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가이드와 여행객을 위한 몽골 소개서 '몽골 이해하기' 출간 |
|
작성자 : 관리자 |
2021.12.17 15:05:28, 조회 5,149 |
|
|
Download : 1.png |
 |
박병욱 박사님의 가이드와 여행객을 위한 몽골 소개서 '몽골 이해하기'가 다음주에 출간 됩니다. 아직 한국에서는 판매하지 않고 당분간은 몽골에서만 판매된다고 합니다. |
|
|
|
|
-->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842.jpg" title="168119384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865.png" title="1681193865.pn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877.jpg" title="168119387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888.jpg" title="168119388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899.jpg" title="168119389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908.jpg" title="168119390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917.jpg" title="168119391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927.jpg" title="168119392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937.jpg" title="168119393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1193946.jpg" title="1681193946.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제주항공, 6월부터 주 4회 몽골 운항</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4-10T11:02:17+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4-10</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제주항공은 오는 6월부터 주4회 일정으로 인천~몽골 노선을 운항한다고 9일 밝혔다. 제주항공은 몽골 여행 성수기인 6월부터 9월까지 몽골 울란바토르 노선을 매주 4회씩 운항하는 권리(운수권)를 작년 4월 국토교통부로부터 배분받았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회사는 지난해 6월 29일부터 9월 29일까지 106편을 운항해 1만7276명의 탑승객을 수송했다. 탑승률은 87%에 달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제주항공은 재운항에 맞춰 오는 16일까지 항공권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몽골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 국가로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자연유산의 나라’다.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고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계없이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제주항공 관계자는 “제주항공 취항으로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에 몽골 여행을 할 수 있게 됐다”며 “차별화된 운임과 서비스를 제공해 몽골 여행 대중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석탄공사, 몽골 탄광 매각 추진</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4-10T11:11:49+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4-10</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대한석탄공사(사장 원경환)는 최근의 국제 석탄가격 등 에너지 자원의 고공행진에 따라 몽골 탄광을 정리할 수 있는 적기라고 보고 매각을 위한 입찰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사업초기 글로벌 광업전문기업인 SRK 컨설팅사는 몽골 홋고르샤나가 탄광 매장량 총 5억4천만톤(제철용탄 3억8천만톤, 발전용탄 1억6천만톤)으로 평가하였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탄광은 매장량이 풍부하지만 몽골 서북부에 위치하여 주변수요가 적어 중국 등지로 수출을 해야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나 열악한 도로 인프라가 중국수출의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다만, 투자 이후 몽골 내에 아시아고속도로가 개통되어 도로 인프라가 개선되고,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힘입어 해외에서 지분매수를 희망하는 업체가 접촉을 해 오고 있으며, 몽골 탄광을 인수해 일부 수출 도로 인프라 개선 및 광산 선탄설비에 투자하여 중국 수출을 추진하겠다는 의향을 표명해 오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탄광에서 가까운 몽골 다얀국경까지 기존 도로상태를 개선한 후 중국으로 수출할 경우 국경에서 140Km 거리에 중국 철도가 있어 보다 낮은 물류비용으로 중국의 주요 소비시장인 신장 우룸치까지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대부분의 중국탄광이 지하탄광으로 생산원가가 높은데 비해 몽골 홋고르샤나가 탄광은 노천채탄 방식으로 생산비용이 낮아 중국까지의 운송비를 감안하더라도 판매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인프라 및 시설투자를 통해 중국수출을 희망하는 해외 매수 희망자가 있고,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반영한 몽골 탄광의 총 매각 가치가 400억원 전후로 전망되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공사 관계자는 “국내 주주사와의 협의를 거쳐 보유지분 매각 입찰을 추진할 예정이며, 조만간 매각주간사를 선정하는 입찰을 먼저 진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p></div><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p></div>
|
<p> </p><div>2023년 04월 09일 몽골소식</div><div> </div><div> 모든 아이들에게 돈을 제공하는 문제를 검토할 것</div><div>L.Oyun-Erdene 총리는 오늘 E-Business 플랫폼 개통식에 참석하여 시민들에게 전자 서명을 받을 것을 촉구했다. 또한 그는 어린이 돈에 대한 언론인의 질문에 답했다.</div><div>그는 "국제기구에서 예산이 매우 어렵고 몽골이 파산선고를 할 위험이 있다. 그래서 모든 아이들에게 돈을 주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단계별로 대상 그룹에 이체하는 요건은 연간 예산 논의 중에 만들어졌다.</div><div>당시 상황이 그랬다. 재무부와 의회 실무그룹은 권고를 따라야 한다.</div><div>상황이 달라진 지금은 모든 아이들에게 돈을 주는 문제를 검토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모든 아동에게 돈을 주는 문제가 관계기관과 논의되지 않는다면 예산이 과도하게 지출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div><div>시민은 IMF 프로그램과 FATF에서 예산 내역을 개혁하라는 요구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div><div>그는 "6월이나 7월에 모든 아이들에게 돈을 제공할 재정 자원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div><div>현재 몽골 전체 아동의 91%인 약 120만 명의 아동에게 월 10만투그릭의 수당이 지급되고 있어 불평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div><div>Ikon.mn 24.04.09</div><div>광업으로 무한한 부를 얻고 정치와 법원을 매수한 사람들과 싸울 것.</div><div>새로 임명된 두 장관이 의회에서 선서를 한다. 총리는 H.Bulgantuya를 노동사회보장부 장관으로, B.Tulg를 항만부 장관으로 임명하는 명령을 내렸다. </div><div>이에 대해 S.Odontuya 국회의원은 "연금이 평균 7년이 아닌 5년으로 산정되고 결정되는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다. 이 문제를 지지해달라. 가장 고통받는 것은 여성이다. 그는 재무부에서 일했고 돈을 저축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할 것이다 아이들, 어머니 돈을 아끼지 말라 남성 정치인은 돈을 훔치는 방법을 계산했다.</div><div>돈이 있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보호하고 용감하게 일하기를 바란다. 가정법에서 두세 자녀 부양 방법을 명확히 하고 싶다.” 라고 했다.</div><div>L.Oyun-Erdene 총리는 "절도와 경제 성장은 하나가 되었다. D.Bat-Erdene에 대한 공격과 T.Badamjunai의 체포에 대한 조치가 논의되었다. </div><div>뇌물을 받은 사람들은 우리를 동정하지 않는다. 불쌍히 여기거나 용서하지 말라. 우리의 미래는 도난 당했다. 이 문제는 정치화될 수 있다. 그러나 몽골 사람들은 어떤 정치적 결정이 내려지고 배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고 있다. 나는 물러서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부패를 없애야 한다. </div><div>광업으로 무한 부자가 되고 정치와 사법부를 사들인 자들과 집요하게 싸울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향후 30년의 문제를 논의하는 방식이다."라고 했다. </div><div>Ikon.mn 23.04.09</div><div>수출은 수입을 18억 달러 초과, 대외 무역수지 흑자.</div><div>올해 첫 3개월 대외 무역 총 거래액은 미화 57억 달러다.</div><div>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20억7000만달러 57% 증가했다. 또한 수출액이 수입액을 18억 달러 초과하여 대외 무역수지가 흑자가 되었다.</div><div>관세청 에 따르면 2023년 첫 3개월 동안 38억 달러 상당의 상품과 원자재가 수출되어 작년 동기 대비 93.8% 증가했다.</div><div>총수출품</div><div>-광물 제품 33억 달러, 88.5%;</div><div>-진주, 보석 및 준보석, 귀금속, 보석류, 미화 1억 5,720만 달러, 4.2%;</div><div>-약초 제품 7,930만 달러, 2.1%</div><div>언급된 기간에</div><div>중국의 납광석 및 정광, 철광석, 구리 정광, 아연 정광 및 원유 100%, 무연탄 97.6%, 소와 말 가공 가죽의 61.2%가 중국으로 수출되었으며, 이탈리아에 빗질 캐시미어 77.4%, 워싱된 캐시미어의 99.9%가 중국으로 수출되며, 상기 제품이 전체 수출액의 83.6%를 차지한다.</div><div>몽골이 수출하는 54개국 중 중국 92.4%, 스위스 3.5%, 한국 1.4%로 이들 국가가 전체 수출의 97.3%를 차지한다.</div><div>Ikon.mn 23.04.09</div><div>하루에 최대 10-15마리의 염소를 빗질할 수 있어</div><div>캐시미어는 농업 부문의 주요 수출 상품이다. 따뜻한 날씨가 시작되었고 동부 지방의 목동들은 염소를 빗질하고 캐시미어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기상 조건으로 인해 서부 지방 사람들은 5월부터 염소 빗질을 시작한다. 농촌에 인력이 부족해 '염소를 빗질한다'는 광고가 퍼지기 시작했다. 염소 1마리를 빗질하면 10,000투구릭, 하루에 50마리를 빗으면 평균 500,000투구릭을 받는다는 광고가 SNS에 퍼져 시민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따라서 한 사람이 하루에 몇 마리의 염소를 빗질할 수 있는지 알아봤다.</div><div>지난주 도르노고비 지방의 델게레숨에 가서 염소를 빗은 시민 B.Tsogtbaatar는 "염소 캐시미어 가격이 오른다고 한다. 염소는 겨울을 나고 따뜻해 질 때 일찍 빗질한다. 빗질 시간은 매년 다르다. 평균적으로 암컷 염소 한 마리에서 300-500g, 수컷 염소에서 700-900g의 캐시미어를 얻을 수 있다. 앙고라 염소는 최대 1kg의 캐시미어를 생산한다. 목동들은 암컷 염소를 10,000투구릭에, 수컷 염소를 12,000투구릭에 빗질하고 있다. 숙련된 사람은 하루에 최대 10-15마리의 염소를 빗질할 수 있다. 하루에 25~50마리의 염소 빗질은 불가능하다. "돈이 많은 것 같은데 하루에 염소 6마리만 빗질할 수 있었어요." 또한 현지인들은 어제 현재 Khentii 및 Sukhbaatar 지방의 캐시미어 1kg 가격이 145,000-150,000투구릭 이라고 말했다.</div><div>UNUUDUR 23.04.09</div><div>Made in Mongolia 전시회가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리고 있어</div><div>몽골 정부의 시행기관인 ㈜마이클엑스포 중소기업청은 대한민국 동대문구와 협력하여 이달 7일부터 12일까지 서울에서 메이드 인 몽골 2023 무역 박람회를 개최한다. </div><div>이번 전시회에는 5개 분야 20개 이상의 기업이 50개 이상의 제품을 전시한다. </div><div>한국에서 열리는 Made in Mongolia 2023 전시회는 양국 간의 무역 및 경제 협력을 확대하고, 기업가와 생산자를 해외 시장과의 연결 및 투자자를 유치하고, 국가 생산자의 제품을 홍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개 이상의 기업과 단체가 참가하고 있다.</div><div>행사의 틀 내에서 몽골 국가 산업재 수출 여건을 높이고, 양국 간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확대하기 위한 시장이다. 동대문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div><div>또한 앞으로 서울에서 연 2회 몽골 국민상품전을 개최할 예정이다.</div><div>Made in Mongolia 2023 전시회가 동대문구 중랑천공원에서 5일간 진행된다.