPT>
4 Lines more... (total : 9lines) |
<H3>경제성 없는 광산에 투자… 수익 못내고 자금 횡령까지</H3>해외자원 개발을 목표로 <A href="http://focus.chosun.com/nation/nationView.jsp?id=55" name=focus_link><FONT color=#3560a7>몽골</FONT></A>에 진출한 코스닥 기업들이 수익 창출에 난항을 겪고 있다. 경제성이 부족한 광구에 투자하는가 하면 몇 년째 현지 법인조차 설립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몽골 내 법인을 통해 국내 모기업의 자금을 빼돌리는 일도 발생했다.<BR><BR>휴대폰 부품을 생산하는 <B>한성엘컴텍</B>은 지난 2008년 금광 개발을 위해 몽골에 진출했다. 이후 한성엘컴텍은 몽골 정부로부터 금광 탐사를 승인받고, 30년간 채굴 자원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받았다고 발표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현재까지 회사가 몽골에서 거두어들인 수익은 전무하다.<BR><BR>차량용 DVD 플레이어 및 내비게이션을 제조하는 <B><A href="http://focus.chosun.com/com/comView.jsp?id=1142" name=focus_link><FONT color=#3560a7>디브이에스코리아</FONT></A></B>도 <B>다코웰</B>, <B>대교종합건설</B>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몽골 금광 개발에 나섰다. 디브이에스코리아가 몽골 진출 당시 밝혔던 연간 예상이익은 약 160억원 규모. 디브이에스코리아는 광산 개발을 위해 <B>D.V.S</B>라는 현지법인까지 설립했지만 현재까지 이렇다 할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BR><BR>자원개발 전문기업을 표방하는 <B>글로웍스</B>는 몽골 내 현지법인 설립 일정을 최근 2년 동안 7차례 연기했다. 회사측은 '현지 사정에 따른 불가피한 연기일 뿐 몽골 사업은 차질 없이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지만 지난 12월 코스닥시장본부는 자본잠식률 50% 이상, 매출액 30억원 미달 사유로 글로웍스를 관리종목으로 지정했다.<BR><BR>소프트웨어 업체인 <B><A href="http://focus.chosun.com/com/comView.jsp?id=2422" name=focus_link><FONT color=#3560a7>핸디소프트</FONT></A></B>는 지난해 8월 몽골 구리광산 개발회사인 <B>MKMN</B>을 인수했다. 당시 핸디소프트의 실제 사주 등은 탐사권은 있지만 채굴권은 없던 MKMN의 지분 51%를 취득하는 데 290억원이 소요된 것처럼 꾸며 회사 자금을 빼돌린 혐의로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다.<BR><BR>몽골 현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몽골 광산의 가치를 부풀리거나 과도하게 포장한다고 해도 투명하게 이를 가려낼 수 있는 시스템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라며 "국내 중소형 기업들이 몽골에 진출할 때 참고하는 자료 또한 과거 소비에트연방 시절에 작성된 자료라 정확성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BR><BR><BR>출처 : 조선경제 뉴스<BR>
|
<DIV class=articleContent>
<DIV id=_article>(아주경제=<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몽골</A> 한정탁 특파원) 몽골-<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중국</A> 국경지역 이렝허트에서(중국명 二連浩特)에서 몽골 올란바타르까지 운항하는 새로운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항공</A>노선이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준비</A> 중에 있다고 몽골의 주요 매체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보도</A>했다. <BR><BR>이렝허트는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있는 인구 10만의 접경도시로 몽골 올란바타르에서는 약 700㎞ 떨어져 있다. 현재 몽골과 중국간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차량</A> 및 철도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운송</A>은 전량 이렝허트와 몽골 자밍우드를 통하고 있어 새로운 항공노선의 취항으로 여객 수송과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물류</A>에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도움</A>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BR><BR>내몽골 이렌공항을 출발하게 되는 새로운 항공 노선 및 구체적인 운행 계획은 아직까지 협의 중이나 몽골과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러시아</A> 노선이 새로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개통</A>될 것이라고 몽골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영자신문</A> UB POST가 언급했다. <BR><BR>현재 몽골-중국간 올란바타르-<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베이징</A> 노선과 올란바타르-내몽골 흐허허트(중국명 呼和浩特) 노선이 있으며 몽골항공(MIAT)과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7000277" target=_blank>중국항공</A>(Air china)이 취항하고 있다.<BR><BR><BR>출처 : 아주경제 뉴스</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js.keywordsconnect.com/ajnews.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js.keywordsconnect.com/DKLv2.4.1.utf8.js"></SCRIPT>