</div><div>UNUUDUR 23.04.09</div><div><br></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574.jpg" title="168085657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585.jpg" title="168085658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596.jpg" title="16808565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607.jpg" title="168085660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619.jpg" title="168085661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647.jpg" title="168085664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661.jpg" title="168085666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673.jpg" title="16808566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691.jpg" title="168085669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702.jpg" title="168085670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713.jpg" title="16808567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724.jpg" title="168085672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744.jpg" title="168085674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757.png" title="1680856757.pn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771.jpg" title="168085677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781.jpg" title="16808567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792.jpg" title="168085679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804.jpg" title="168085680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814.jpg" title="168085681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830.jpg" title="16808568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842.jpg" title="168085684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852.jpg" title="168085685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864.jpg" title="168085686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877.jpg" title="168085687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888.jpg" title="168085688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898.jpg" title="168085689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909.jpg" title="168085690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923.jpg" title="168085692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932.jpg" title="16808569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856942.jpg" title="1680856942.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중앙수사국, 거액 투자 사기 조심</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4-07T10:42:26+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4-07</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몽골 중앙수사국은 최근 발생하는 사기 유형에 대해서 경고했다. 중앙 수사국에 따르면 최근 외국인 개인 및 법인이 몽골 국민 및 기업에 거액을 투자할 것이라는 허위 정보를 제공하여 사기를 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수사국 관계자는 사기범들이 보여주는 은행 ‘SWIFT’관련 문서는 공식 문서가 아닌 가짜 문서이라고 당부하면서 이전에 만나거나 연락한 적인 없는 사람, 온라인에서 접촉한 적이 있는 사람에게 송금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또한 외국에 있는 사람과 거래 관계를 맺는 경우 전문 변호사, 금융 컨설팅 등을 통해 정보의 정확성을 명확히 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참조) 예시 문서</p></div><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SGI서울보증, 몽골 국영 재보험사와 업무협약 체결</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4-07T10:33:18+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4-07</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SGI서울보증이 몽골 국영 재보험사 ‘몽골리안 리’와 ‘몽골 보증보험 활성화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두 회사는 지난 5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업무협약 체결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후데르촐롱 몽골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 서너르 몽골 재무부 보험국장 등이 참여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협약으로 SGI서울보증은 보증보험 상품개발과 운영 노하우를 몽골리안 리에 전수하고, 몽골리안 리는 현지 법령에 맞게 상품을 개발하는 등 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공동 마케팅을 통해 몽골에 진출한 한국 기업에 대한 보증보험 공급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리안 리는 몽골 유일의 국영 재보험사로 AGCIA(아시아보증신용보험협회)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다.</p></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748156.jpg" title="168074815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748167.jpg" title="168074816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748179.jpg" title="168074817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748189.jpg" title="168074818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748200.jpg" title="168074820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748211.jpg" title="168074821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748222.jpg" title="1680748222.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도로교통공단, 몽골 교통안전 강화를 위한 공적개발원조(ODA)사업 착수</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4-06T09:56:49+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4-06</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도로교통공단(이사장 이주민)은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권용복), 한국교통연구원(원장 오재학)과 몽골 교통안전 강화를 위한 공적개발원조 (ODA)사업을 착수한다고 밝혔다.</span></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이번 공적개발원조사업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주관하고 교통분야 공공기관이 협업체계를 구축해 추진한다.</span></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이번 공적개발원조 사업에 참여하는 도로교통공단 등 교통 분야 공공기관은 몽골 내 교통안전을 강화하고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에 1,300만불을 지원하고 올해부터 2027년까지 진행할 예정이다.</span></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세부 사업으로는 △교통사고 원인조사 및 통계분석 컨설팅 등 정책자문 △자동차관리시스템 구축 및 검사시설 개선 △ 교통사고 원인분석 관련 몽골 공무원 초청연수 등을 수행한다.</span></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도로교통공단은 대한민국의 체계적인 교통사고 원인조사 방식을 전수함으로서 다수의 인명피해가 야기된 대형교통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도로환경 개선대책 수립을 위한 통계 분석 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다.</span></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또한, 전문적인 교통사고 조사를 통한 정확한 사법적 판단으로 몽골 국민의 권익 보호와 안전한 교통 환경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span></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이주민 도로교통공단 이사장은“대한민국의 우수한 교통안전 기술력을 기반으로 교통분야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몽골 교통안전 강화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말했다.</span></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span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51, 51, 51); font-family: '맑은 고딕';">한편, 도로교통공단은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으로 1970년 이후 52년만에 교통사고 사망자 2천명대 수준 감소에 기여하는 등 우수한 교통안전 기술력을 바탕으로 모잠비크, 몽골 등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국제개발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span></p></div><p>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아시아 개발은행, 몽골 경제 5.4% 성장할 것</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4-05T10:43:5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4-05</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아시아 개발은행(ADB)의 수석 애널리스트인 볼드(S. BOLD)는 몽골의 경제 상황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그는 “몽골 경제는 2022년에 4.8% 성장했고 2023년에는 5.4%, 2024년에는 6.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러한 성장이 수출, 광산업, 운송 및 기타 부문의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물가 상승률은 2023년 10.9%, 2024년 8.7%로 낮아지며 상품과 제품 공급 차질, 대외 무역 차질 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그는 또한 미래에 공공지출을 줄이면서 거시 경제의 외부 균형을 지원하고 민간 부문 압박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전망했으며 다음과 같은 이유로 경제 전망이 하향 전망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p></div><p> </p>
|
<p> </p><div>2023년04월04일 몽골소식</div><div><br></div><div>호주 정부, 중국의 석탄 수요가 205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추정.</div><div>호주 정부가 어제 에너지 및 광물 시장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발표했다.</div><div>보고서에 중국 시장의 석탄 수요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 것인지를 언급했다.</div><div>중국의 석탄 수요는 2050년까지 계속될 것이지만 해외로부터의 수입은 그 이전인 2030년대에 끝날 것으로 예측했다.</div><div>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일환으로 중국이 점차적으로 석탄 소비를 줄이고, 국내 생산 수준에서 소비할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div><div>호주는 철강 생산에 사용되는 점결탄을 중국에 공급하는 주요 공급국 중 하나다.</div><div>중국은 2020년 말부터 코로나바이러스의 출처에 대한 분쟁 속에서 호주산 석탄 수입을 비공식적으로 금지했다.</div><div>금수 조치는 올해 초에 끝났고 양국 간의 무역은 회복되기 시작했다.</div><div>호주는 올해 1월부터 중국에 총 310만t의 석탄을 공급했다. 그것의 대부분은 점결탄이었다.</div><div>또한 280만 톤의 석탄이 중국 항구에서 대기 중이다.</div><div>하지만 이는 2019년 월 평균 석탄 공급량 7~800만톤에 비하면 적은 양이다. 호주 전문가들은 금지 조치가 해제되더라도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div><div>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전 세계적으로 지정학적 대립이 심화됨에 따라 중국 당국이 원자재를 서방 국가에 의존하는 것을 경계하는 경향이다.</div><div>또한 몽골 등의 국가에서 수출되는 석탄 가격이 호주보다 저렴하다.</div><div>전반적으로 호주의 중국에 대한 총 에너지 및 광물 수출은 2021-2022년에 940억 달러에 달할 것이며, 이는 다른 국가보다 훨씬 낮을 것이다.</div><div>두 번째로 큰 공급국인 일본은 거의 세 배나 작다.</div><div>어제 기자회견에서 앤서니 알바니즈 호주 총리는 주요 교역 상대국인 중국과의 협력 확대 의사를 재확인했다.</div><div>그는 "대화는 항상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며 베이징 방문 초청을 수락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우리의 주요 무역 파트너다."라고 했다</div><div>Ikon.mn 23.04.04</div><div>ADB, 몽골 경제 내년 고성장 예상</div><div>아시아 개발 은행은 오늘(04.04.2023) 몽골의 경제 성장이 2023년에 5.4%에 도달하고 2024년에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div><div>중국 경제가 회복되어 광물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국내 수요가 회복되면서 몽골 경제는 전염병 이후의 성장 주기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은행은 해외 및 국내 금융 조건이 크게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강한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div><div>아시아개발은행(ADB)이 매년 발간하는 아시아경제개발전망(Economic Development Outlook of Asia) 신판에 따르면 몽골 경제는 2022년 4.8% 성장에서 회복할 것이며 2023년에는 수출 및 광업 부문의 회복과 2024년에는 각각 5.4%, 6.1%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div><div>Pavit Ramachandran ADB 몽골 상주대표는 "몽골 경제는 코로나19 대유행, 국경 무역항 제한 등 외부 환경의 악영향과 충격으로 지난 3년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div><div>그러나 수출수요 회복과 위기에 대한 정책적 대응의 영향으로 경기는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div><div>그러나 경제성장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려면 거시 건전성 정책을 실행 높은 인플레이션을 줄이면서 성장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총저축을 늘리고 경제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공부문 경영과 금융부문의 구조개혁을 단행하는 것이 중요하다.</div><div>민간 부문의 개발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지원하고 중기적 성장 유지 및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몽골은 투자 환경의 포괄적인 개혁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div><div>물가상승률은 2023년 10.9%, 2024년 8.7%로 낮아져 상품·상품 공급 차질, 대외 교역 차질 위험이 낮아진다. 그러나 외화에 대한 MNT의 약세와 내수 증가로 물가상승률은 중앙은행의 목표치인 6%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div><div>미래에 공공지출을 줄이면 거시경제적 대외 균형을 지원하고 민간 부문 압박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대외 무역 중단 위험이 감소하고 운송비 감소에 따라 서비스 수지 적자가 감소하는 반면 상품 수출 증가로 경상수지 적자가 감소한다.</div><div>경제 전망이 기준선에서 하향 조정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여기에는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 연방의 공격으로 인한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의 악화, COVID-19 대유행 바이러스의 새로운 버전의 출현 및 새로운 감염 물결의 생성 세계 시장에서 수익성 있는 제품의 감소, 국내 정치 상황의 악화 및 국제 수지에 대한 석탄 구매 협정의 부정적인 영향 증가 등이 포함된다.</div><div>ADB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극심한 빈곤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면서 이 지역에서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하며 위험 회복력 있는 개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div><div>1966년에 처음 설립된 이 은행의 68개 회원국 중 49개국이 이 지역에 있다.</div><div>News.mn 23.04.04</div><div>2023년 1분기 영수증을 4월 8일까지 등록해야 VAT 환급.</div><div>국세청이 2023년 1분기 부가가치세2023년 1분기 납부영수증을 4월 8일 23시 59분 이전에 등록해야 환급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고 안내했다.</div><div>구체적으로는 2023년 1월, 2월, 3월 구매 영수증을 ebarimt 시스템에 등록한다. TEA는 결제 영수증으로 추첨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 환급이 가능하다고 밝혔다.</div><div>부가가치세에 관한 법률 15.2.1, 당분기에 원천징수 납세자가 구매한 구매에 대해 지불한 세금의 최대 20%가 이 법 15.3에 명시된 조건을 충족하는 납세자에게 환급된다.</div><div>1분기 환불은 4월에 마감된다.</div><div>2022년 4분기에 총 1,153,999명의 시민이 644억투구릭을 환급 받았다. Ikon.mn 23.04.04</div><div>달러의 지배력이 약화되고 위안화 무역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div><div>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무역과 상업의 주요 통화는 가장 강력한 통화인 미국 달러였다. 그러나 세계 정치가 변화함에 따라 경제학자들은 이 글로벌 경제 칼럼 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미국 달러가 약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div><div>Breitbart 경제학 편집자 John Carney는 "Fox & Friends Weekend"에서 달러 약세가 세계 무대에서 미국의 영향력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심각한 위협이지만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고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우리는 세 단계를 거쳤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세계 최대 경제국 이었다. 1970년대부터 국제 은행 시스템은 주로 "소련의 몰락과 붕괴 이후 세계는 미국 달러에 의해 지배되었다. 그러나 이제 많은 국가가 미국 달러에서 멀어지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함께 협력하기 시작했다. 달러를 대체할 통화"라고 설명했다. </div><div>경제, 기술, 우주, 국방 등 여러 분야에서 미국과 경쟁하며 세계 패권국이 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중국은 미국 달러의 패권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크림 반도를 점령한 이후, 그들은 미국 달러로 표시된 비즈니스 거래를 만드는 전략적 프로세스를 시작했다. 중국 위안화는 이미 러시아의 실질 준비 통화가 되었다. 올해 초 우크라이나 침략으로 서방의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의 지도부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러시아 외환보유액의 17%가 위안화다. 위안화는 모스크바 거래소에서 세 번째로 많이 찾는 통화이기도 하다.</div><div>그 결과 현재 중국 위안화는 준비 통화 포트폴리오의 3%를 차지한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미국 달러의 시장 점유율은 71%에서 59%로 12% 하락했다. </div><div>2008년 이후 전 세계 거래의 75% 이상이 미국 달러로 이루어졌다. 또한 외채의 60% 이상이 달러로 구성되어 있고, 글로벌 중앙은행 준비금의 59%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시장과 상품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몇 년 동안 서서히 감소하고 있지만 다른 어떤 통화도 이러한 수준에 근접하지 못했다.</div><div>어느것이 미국 달러 지배력을 대체할 것인가? </div><div>전문가들은 중국 공산주의 체제가 충분히 개방적이지 않기 때문에 위안이 세계의 지배적인 통화가 될 이유가 없다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위안화를 위협으로 보지 않고 있다. 미국의 주요 이점은 달러에 대한 다른 국가의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완전히 개방된 경제에 있다. 미국 달러의 영향력은 줄어들었지만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의 주요 동맹국들은 달러를 버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우디 아라비아와 다른 많은 석유 무역 국가는 미국 달러와 더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미국 달러가 그렇게 빨리 세계 지배력을 잃지는 않을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그러나 중국이 석유와 천연가스의 주요 소비국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 미국과 유럽연합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무역국이다.</div><div>애널리스트들은 미국 정부의 대중 무역적자 축소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고 달러 강세를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세계가 이제 서로 다른 통화로 거래되는 서로 다른 경제 블록의 냉전 시대 기반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현재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을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미국 정책의 명확한 목표 중 하나다. </div><div>News.mn 23.04.04</div><div>사기, 교통사고 늘어</div><div>오늘 시 관리 직원의 긴급 회의가 열렸다. </div><div>이 자리에서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수도권의 범죄예방 및 위반사항, 위험 현상, 기술 사고 등을 보고했다.</div><div>지난 14일 동안 수도에 2,925건의 형사 고발이 등록되었다. 예를 들어, 사기 민원은 56.8% 증가한 반면 공공 부정 행위는 2.3배 증가했다. 하지만</div><div>-도난 민원 12.6%</div><div>-강도 민원 35.8%</div><div>-인간 건강에 대한 불만 건수는 2.3% 감소했다.</div><div>접수된 민원은 8031건으로 3.4% 감소했지만 치안 교란·폭행·폭행·가정폭력은 늘었다.</div><div>물적피해 교통사고 늘어나</div><div>지난 14일 동안 3750건의 교통사고가 접수됐다. 음주운전 위반 적발 건수는 1,052건이며</div><div>음주운전사고 16건이 등록되었다. 개인 상해 및 사망과 관련된 범죄 발생률이 감소했으며 언급된 기간 동안 치명적인 사고는 기록되지 않았다. 하지만 물적 피해를 동반한 교통사고는 늘었다.</div><div>Ikon.mn 23.04.04</div><div>연초부터 324,386명이 항공으로 여행.</div><div>올 초부터 324,386명이 비행기를 이용, 234,121명의 승객이 국제선으로, 90,265명이 국내선으로 여행했다. 도로교통부에 따르면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5.8% 증가했다.</div><div>전체 승객의 53.4%가 국적항공사 MIAT를 이용했다. 그리고 22.7%는 터키항공, 중국국제항공, 대한항공 등 외국항공사를 이용했다.</div><div>2023년에는 150만 명의 승객을 항공 운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항공통신 협약을 체결, 운항 횟수를 2~3배 늘려 연간 300만명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게 됐다.</div><div>Ikon.mn. 23.04.04</div><div><br></div><p>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맘스터치, 몽골 진출…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 체결</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4-04T09:50:30+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4-04</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맘스터치가 몽골 외식시장에 진출한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맘스터치는 몽골 현지 기업인 ‘푸드빌 팜’과 마스터 프랜차이즈(MF) 계약을 체결하고 연내 6개 이상의 매장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푸드빌 팜은 몽베이커리 아룡바트 회장이 몽골 사업을 위해 설립한 신규 법인이다. 몽베이커리는 몽골 현지에서 베이커리, 카페 등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들을 현지에 안착시킨 경험이 있다. 아룡바트 회장이 몽골에서 계육 농장을 운영하고 있어, 맘스터치 몽골 매장 내 닭고기의 안정적인 공급도 가능하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맘스터치는 올 상반기 내에 몽골 1호점을 오픈할 예정이며 주력 메뉴는 싸이버거와 양념치킨 등으로 구성한다. 이후 현지 반응을 살핀 뒤 메뉴와 서비스를 최적화해 연내 총 6개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p></div><p>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남자팀, 아시아선수권 3×3 농구대회 우승</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4-03T10:35:1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4-03</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3×3 농구 몽골 남자팀이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대표팀은 결승전에서 호주와 만나 접전 끝에 21:18로 승리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돌궁(E. Dolgoon)이 8점, 아난드(A. Anand) 6점, 엥흐바아타르(O. Enkhbaatar) 5점, 델가르니암(D. Delgarnyam) 2점을 기록하면서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 대표팀은 이전 대회에서는 호주와의 결승전에서 2패를 기록한 바 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팀은 이번 대회에서 우승함에따라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놓고 경쟁에 참가할 권리를 얻었다.</p></div><p> </p>