1 Lines more... (total : 6lines) |
<P class=바탕글><BR>【도쿄=최동원특파원】 일본과 몽골이 몽골에 매장되어 있는 희토류의 공동개발을 가속화하는데 합의했다고 NHK방송이 6일 보도했다.<BR>몽골을 방문 중인 겐바 고이치로 일본 국가전략담당상은 지난 5일 차히야 엘벡도르지 몽골 대통령 및 자원 담당 장관들과 만나 희토류를 비롯한 몽골의 포괄적인 광물자원 공동개발에 대해 회담을 가졌다.<BR>NHK에 따르면 몽골 정부는 희토류 개발에 있어서 일본의 독립행정법인과 공동조사를 서두르기로 합의했으며 석탄 및 우라늄 등 그 밖의 광물자원 개발에 대해서도 일본 기업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BR>일본 정부는 지난해 9월 센카쿠열도 (중국명: 댜오위다오) 충돌사건 이후 중국의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금지로 어려움을 겪어왔으며 희토류 조달처의 다각화를 위해 지난해부터 몽골 정부와의 공동개발을 추진해 왔다.<BR>일본과 몽골 정부는 양국간의 경제협력협정(EPA) 체결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고 오는 4월부터 본격적인 교섭을 시작하여 빠른 시일내에 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P>
<P class=바탕글>
<P class=바탕글>기사입력 : 2011-01-06 14:53 <BR><BR>출처 : 파이낸셜 뉴스</P>
|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몽골인 아내의 고향선배를 홧김에 흉기로 찔러 살해한 30대에 대해 중형이 선고됐다.<BR><BR>광주지법 제2형사부(부장판사 조의연)는 6일 상해치사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양모씨(35)에 대한 1심 선고공판에서 "죄질이 무겁다"며 징역 17년을 선고했다.<BR><BR>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흉기를 미리 준비해 피해 여성을 살해하고 이를 제지하는 남편까지 살해하려 했으며, 유족들로부터 용서받지 못한 점 등 여러 사정을 고려해 볼 때 중형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BR><BR>양씨는 지난 9월14일 전남 나주시 이창동 한 공동주택에서 몽골인 여성 K씨(26)와 K씨의 남편에게 차례로 흉기를 휘둘러 이 중 K씨가 과다 출혈 등으로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됐다.<BR><BR>양씨는 부부싸움 끝에 집을 나간 몽골인 아내 E씨(21)를 찾기 위해 동포 몽골인인 K씨의 집을 찾았다가 K씨가 "술이 깨면 부인을 데려 가라"고 말한 데 격분, 흉기를 휘두른 것으로 조사 결과 드러났다.<BR><BR>숨진 K씨와 양씨의 아내 E씨는 몽골 한 동네에서 살았던 사이로, E씨는 남편의 폭력을 피해 K씨의 집으로 피신했던 것으로 알려져 주위를 안타깝게 했으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전남 나주에서는 다문화지원센터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몽골 이주여성의 가족들을 돕기 위한 지원단체가 결성되기도 했다. <BR><BR>goodchang@newsis.com<BR><BR><BR>출처 : 뉴시스 뉴스<BR>
|
<P class=바탕글><?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v:stroke joinstyle="miter"></v:stroke><v:formulas><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v:f><v:f eqn="sum @0 1 0"></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2 1 2"></v:f><v:f eqn="prod @3 21600 pixelWidth"></v:f><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6 1 2"></v:f><v:f eqn="prod @7 21600 pixelWidth"></v:f><v:f eqn="sum @8 21600 0"></v:f><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10 21600 0"></v:f></v:formulas><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v:path><?