|
<p> </p><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주요 관광지 위치에 따라 33개 화장실 시설 공개</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4-03T10:55:24+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4-03</time></span></div><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528977.jpg" title="1680528977.jpg"> </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지난 31일에는 ‘화장실’ 전국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뭉흐오드’ 교육문화체육과학기술부 관광정책조정국장은 주요 관광지의 위치와 33개 화장실 시설을 공개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국장은 이미 업체들과 공개 회의를 통해서 주요 관광루트와 그 주변에 있는 33개의 화장실 시설을 공개하였으며 이들 지점에 위생시설과 서비스 시설 설치를 제안했다고 말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에 따라 기업들이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다음과 같은 해결방안을 도출했다고 덧붙였다.</p><ul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margin-bottom: 26px; color: rgb(34, 34, 34);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조립식 건물을 짓는 회사와 협력하여 빠르게 건축한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10px;">건물 관련 위생시설에 대한 솔루션을 도출한다.</li><li style="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inherit; margin-left: 21px; margin-bottom: 0px;">CU나 GS25와 같은 유통 기업과 협력하여 책임감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li></ul><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이와 더불어 서비스 센터 건설에 참여한 기업의 경우 세금이 면제되며 ‘그린론’을 통한 투자금 대출에 관한 정보도 제공했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34, 34, 34);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현재 15개의 위생시설 건설에 대한 계획이 진행 중이다.</p><p> </p><p> </p>
|
<p> </p><div>2023년04월01일 몽골소식</div><div> </div><div>중국과 에르데네뷰렌 HPP 파이낸싱 논의</div><div>어제 각료회의에서 재무부, 에너지부 장관에게 외국 차관과 투자 원조를 통해 에르데네부렌 수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의 틀에 건설공사의 기술 감독에 필요한 자금을 포함시키는 조치를 취할 것을 지시했다. </div><div>프로젝트의 환경관리계획을 완성하기 위해 2024년에 시행할 세부환경영향평가, 환경상태평가, 문화재 보호사업을 완료하기 위해 피해 및 이주 가족의 재산에 대한 잔여 보상금과 유산 보존을 위한 문화 기금은 내년 국가 예산에 포함된다.</div><div>이전에 Hovd 주 Erdeneburen Sum에 있는 90MW Erdeneburen HPP 건설 자금의 95%는 중국의 양허성 차관으로 조달될 것이며 나머지 부분은 예산에서 제공된다.</div><div>B.Choijilsuren 에너지부 장관은 "정부는 Erdeneburen HPP에 대한 조치 결정을 승인했다. 결의안은 네 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우선, 2024-2027년 주 예산에 약 500만 달러의 기술 제어 비용이 포함된다. 둘째, 2024년 예산에 약 40억투그릭의 재산 보상에 대한 나머지 지불액을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셋째, 1,241명에게 일회성 보상을 지급항ㅇ다. 2024년까지 나머지 133억투구릭 보상금 지급을 완료하기로 했다. 넷째, 에르데네부렌 HPP저수지의 영향을 받게 될 문화유산이 있다. 보존을 위해 2024년 예산에 약 60억투구릭을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또 "3월 31일 중국 수출입은행이 국무원에 에르데네부렌 HPP 관련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국에 대한 미화 2억 5천만 달러 이상의 투자는 해당 국가 국무원의 규제를 받는다. "대출이 승인되면 올해 2/4 분기 이내에 협상이 계획되어 있다." 고 하였다</div><div>장관은 “에게해강 HPP와 타반톨고이 발전소 관련 질문에 "러시아는 에게해강 HPP와 관련해 유네스코에 제소했다. 이에 따라 외국계 기업에 환경영향평가를 의뢰해 조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를 유네스코에 제출될 예정이다. 러시아 측에 미리 제공되었다. 문제가 해결된 후에는 에게해 강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다. Tawantolgoi 발전소의 경우 각료들은 지난 주 내각 회의에서 입찰을 위한 법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결의안 초안을 제안했다. 장관들은 아마도 다음 주 각료회의에서 그들의 입장을 확정한다. 이후 입찰공고를 할 예정이다." </div><div>참고로, 정부는 이전에 Hovd, Erdeneburen Sum에 있는 90MW Erdeneburen HPP 건설을 위한 자금 조달의 95%는 PRC의 양허성 차관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나머지는 예산을 편성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건설함으로써 서부 5개 아이막의 에너지 수요를 완전히 충족하고 수입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자 러시아가 에게해 수력발전소 건설에 반대하며 유네스코에 제소했다. 그 결과 제42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몽골과 러시아에 과제를 부여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에게 해 수력 발전소 건설이 많은 생물 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도록 배정되었고 위에서 언급한 대로 완료되었다. Munugov 지방에 건설 될 예정입니다. 산업부는 이전에 450MW 용량의 Tavantolgoi 발전소 건설 작업이 10년 이상 전에 시작될 계획이라고 보고했습니다. 다만,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div><div>Unuudur. 23.03.31</div><div>투구릭 환율 안정되기 시작</div><div>2023년 3월 하반기 몽골은행의 외화경매에서 은행들이 미국 달러를 사려는 수요가 크게 줄었다. 3월 16일 이후 외화 경매 통계를 보면, </div><div>-2023.03.16 – 6,830만 달러 공급 </div><div>-2023.03.21 – 5,480만 달러 공급; </div><div>-2023.03.23 – 2,220만 달러 공급; </div><div>-28.03.2023 – 600만 달러가 공급되었고 1200만 달러가 은행에서 구매되었다. </div><div>위 통계에 따르면 미국 달러를 사려는 은행의 수요가 크게 줄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미국 달러의 공식 환율은 2023년 3월 19일 이후 10일 동안 거의 7투구릭 약세를 보였다.</div><div>외화 경매에서 은행의 미국 달러 구매 수요가 감소했으며 지난번 오늘 경매에서 은행으로부터 미국 달러 구매 제안이 없었다. 은행들이 몽골은행에 외 화매도 제안을 하고 몽골은행이 은행들로부터 화폐를 매입한 것은 2021년이 마지막이었다.</div><div>그런 의미에서 지난 10일 동안의 USD 환율의 움직임은 투구릭 환율이 안정되기 시작했다는 큰 신호를 시장에 주고 있다.</div><div>그러나 큰 그림을 보면 2023년 초에 몽골 정부는 향후 2년 안에 갚아야 할 큰 부채를 차환하는 계약을 성공적으로 체결했고 국제 시장에서 자금을 유치할 수 있었다. 3월 초에는 오유톨고이 지하광산 건설이 본격 가동에 들어가는 등 좋은 일들이 많이 있었다. 전문가들은 이것이 국제 시장에서 몽골의 미래 위험을 줄이고 투자자의 신뢰를 높이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div><div>대외 무역은 올해 1~2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한 22억 달러를 수출했다. 수입은 전년보다 15% 증가한 11억9000만 달러, 대외수지는 10억4000만 달러의 흑자를 냈다. 올해 첫 두 달 동안 몽골은 석탄 수출로만 12억7000만 달러를 얻었다. 또한 광산업 전체 수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구리 수출로 3억 7200만 달러의 이익을 챙겼다. 수출 회복과 미 달러 유입 증가가 투구릭 환율 강세의 가장 중요한 유인이 되었다. </div><div>Ikon.mn 23.03,31</div><div>오유톨고이 지하광산 노동자 200명 무기한 파업 예고</div><div>오유톨고이 지하광산 직원 200여 명이 오늘(2023년 3월 31일)부터 파업을 선언했다. 구체적으로 몽골 노동자들은 정당한 임금지급을 위해 노동단속기관과 행정법원에 제소한 뒤 노동법에 따라 집단 쟁의를 원만히 해결하려 했지만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 따라서 파업을 할 필요가 있다.</div><div>노동조합은 이달 14일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2022년 1월 1일부터 고른 일정, 즉 14/14 일정으로 작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우리 모두는 "이 일정에 맞춰 일하면서 초과근무와 수당 문제가 거론됐다.</div><div>직원들은 이 문제에 대해 합의하기 위해 '월리엔지니어링'과 수차례 회의를 갖고 중재인을 선임해 집단적 노사분쟁을 일으켰지만 결과를 얻지 못해 파업을 선언했다.</div><div>"Worli Engineering" LLC의 OYUUNBAATAR:</div><div>- 우리 회사 직원들은 오유톨고이 프로젝트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임금이 법에 따라 적절히 고려되고 지급될 것을 요구하며 파업을 선언했다. 모든 노동자들이 토론하고 평화적으로 파업하기로 결정했다.</div><div>광산 노동자들은 파업 중이고 도시 노동자들은 사무실에 모였다. 급여 규정 변경 논의는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됐다. 어쨌든 파업은 특정 결과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고 하였다.</div><div>News.mn 23.03.31</div><div>동부 지역은 생식기 질환, Orkhon은 암이 많아</div><div>지역의 지리적 위치, 날씨, 특정 특성이 인구의 감염성 및 비감염성 질병의 영향을 받는가? 어느 지역에서 어떤 종류의 질병이 많이 발생하는가? 이와 관련하여 건강개발센터에서 실시한 최신 연구를 소개한다.</div><div>감염성 질병</div><div>지난 10년간 전국적으로 호흡기 감염병은 총 17,240건, 인구 1만명당 58건으로 등록되었다. 2021년에는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결핵, 수두, 홍역, 풍진, 유행성 이하선염, 수막구균 감염, 풍진 등 7종 질병 총 2,729건이 전체 감염병의 18.4%를 차지한다. .</div><div>Covid-19 유행 기간 동안 사람들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감염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켰기 때문에 2021년에는 호흡기 감염이 예년보다 감소했다. 그러나 발생률은 울란바타르시와 동부지방에서 높았고 항가이와 서부지방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세부적으로 호흡기 질환은 Ulaanbaatar시, Dornod, Khentii, Selenge, Dornogovi, Darkhan-Uul 지방에서 높다. 반대로 Zavkhan, Umnogov, Dundgov 및 Gobi-Sumber 지방은 이러한 유형의 질병 사례가 작았다.</div><div> 호흡기 감염 건수, 2010-2021</div><div>가장 흔한 호흡기 질환 중 하나는 결핵이다. 중부 지방이 이 질병이 최고 많으며 Darkhan-Uul, Selenge 및 Ulaanbaatar 도시가 그 뒤를 잇고 있다. 그러나 Govsumber, Umnogov 및 Dundgov는 질병 발생률이 낮은 지역으로 확인되었다.</div><div>최근 몇 년 동안 동부 지역의 지방은 소리 없는 전염병이 된 성 매개 감염 측면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항가이 지역, 울란바토르시 및 중부 지역이 그 뒤를 잇고 서부 지역은 감염이 가장 적은 지역이다 질병의 종류별로는 매독이 과반수를 차지했고 나머지는 임균과 트리코모나스증 이었다.</div><div> 2010-2021년 지역별 인구 10,000명당 성병 감염</div><div>비전염성 질병</div><div>2016~2019년 몽골에 등록된 모든 사례의 62.1%가 남성이었다. 사고로 인한 신규 사례 10건당 남성은 6명, 여성은 4명이었다. 연령별로는 5세에서 25~29세 사이가 더 높다.</div><div>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환경 비감염성 질병의 10대 원인은 뇌졸중, 심장마비, 우발적 부상, 암, 만성 호흡기 질환, 천식, 급성 상기도 질환, 신생아 질환, 고의적 부상 등이다.</div><div>인구 외래 환자 질병의 주요 원인:</div><div>소화 시스템의 질병, 심혈 관계 질환, 호흡기 질환, 비뇨 생식기 질환, 부상, 중독 및 기타 질병</div><div>인구 질병의 5가지 주요 원인</div><div>위의 목록에서 알 수 있듯이 몽골인들은 식도, 위, 췌장, 간, 대장, 담낭 등 소화기관의 장기를 심각하게 손상시키고 있다. 심혈 관계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는 중요한 지표도 있다.</div><div>전국 평균보다 서부, 중부 및 동부 지역의 호흡기 질환, 서부 지역의 소화기 질환, 서부 지역의 비뇨 생식기 질환, 서부 지역의 심혈관 질환이 더 높습니다. </div><div>암</div><div>몽골은 암으로 인한 사망과 간암 발병률 및 사망률 면에서 세계 1위다. WHO 통계에 따르면 가장 흔한 암 부위는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결장암 및 자궁경부암이다.</div><div> 2021년 성별에 따른 상위 10개 지역의 암 발병률</div><div>몽골 인구 중 2021년에 5981건의 새로운 암 사례가 등록되었으며, 간암 32.7%, 위암 16.1%, 폐암 7.5%, 식도암 5.7%, 자궁경부암 5.2%이었다. 위 암이 전체 암의 67.2%를 차지한다. 남자는 간암, 위암, 폐암, 기관암, 식도암, 대장암, 직장암, 여자는 간암, 자궁경부암, 위암, 유방암, 식도암이 많이 발생한다. 간암 발병률은 남성 인구 100,000명당 68명, 여성 인구 52명으로 모든 성별에서 가장 높다.</div><div>Darkhan-Uul, Zavkhan, Orkhon, Uvs 및 Sukhbaatar 지방이 암 발병율이 높고Arkhangai, Dornod, Sukhbaatar, Uvs 및 Khentii 지방은 암 사망 측면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div><div>News.mn 23.03.31</div><div><br></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081.jpg" title="168025308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100.jpg" title="168025310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112.jpg" title="168025311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122.jpg" title="168025312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133.jpg" title="168025313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149.jpg" title="168025314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160.jpg" title="168025316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172.jpg" title="168025317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182.jpg" title="16802531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192.jpg" title="168025319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207.jpg" title="168025320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217.jpg" title="168025321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229.jpg" title="168025322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242.jpg" title="168025324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253.jpg" title="168025325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263.jpg" title="16802532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273.jpg" title="168025327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285.jpg" title="168025328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295.jpg" title="168025329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306.jpg" title="168025330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318.jpg" title="168025331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330.jpg" title="168025333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340.jpg" title="168025334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351.jpg" title="168025335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253362.jpg" title="1680253362.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 class="td-post-header"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Noto Sans KR'; font-size: 16px;"><header class="td-post-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h1 class="entry-titl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7, 17, 17); font-weight: 400; margin: 0px 0px 28px; font-size: 31px; line-height: 41px; overflow-wrap: break-word;">국립문화재연구원, 한·몽 공룡화석 보존·복원 연구 업무 약정 체결</h1><div class="td-module-meta-info"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family: 'Open Sans', 'Open Sans Regular', sans-serif; font-size: 11px; margin-bottom: 16px; line-height: 1; min-height: 17px;"><div class="td-post-author-nam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color: rgb(68, 68, 68); float: left;"><div class="td-author-b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By</div> <a href="https://himongolianews.net/author/mongolnews/"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0, 0); text-decoration-line: none; font-weight: 700; margin-right: 3px;">몽골외신팀</a><div class="td-author-line"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 margin-right: 2px;"> -</div></div><span class="td-post-date"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118, 118, 118);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op: 2px; margin-left: 4px; float: left;"><time class="entry-date updated td-module-date" datetime="2023-03-30T10:45:28+09:00" style="box-sizing: border-box;">2023-03-30</time></span></div></header></div><div class="td-post-content tagdiv-type"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5px; line-height: 1.74; color: rgb(34, 34, 34); margin-top: 21px; padding-bottom: 16px; font-family: 'Noto Sans KR';"><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몽골=하이몽골리아뉴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29일 몽골 고생물학연구소와 공룡화석 연구 및 보존을 위한 업무 약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양 기관은 지난 2017년 대한민국 대검찰청과 몽골 대검찰청 간 협의가 이뤄진 ‘몽골 공룡화석 반환 및 협력’의 후속조치에 따라 2018년 공동연구 약정을 체결해 국제적 협력관계를 이어왔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이번 약정은 코로나19로 원만히 진행되지 못했던 보존처리 관련 기술과 경험, 조사·연구 교류를 정상화하려는 취지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주요 약정 내용은 몽골 공룡화석 보존과 복원, 과학적 분석 및 연구정보 상호 교환, 현지공동조사, 몽골 공룡화석의 수탁, 전시에 관한 제반 사항, 연구자 상호 인적교류 및 교육, 기타 양국의 고생물 지질유산 분야 전반에 관한 조사, 연구 협력 등이다.</p><p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6px; font-size: 16px; overflow-wrap: break-word;">국립문화재연구원은 “이번 약정 체결로 몽골 공룡화석의 표본 보존처리와 비교연구가 활성화되어 국내에서 다수 보고된 공룡발자국과 유연관계(생물들이 분류학적으로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관계)가 있는 몽골 공룡화석 및 화석산지 연구정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p></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287.jpg" title="168007228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302.jpg" title="168007230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313.jpg" title="16800723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323.jpg" title="168007232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332.jpg" title="16800723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343.jpg" title="168007234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355.jpg" title="16800723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368.jpg" title="168007236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378.jpg" title="168007237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390.jpg" title="168007239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00.jpg" title="168007240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12.jpg" title="168007241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22.jpg" title="168007242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32.jpg" title="168007243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45.jpg" title="168007244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55.jpg" title="16800724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64.jpg" title="168007246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75.jpg" title="168007247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87.jpg" title="168007248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496.jpg" title="168007249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507.jpg" title="168007250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531.jpg" title="168007253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543.jpg" title="168007254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554.jpg" title="168007255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564.jpg" title="168007256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613.jpg" title="16800726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80072622.jpg" title="1680072622.