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lock aspectratio="t" v:ext="edit"> 2011-01-04 13:04<BR><BR></P>(아주경제 이정은 기자)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몽골</A>이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구리</A>, 금,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석탄</A>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보따리</A>를 풀어나감에 따라 몽골 경제의 급성장이 기대된다. <BR><BR>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자에서 경제 위기를 겪은 후 험난한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시험</A>을 치르고 있는 다른 국가들과 달리 몽골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천연</A>자원 개발을 추진해 나가며 2~3년 뒤 일대 호황을 맞을 것으로 예상했다. <BR><BR>몽골의 오유톨고이 구리·금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광산</A>지구가 2012년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하반기</A> 생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제통화기금(IMF)은 2013년 몽골의 국내총생산(GDP)이 2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BR><BR>WSJ은 몽골의 2011년, 2012년 경제성장률이 7~8%로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예측</A>되는 것과 비교해볼 때 이는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세계</A> 최고의 성장 속도라고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평가</A>했다.<BR><BR>이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동시</A>에 광산업 및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인프라</A>에의 외국인 직접투자도 현 몽골 GDP(50억 달러)의 몇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BR><BR>그러나 물밀듯 밀려오는 투자금에 대한 몽골 정부의 대처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시험대</A>로 작용할 전망이다.<BR><BR>현재 외국인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투자자</A>금으로 인해 몽골에서 달러화 대비 몽골 투그릭화는 지속적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BR><BR>이에 따라 몽골은 이같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현상</A>이 다른 산업분야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네덜란드병(Dutch disease)’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BR><BR>네덜란드병은 국가가 자원에 지나치게 의존해 급성장할 경우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물가</A>가 급등하고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환율</A>이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상승</A>해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제조업</A>이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경쟁력</A>을 잃게 되는 현상을 뜻한다. 이 상황에서 자원이 고갈될 경우 더 이상의 경제발전이 어려워진다.<BR><BR><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증권</A> 및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채권</A> 투자자들에게도 몽골은 '노다지’로 떠오를 전망이다. <BR><BR>현재 몽골 증권 시장은 10억달러 규모로 하루 1시간 가량 열리고 있다. 5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채권 시장은 올해 열릴 예정이다.<BR><BR>WSJ은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신흥</A>시장 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열기가 미개척지 몽골만의 독특한 기회와 더해져 올해 몽골이 가장 <A style="COLOR: #00f; TEXT-DECORATION: none" class=dklink href="http://www.ajnews.co.kr/view.jsp?newsId=20110103000227" target=_blank>인기</A> 있는 시장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BR><BR>출처 : 아주경제 뉴스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js.keywordsconnect.com/ajnews.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js.keywordsconnect.com/DKLv2.4.1.utf8.js"></SCRIPT>
</o:lock></v:shapetype>
5 Lines more... (total : 10lines) |