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2023년03월28일 몽골소식</div><div> </div><div>몽골, 석탄 수출 줄어들 가능성 높아</div><div>G.Batzorig경제학자와 현재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다.</div><div>- BloombergNEF는 석탄 수요가 2024년에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석탄 산업의 가까운 미래에 대한 비전은 무엇인가?</div><div>-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상황으로 인해 유럽의 석탄 소비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중국산 석탄을 구매하는 중계상들은 배후에 운송회사가 있고 그들과 거래도 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을 만났다. 우리는 2030년까지 양국 간의 무역 및 경제 정책을 개선하고 무역규모를 급격히 높이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 이것의 한 예는 석탄이다. 특히 러시아의 점결탄 점유율은 5% 정도였지만 최근 2년 사이에 거의 20%에 육박했다. 호주 석탄도 중국과의 관계 개선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7500만톤의 석탄을 수입하며 지난 10년 동안 그 이상을 초과한 적이 없다. 중국 수입은 제한적이다. 내 말은, 우리는 그 75에서 놀고 있다. 이 게임에서 우리는 현재 상황에서 이점이 없다.</div><div>-일부 전문가들은 거래소에서 석탄 거래의 시작이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를 모두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중국 측은 이를 잘 받아들이지 않는 것 같았다. 이것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div><div>-석탄거래소가 중국 바이어들의 이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거래로 변모하고 있다. 거래소에 안 팔면 미등록 분이 풀려나거나 일정량의 석탄이 엄청 싸게 팔려서 그런 문제가 있다. 거래소에서만 이 문제를 처리하는 것은 현재 상황에서 상당히 차선책으로 보인다. 현재 러시아와 호주산 석탄이 주를 이루고 있어 몽골의 석탄 수출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거래소에서 석탄을 팔아야 하지만 너무 갑자기가 아니라 점진적으로 테스트를 해봐야 한다. 현재는 대부분 옵텍 계약이 진행되고 있다. 석탄 소비는 앞으로 몇 년 동안 동일하게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div><div>우리에게는 고정관념이 있다. 몽골은 좋은 품질의 석탄과 충분한 자원을 가지고 있고 다른 나라는 자원이 없으며 혼자서 세계를 공급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해 왔다. 이제는 이런 태도를 바꿔야 한다.</div><div>실제로 러시아, 중국, 호주 및 미국은 매우 우수한 품질의 석탄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다. 우리는 선진국의 원자재 공급업체가 되었음을 이해해야 한다. 앞으로는 그곳에 가는 기업들에게 각자의 사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중국 측을 바라보며 상황을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으면 너무 엄격해서 optek 계약에 따라 석탄을 보내지 말라고 하면 상대방이 우리에게서 석탄을 사지 않겠다는 이해관계가 있을 수 있다.</div><div>- 석탄 수요 증가 전망을 어떻게 '기회'로 만들 수 있을까.</div><div>- 어떤 경제에서 석탄 수요가 증가하느냐가 중요하다. 아마도 유럽의 석탄 수요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 이유는 다가오는 겨울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고 유럽인들은 러시아에서 천연가스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금수 조치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전기 제한으로 이번 겨울을 간신히 버텼다. 그와 마찬가지로 내년에는 모든 국가가 일정량의 석탄을 만들어 낼 것이고, 이런 식으로 석탄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중국 경제의 빠른 회복이 없다. 제13차 5개년 계획이 발표되었다. 중국 경제 전망은 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출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다지 높지 않다. 따라서 그것이 유럽에 속한다는 것은 우리에게 중요하지 않다. 러시아, 중국이 상호 방문했다. 러시아 석탄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호주와의 금수 조치가 해제되었다. 이 두 가지는 우리가 더 "걱정"해야 할 것들이다. 이것이 석탄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 기회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한편으로는 석탄 투명성을 개선해야 한다. 우리가 모든 석탄을 거래소에서 판매할 경우 구매자가 생각하고 받아들일 위험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가능한 한 많은 석탄을 수출할 수 있다면 기회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div><div>- "석탄 절도" 사건은 몽골의 모든 분야에서 부패와 뇌물 수수의 분명한 예다. 대다수의 시민은 빈곤 속에 살고 있으며, 부자가 된 가족은 소수에 불과하다.</div><div>- 부패지수를 보면 우리나라는 하위권에 머물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는 부패 지수에서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개발 은행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들이 부정부패로 인해 부자가 되고, 그 쓰임새가 눈앞에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공공투자의 효율성에서 100위권에 한참 뒤떨어져 있다. 우리는 방금 개발은행의 예를 통해 그것이 전혀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았다.</div><div>외부에서 채권을 끌어들여 들여왔지만, 기업과 정치가 합쳐져 끝이 났다. 12년 후, 신용 불량자가 많아 법정에 서고 사기꾼과 싸우고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여러 지표에서 실생활의 불평등을 볼 수 있다.</div><div>이를 평등화할 수 있는 가능성은 무엇인지, 우리는 전통적인 거버넌스를 개선하고 투명하게 만드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몽골보다 앞서 있는 비슷한 나라들을 보면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한 사람이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태어났는지, 그 나라가 처음부터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있었는지, 둘째, 거버넌스가 어땠는지, 셋째, 경제 정책과 프로그램이 얼마나 유연한 지 </div><div>-예를 들어?</div><div>- 부도 직전의 아르헨티나, 필리핀, 스리랑카가 있다. 따라서 의원내각제가 아닌 대통령제 정부를 가진 국가들이 거버넌스 위기로 인한 도산 및 붕괴의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우리나라가 의회 정부를 없애는 것이 유익하다. 두 번째는 데이터다. 우리에 비해 아르헨티나와 스리랑카는 지리적 위치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항구 이점이 있다. 셋째, 각종 충격에 대한 노출도가 높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기간 동안 외채 상환이 있었다면 우리는 파산했을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민생을 평준화하는 논리적 근거가 어렵다. 생산성이 낮고 데이터가 없고 두 이웃 정책이 강하다. 또한 우리 정부 지도부의 얼굴을 보라. 따라서 우선 위의 예에서 언급한 국가들처럼 평준화될 가능성은 낮다. 둘째, 노르웨이와 같은 국가처럼 천연 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없다. </div><div>"현재 상황에서 우리는 필드에서 경쟁력을 잃지 않아야 한다."</div><div>-외환보유액은 전년 2월 대비 7.8% 감소했고 어제 환율은 3525.51투구릭 이었다. 일부 분석가들은 미국 달러가 미래에 3700투구릭을 초과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미국 달러 환율의 변화와 그 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div><div>- 모든 제품은 수요와 공급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비가 많이 오면 수요가 증가하고 비가 내리지 않으면 수요가 감소한다. 그런 관점에서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고 봄에는 수요가 많다. 그 이유는 외화에 대한 수요가 시민, 기업, 국가 통화에 의해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업이 회복되고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급이 있는지를 고려하면 공급 측면에서 석탄 위안의 소득이 있다. 또 5개 광산업체와 '오유톨고이' 공급처에서 들어오는 자금이 얼마나 안정적이냐에 따라 공급이 결정된다는 뜻이다.</div><div>따라서 현 상황에서는 석탄에 대한 경쟁력을 최대한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석탄 수출이 거래소에 의해 차단되어서는 안된다.</div><div>이 모든 것을 볼 수 있고 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환율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반면에 환율의 유입과 유출을 살펴보면 유출이 훨씬 크거나 국제수지가 상당히 적자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환율 상승압력이 크다. 환율 상승의 주요 위험은 많은 예산을 지출하여 수입을 지원하고, 석탄 수출 경쟁력을 잃고, 너무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석탄 수입을 방해하고, 환율이 지금보다 더 오를 것이라는 시민과 기업의 기대이다. 여러 가지 이유로 환율이 상승할 위험이 있다.</div><div>- 인플레이션을 한 자릿수로 낮추겠다는 몽골은행의 정책이 모호해진 것인가? 이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가?</div><div>-올해 인플레이션을 한 자릿수로 끌어 내리는 문제가 상당히 어려워졌다. 이 수치에 도달하려면 여러 가지를 충족해야 합니다. 몽골은행은 기준금리를 13%로 정하고 상당히 긴축했다. 다른 쪽에서 이러한 통화 정책을 뒷받침할 재정 정책이 필요하다. 이는 예산이 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현재 예산이 수입을 전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입과 환율이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 면에서 예산이 수입을 부양하고 소비를 크게 부양하면 수입 인플레이션이 생긴다는 논리에 입각한 것이다. 인플레이션이 한 자릿수에 이를지 여부는 재정정책에 따라 결정된다. 물론 지금은 선거를 앞둔 해다. 연례 선거 전 해는 어떻한가? 물론 각종 실효성 없는 약속, 현금 분배, 각종 채무 탕감 등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활성화되면 인플레이션을 한 자릿수로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div><div>News.mn 23.03.28</div><div>미상환 대출 잔액은 1조 4천억투구릭.</div><div>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2월 말 기준으로 기업 및 개인 총 대출 잔액은 22조6000억 투그릭에 달한다. 이는 전월 대비 1409억(0.6%), 전년 동기 대비 1조3000억(6.3%) 증가한 금액이다. 대출 잔액의 53.2%는 개인, 45.6%는 기업, 0.6%는 금융 및 기타기관, 0.6%는 정부기관이다.</div><div>금년 2월 말 일반 대출 잔액은 19조투구릭으로 전달보다 3251억(1.7%) 감소한 반면 전년동기 기간보다 9103억(5%) 증가했다. 일반대출 잔액이 전체 대출 잔액의 84%를 차지한다.</div><div>상기 기간 중 미상환 대출 잔액은 1조 4,000억투그릭으로 전월 대비 2,446억(21.5%), 전년 동기 대비 3,373억(32.3%) 증가했다. 미상환 대출 잔액은 전체 미상환 대출의 6.1%를 차지한다.</div><div>은행 시스템의 부실채권은 지난달 말 2조2000억투그릭으로 전월보다 2215억투그릭(10.9%),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7억투그릭(4.2%) 증가했다. 부실채권은 전체 대출 잔액의 9.9%를 차지한다.</div><div>시중은행과 몽골모기지공사(Mongolian Mortgage Corporation)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올해 1월 말 현재 6조5000억투그릭으로 전월보다 179억투그릭(0.3%), 전년 동기 대비 8054억투그릭(14.1%) 증가했다. </div><div>News.mn 23.03.28</div><div>오랫동안 방치된 차량 견인, 폐차</div><div>울란바토르 공공도로, 광장, 주차장에 오래 방치된 차량 견인에 대해 알렸다. 이 결정에 따라 어제/27.03.2023/부터 폐차에 대한 공지가 발송되었다.</div><div>시민들도 이 결정에 고마워하며 교통량이 많은 이 시기에 주차장과 공공장소를 자유롭게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div><div>그러나 공무원은 오랫동안 방치된 차량을 모두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집과 직장 근처에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방치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이나 전화로 제공할 수 있다. 전화를 걸 때는 1800-1200으로 전화하거나 <a href="http://www.ulaanbaatar.mn을">www.ulaanbaatar.mn을</a> 방문하여 차량 위치와 등록 번호를 알려주면 된. 이런 식으로 차량 소유자에게 연락을 취하고 공무원이 통지를 보낸다.</div><div>구체적으로 교통안전법과 위반행위에 관한 법률에 의거 장기간 방치된 차량을 적재해 책임 소유자에게 알리고, 차량을 인수하지 않으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견인, 폐차한다. </div><div>해당 장소에 몇 달간 주차돼 있던 차 주인과 연락이 닿지 않을 경우 차량에 안내문을 붙이고 일주일 뒤 이를 올려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div><div>News.mn 23.03.28</div><p> </p>
|
<p> </p><div>2023년03월27일 몽골소식</div><div> </div><div>10개국 대사에게 신임장 수여</div><div>U.Khurelsukh 대통령이 10개국 대사에게 신임장을 수여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div><div>Helena Sangeland, 주몽골스웨덴왕국 특명전권대사</div><div>Pehin Dato Rahmani Dato Basir 주몽골브루나이 다루살람 특명전권대사</div><div>마이아 마니카 주몽골라트비아공화국 특명전권대사</div><div>Andreas Rijken, 주몽골오스트리아공화국 특명전권대사</div><div>Irit Ben-Abba Vitale 주몽골이스라엘 특명전권대사</div><div>구스타보 사비노 바카 나르바하 주몽골아르헨티나공화국 특명전권대사</div><div>Lina-Kaisa Mikkola, 주몽골핀란드 특명전권대사</div><div>Al-Busaidi, 주몽골오만술탄국 특명전권대사</div><div>Hassane Rabehi, 주몽골알제리인민민주공화국 특명전권대사</div><div>Dmytro Ponomarenko 주몽골우크라이나 특명전권대사에게 신임장을 수여했다.</div><div>대통령은 대사들의 새로운 임무를 축하하고 성공적인 업무 수행을 기원했다. 그는 대사들이 관계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믿음을 표명했으며 정부가 전폭적인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div><div>또한 국제사회와 유엔, 국제기구의 틀 안에서 관계를 강화하고 싶다고 말했다.</div><div>Ikon.mn 23.03.27</div><div>오유톨고 지하 광산 생산량의 정점은 언제인가?</div><div>오유톨고이 프로젝트의 채굴이 지난 주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div><div>1997년에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는 Oyutolgoi 프로젝트가 몽골 경제에 미치는 이점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div><div>노천 광산</div><div>기사의 시작 부분에서 노천 및 지하 채굴의 현재 상황을 간략하게 소개한다.</div><div>노천 광산과 지하 광산에서 광석만 추출되어 농축기로 운반되어 구리 정광이 된다. 간단히 말해서 광석은 구리와 금의 혼합물인 화석화된 물질이다. 구리 정광은 완제품이 아니다. 원료에 불과하기 때문에 최종 제품으로 중국에 판매된다. </div><div>노천 채굴은 2011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 광산은 오유톨고이 전체 자원의 20%를 차지한다. 하루 평균 130,000톤의 광석이 농축기로 채굴되며 연간 4,000만 톤의 광석이 공급된다.</div><div>하루에 농축되는 광석의 0.4%는 구리 정광이다. 현재 노천광은 직경 약 600m, 깊이 약 400m이며 깊이는 약 600~650미터라고 노천 채굴 선임 컨설턴트인 B.Gantulga는 말했다.</div><div>지하 광산</div><div>지난해 1월 지하광산에서 첫 폭파가 이뤄졌다. 광석 채굴은 1,300m 깊이에서 시작되었으며 오유톨고이 전체 부의 80%가 지하에 있다. 현재 21개의 호퍼가 광석을 수집하여 1차 분쇄기로 운반한다.</div><div>공사가 한창이며 지 하광산 전체 광석의 중간인 1,344m에서 채광이 진행되고 있다. 지면에 있는 큰 광체의 중앙, 즉 1,300미터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간다고 이해할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을 채취한 후 다음 광석을 채취할 것으로 추정된다.</div><div>현재 30개 이상의 광석 채굴 구덩이가 폭파되었으며 21개의 채굴 구덩이에서 광석 채굴을 시작했다. 지하 광산 한가운데에 220개 이상의 광석 채굴 깔때기가 만들어질 것으로 추정된다.</div><div>현재 지하 광산은 하루에 10,000톤의 광석을 농축기로 펌핑하고 있다. 앞으로는 수가 늘어나서 하루에 생산되는 광석의 양도 늘어날 것이다.</div><div>하루 60톤의 광석을 확보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정점에 이르면 지하 광산은 하루에 95,000톤의 광석을 농축기에 공급한다.</div><div>D.Budragchaa Oyu Tolgoi 농축 공장의 운영 부서 관리자는 광석에서 나오는 구리 정광의 농도가 노천광보다 지하 광산에서 더 높으며 연도에 따라 1.2~1.7%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div><div>2028~2036년까지 Oyutolgoi 지하 광산은 최대로 가동되며 연간 500,000톤의 구리 정광이 추출될 것으로 추정된다.</div><div>다음은 Oyutolgoi 프로젝트에서 추출한 구리 정광이 몽골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공식 출처의 정보다. </div><div>지난 몇 년간 경제에 미치는 영향</div><div>다음은 몽골 경제에 대한 Oyutolgoi 프로젝트의 금전적 가치 목록이다. </div><div>2010년부터 8조 8000억투그릭의 세금을 납부했다.</div><div>2010년 이후 국내에서 34조투그릭이 사용되었다. </div><div>49억 3천만 달러 국비 구매</div><div>2010년부터 근로자에게 총 9억 1,800만 달러가 지급되었다.</div><div>지역 개발 프로그램에 3,890만달러</div><div>총 투자액 150억달러</div><div>몽골에 들어오는 투자금 10달러 중 7달러는 오유톨고이 프로젝트에서 나온 것이다.</div><div>"오유톨고이 판매수익 100% 무역개발은행, 골롬트은행, 킹뱅크에서 나온다"</div><div>"오유톨고이 프로젝트는 지난 10년 동안 몽골에서 외국인 투자자를 유치하는 주요 얼굴이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해외 Oyutolgoi 회사 계좌, Trade Development Bank, Golomt Bank, 판매 수익의 100%는 Khan Bank 3개 은행을 통해 오며 통화는 중앙은행의 환율로 변경되고 거래는 3개 은행에서 투구릭으로 이루어진다. 몽골에서의 모든 거래는 투구릭으로 수행된다." Rio Tinto Mongolia CEO H.Amarjargal이 말했다.</div><div>오유톨고이의 판매수익은 100% 몽골로 환원된다. 지난해 몽골에 16억 달러를 수입했고, 14억 달러가 판매 수입이었다. 이 중 500여개 국영기업에서 13억 달러를 구매했고, 2억700만 달러는 국가예산으로, 1억3600만 달러는 직원에게 지급했다.</div><div>B.BOLD: 전 세계적으로 구리 수요가 증가할 것.</div><div>"Rio Tinto"의 Copper Group 이사인 B.Bold는 향후 세계 구리 시장이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의 가장 큰 엔진 중 하나는 전기 자동차다. 전기 자동차 한 대당 평균 86kg구리가 들어간다. 그런데 우리가 운전하는 디젤 자동차에는 26kg의 구리가 들어 있다.</div><div>자연 온난화와 기후 변화로 인해 에너지원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는 구리를 많이 사용한다. "수요가 증가할 경우 몽골에서 수출 판매 수익을 창출할 구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div><div>따라서 전 세계가 에너지원을 바꿔야 할 필요성에 직면한 이 시점에서 오유톨고이 동정광이 문제 없이 국제 시장에서 판매될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에너지 소비로 몽골은 세계 구리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가 될 잠재력이 있다. </div><div>몽골 경제에 미치는 영향</div><div>1. 세액</div><div>지하 광산은 2028년에서 2036년 사이에 500,000톤의 순 구리를 생산할 것으로 추정된다. 위의 기간 동안 최대로 가동된다.</div><div>Erdenet 공장과 Oyutolgoi 구리 수출은 작년에 국가 예산에 2조 2천억투그릭의 세금을 납부했다. 그러나 Tavantolgoi는 석탄에 대한 세금으로 1.5조투구릭을 납부했다. 따라서 구리 수출은 국가 예산에 귀속되는 세금의 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div><div>지하 광산은 올해 예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현재 연간 660,000톤의 구리 정광을 생산하고 있다. 이 수치는 2024년에 78만 톤으로 증가할 것이다. 즉, 2~3년이면 120만톤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증액으로 국가예산에 편중된 세액이 증가하게 된다. </div><div>2. 제련소</div><div>몽골에서 일자리를 늘리고 세계 구리 시장에서 경쟁하는 방법 중 하나는 최종 구리 제품을 생산하는 제련소를 짓는 것이다. 경제개발부 장관은 공장을 짓는 것이 몽골에 유익하다고 말했다.</div><div>"Rio Tinto"와 몽골 측은 지하 채굴 시작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한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양해 각서에 서명했다. C.Khurelbaatar 경제개발부 장관은 이와 관련해 "2007년 첫 투자 계약을 맺을 때 구리 제련소 건설에 대한 조항을 포함시켰다. 구리로 만든 최종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몽골 경제가 성장되고 일자리가 창출되어 경제에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div><div>오유톨고이 동정광을 육안으로 보면 시멘트와 같은 가루 형태의 회색 물질이 있다. 중국의 15개 이상의 제련 회사에 판매된다. 일반적으로 광업 제품의 50% 이상이 중국에서 생산된다.</div><div>"2016년 경제적 이익 연구에 따르면, 우리 남쪽 이웃이 우리의 주요 경쟁자가 될 것이기 때문에 오유톨고이를 기반으로 제련소를 건설하는 것은 이익이 없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div><div>3. 국내총생산의 성장</div><div>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한 국가의 생활 수준을 나타낸다. 경제 영향 평가는 Oyutolgoi가 최대로 가동되기 시작하면 몽골의 국내 총생산이 3분의 1 또는 35% 증가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div><div>몽골의 GDP는 52.9조투구릭이며 1인당 GDP는 약 1500만투구릭이다. </div><div>2028~2036년 오유톨고이 지하 광산 생산량이 정점에 이르면 GDP 성장과 일자리가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일자리를 가진 청년들이 늘어나고 실업률은 낮아질 것이다. 180만투구릭의 평균 가계 소득이 증가할 것이라는 점도 언급해야 한다. </div><div>4. 직접적인 영향</div><div>직접적인 경제적 영향에서 국내 조달, 지역 개발 프로그램, 임금, 교육 프로그램 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div><div>예를 들어, 작년에 지역 개발 프로그램에 3890만 달러가 사용되었고 국가 조달에 44억9000만달러가 사용되었다. 광부의 음식과 의복은 지역 기업에서 구입한다. 그 뒤에는 중소기업 오너들이 소득을 얻고 적어도 하나의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강조했다.</div><div>2010년 이후에 이루어진 구매와 국내 유통 금액은 지하 광산 시운전으로 인해 증가할 것이다. 오유톨고이의 엔지니어들이 지금보다 더 많은 인력과 기술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산 제조사 및 국내 기업의 매출이 증가할 것이다. </div><div>오유톨고이에는 세계 어느 곳에서나 취업할 수 있는 숙련된 엔지니어와 기술자가 있다는 점도 언급해야 한다. 경험이 풍부한 외국 엔지니어에 의한 몽골 근로자의 교육은 기술 측면에서 중요한 것이다. 그는 해외에서 오는 엔지니어와 기술자는 계약 기간 동안 몽골인을 훈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를 대신할 수 있는 사람을 양성한 뒤 계약을 이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div><div>광산 노동력 97%가 몽골인이며, 최근 몇 년 동안 여성 노동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오유톨고이 작업장에 가보니 외국인 노동자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몽골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일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div><div>2012년 몽골의 수출액은 약 50억 달러였지만 지난해에는 125억 달러였다. 이 중 에르데네트 공장과 오유톨고이의 동정광 수출은 향후 20~22% 증가할 전망이다. B.Enkhbayar경제학자는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수출이 증가하고 외환 흐름이 증가할 것이다. 이는 몽골은행의 외환 보유고를 늘리고 환율을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고 했다. </div><div>5. 