【대전=뉴시스】김양수 기자 = 대전시소방본부(본부장 이강일)는 사용연한을 넘긴 불용 소방차량을 몽골 재난청에 무상증여키로 하고 5일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와 기증식을 가졌다고 이날 밝혔다.<BR><BR>무상양여되는 소방차는 대전 북부소방서에서 7년간 각종 구조현장에서 투입된 구조공작차량으로 이번에 불용처분이 결정돼 몽골에 기증, 울란바토르 현장서 각종 재난활동에 투입될 예정이다.<BR><BR>이번 구조차량 무상양여는 유엔경제사회이사회(UNECOSOC)에서 활동하는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에서 불용처분되는 차량을 몽골 국가재난청에 기증할 것을 요청해와 이뤄졌다.<BR><BR>대전소방은 향후 몽골과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소방차량 및 장비 등 소방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원활동을 벌일 계획이다.<BR><BR>시 소방본부 관계자는 "구조차량과 함께 구조장비 등 대한민국의 우수한 소방인프라를 외국에 지원할 계획"이라면서 "대외교류 확대는 한국 119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BR><BR>kys0505@newsis.com<BR><BR><BR>출처 : 뉴시스
|
<P class=바탕글>(아주경제=몽골 한정탁 특파원) 최근 10여 년간 몽골의 광물 자원 개발 열풍으로 인해 강, 호수 등이 말라가고 있어 수(水)자원 고갈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몽골 일간지 으너뜨르(today)가 4일 보도했다. <BR>몽골의 ‘환경보호 시민연합’ 이란 단체는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광산 채굴과정에서 무분별하게 낭비된 물로 인해 강 887개, 샘 2096개, 호수 1166개가 말라 없어졌다고 발표했다. <BR>채굴업체 인근 초원 지대의 유목민들은 가축 방목에 필요한 물을 찾을 수 없어 가축을 판 돈으로 광산회사들보다 6~7배 비싼 가격으로 물을 구입하고 있는 사태도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BR>금을 채굴하는 업체에서는 보통 1초당 500리터의 물을 분사하여 땅을 파헤치는데 이때 물 1리터당 지불하는 비용은 몽골 일반 수도요금보다 싸며 한국 돈 1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BR>또, 현재 몽골 중앙은행 시세로 금 1그램의 가격은 약 45달러로 광산업체들의 수익에 비해 환경 보호를 위한 부담금이 매우 적어 문제가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BR>국회의원 게 바야르사이항은 광업 용수 가격을 국제 기준으로 올려 받는다면 채굴 업체들의 무분별한 물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한 재원확보로 수자원 관리 기관을 만들어 수자원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BR>게 바야르사이항은 현재 몽골 경제를 이끄는 에르덴트(구리-몰리브덴), 오유톨고이(구리-금) 등 거대 광산업체들이 물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며, 몽골 ‘환경보호 시민연합’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P>
<P class=바탕글>
<P class=바탕글>출처 : 아주경제 뉴스 </P>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3 width=600>
<TBODY>
<TR>
<TD height=15></TD></TR>
<TR>
1 Lines more... (total : 6lines)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TD><IMG onclick=imgOrignWin(this); src="http://www.kmnews.co.kr/site/_system/include/image.view.php?id=news_mongollia&uid=2357"></TD></TR>
<TR>
1 Lines more... (total : 6lines) |
[경제투데이] 개발도상국 경제 사회발전을 위해 지원하는 공적개발원조(ODA)사업의 일환으로 몽골 전역에서 광산피해 실태조사가 추진된다.<BR><BR>한국광해관리공단(이사장 이이재)은 한국국제협력단과 몽골 광산피해 실태조사를 ODA사업으로 추진키로 하고, 올해부터 3년간 300만달러를 투입하는 내용의 사업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BR><BR>이에 따라 광해관리공단은 몽골 정부와 협의를 통해 현재 개발 중이거나 개발이 완료된 몽골 광산 중 환경피해가 큰 400개 광산에 대해 우선 실태조사를 진행한다. 공단은 이와 함께 토양·수질 분석을 위한 분석실 및 광산환경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BR><BR>공단 관계자는 “광산 환경피해와 관련된 공적개발원조가 이뤄지기는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이 계약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원조를 받는 국가에서도 환경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실증하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BR><BR>한편, 공단은 지난달 몽골 국영광산인 바가누르 석탄광산의 환경피해 복구사업을 수주하는 등 해외 광해관리 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BR><BR>출처 : 경제투데이 뉴스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10 align=left>
<TBODY>
<TR>
<TD>
<TABLE style="BORDER-BOTTOM: #cccccc 1px solid; BORDER-LEFT: #cccccc 1px solid; BORDER-TOP: #cccccc 1px solid; BORDER-RIGHT: #cccccc 1px solid"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7 Lines more... (total : 12lin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