간접효과</div><div>오유톨고이가 경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들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div><div>-경제적 승수 효과</div><div>-고용 또는 공급 회사가 직원에게 지불하는 급여 금액</div><div>-전 세계적으로 훈련된 광업 및 기타 산업 전문가</div><div>그는 광산업에 높은 안전 기준이 도입되었다고 말했다.</div><div>6. 배당금</div><div>지하 광산과 관련해 언제 배당금을 받을지 세간의 이목이 집중됐다. "Erdenes Oyu Tolgoi" LLC의 전무 이사인 N. Tserenbat는 지금까지 노천 광산이 배당금을 받지 못했다는 사실로 인해 배당금을 받을 시기를 명확히 했다.</div><div>그는 "몽골 정부와 Oyu Tolgoi 프로젝트의 34%를 소유하고 있는 Erdenes Oyu Tolgoi LLC가 설립한 실무 그룹은 이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지난해 34% 23억 달러의 부채를 탕감함으로써 몽골인들이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났다. </div><div>장기적으로 계획한 결과, 안전한 운영과 예상치 못한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2032년부터 배당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몇 년간 세계 시장에서 구리의 높은 가격이 장점이었다. 다만 재원 측면에서는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비용이 어느 정도 증가할 수 있다"고 했다.</div><div>우리는 여전히 이 프로젝트에서 새로운 일자리, 국내 구매, GDP 성장, 글로벌 구리 시장 점유율 공급업체, 구매로 인한 외환 등을 기다리고 있다. </div><div>또한 중요한 행사는 최종 구리 제품 생산을 위한 공장 건설을 위해 Rio Tinto와 몽골 정부 간의 양해 각서에 서명한 것이다. 몽골은 세계 구리 시장의 5% 미만을 공급한다. Oyutolgoi는 지구 온난화와 에너지 전환에 따라 구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급이 충분하지 않다는 추정치를 제시했다.</div><div>따라서 최종 구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공장을 짓는 것이 우리에게 유리하다고 생각된다. 물론 이 모든 것에는 시간이 중요하다. 10여 년 전에 논의되었던 지하 광산이 이제 생산을 시작한다. 따라서 최대한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발전이 잘 이루어지길 기다려볼 일이다. </div><div>IKON.MN 23.03.27</div><div>AI92에 연료가 부족한가?</div><div>지난 주말, 사람들이 AI92 휘발유를 사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div><div>AMGTA 석유 제품 부장인 D.Davaabayar는 휘발유 비축량에 대해 명확히 말했다. </div><div>그는 "과거 5일 업체에서 공개한 정보에 따르면 10~20일 정도의 비축량이 있었다. 휘발유 부족 여부는 해당 업체에 문의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는 비축량을 가지고 있다. 다른 연료의 공급은 전국적으로 정상이다."라고 했다.</div><div>"Petrovis" LLC와 "Tes Petroleum" LLC는 "일반적으로 연료 비축량은 정상이다”라고 했다</div><div>이어 "Shunkhlai" LLC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당일 주유소의 재고가 소진됐다. 창고에서 주유를 싣고 품절된 주유소에서 당일 수입을 받는 데 2~3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모든 연료 재고는 정상이다." 라고 했다.</div><div>또 경제개발부에 물었을 때도 "전국 비축은 정상이다. 연료 부족이나 차질 우려가 없다"고 답했다. </div><div>Ikon.mn 23.03.27</div><div>공공도로, 들판, 주차장에 장기간 방치된 차량 견인.</div><div>D. Munkh-Erden 수도 법무 선임 고문은 공공 도로, 광장, 주차장에 장시간 방치된 차량 견인에 대해 알렸다.</div><div>- 공공도로와 들판에 얼마나 많은 차들이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는가?</div><div>- 지금까지 30대 이상의 차량이 식별되었다.</div><div>이에 대한 정보는 시민들로부터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의 수는 카메라에 감지되어 향후 공개될 예정입니다. 도로교통안전법, 도로법, 위반행위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이들 차량을 식별해 소유자에게 알리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div><div>통지 후 일주일 이내에 차량을 픽업하지 않으면 견인된다.</div><div>- 알림 페이지는 어떻게 전달되는가?</div><div>- 자동차 번호판에 소유자의 기록이 있다. 이 기록에 따라 전화로 연락하거나 집 주소로 알림을 보낸다. 또한 차량에 공지 사항이 부착되어 있다. 처음부터 일부 시민들이 주차장과 공간을 확보했다.</div><div>- 공공도로, 광장, 주차장에 차를 방치하면 어떤 결과가 발생하는가?</div><div>-장시간 차량을 방치하면 타이어 파손, 부품 도난, 변색 등 재산 피해 및 도난의 원인이 된다.</div><div>반면 미진단, 통행료 미납 등 위반행위도 있다. 이러한 위반 행위를 제거하고 범죄를 예방하며 공공 도로, 들판 및 주차장을 정리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했다.</div><div>- 견인된 차량은 어디에 보관하는가?</div><div>- 견인하여 보관하는 장소가 있다. 우리는 소유자에게 그들이 거기에 보관되면 요금이 부과될 것임을 알린다. .</div><div>또한 이러한 차량에 대한 정보는 교통 관리 센터, 울란바토르시 비상 관리 및 조정 센터 310005, 정보 센터 전화 번호 1800-1200 및 웹 사이트 <a href="http://www.ulaanbaatar.mn">www.ulaanbaatar.mn</a> 으로 보낼 수 있다.</div><div>Ikon.mn 23.03.27</div><p> </p>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804.jpg" title="167988880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813.jpg" title="167988881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848.jpg" title="167988884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859.jpg" title="167988885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871.jpg" title="1679888871.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882.jpg" title="16798888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893.jpg" title="167988889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904.jpg" title="167988890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916.jpg" title="167988891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926.jpg" title="167988892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948.jpg" title="167988894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958.jpg" title="167988895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970.jpg" title="167988897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8993.jpg" title="167988899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004.jpg" title="167988900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017.jpg" title="167988901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027.jpg" title="1679889027.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040.jpg" title="167988904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050.jpg" title="167988905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065.jpg" title="167988906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079.jpg" title="167988907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090.jpg" title="167988909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106.jpg" title="167988910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128.jpg" title="167988912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144.jpg" title="167988914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154.jpg" title="167988915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169.jpg" title="167988916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182.jpg" title="167988918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194.jpg" title="167988919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206.jpg" title="167988920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218.jpg" title="167988921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229.jpg" title="167988922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244.jpg" title="1679889244.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255.jpg" title="1679889255.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266.jpg" title="1679889266.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279.jpg" title="167988927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288.jpg" title="167988928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299.jpg" title="167988929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310.jpg" title="1679889310.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322.jpg" title="167988932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338.jpg" title="1679889338.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352.jpg" title="1679889352.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363.jpg" title="1679889363.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9889372.jpg" title="1679889372.jpg"><br style="clear:both;"> </p>
|
<p> </p><div>2023년03월26일 몽골소식</div><div> </div><div>주몽골대한민국대사관 경고</div><div>한국에서 일하고 생활하고 공부하는 데 관심이 있는 많은 몽골 국민들이 있다. 최근 일부 잘못된 정보로 인해 비자 발급 사기가 증가했다. 이에 주몽골대한민국대사관에서 경고를 발령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몽골에서는 불법 비자 중개인이 한국에 가서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비자를 발급한다는 구실로 1인당 1000만투그릭 이상을 요구하는 사기 사례가 많다.</div><div>이 과정에서 단기간에 비자를 발급해 준다는 이유로 대사관 직원에게 뇌물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div><div>주몽골대사관은 비자신청자나 업체로부터 돈을 받은 적이 없다. 대사관에서는 비자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는 거짓 정보를 믿으며 시간과 돈을 낭비하지 말라고 경고했다.</div><div>국내 여행을 위한 비자 신청은 다음 10개 센터에서만 가능하다. 센터는 정해진 서비스 요금을 청구하며 추가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했다.</div><div>News.mn 23.03.26</div><div>북한에게 8000만달러 빚 갚으라고 통보</div><div>2007년 북한은 남한으로부터 8000만 달러 상당의 산업용 원자재를 빌렸다. 오늘(2023.3.24) 상환기간이 종료되어 남측 통일부는 채무상환을 요구하였다. 이효준 통일부 대변인은 “북한의 무대응은 남북합의 위반이자 국제통상관행에 위배된다”고 말했다.</div><div>당시 남북 합의에 따라 북한의 경공업 지원을 위해 신발, 의류, 비누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차관 형식으로 제공했다. 북한은 이를 현금으로 갚아야 하는데 단 한 번도 갚지 않았다.</div><div>과거 한국은 한 번 이상 채무상환 요구를 한 적이 있다. 예로, 2020년에 한국의 수출입은행은 팩스와 국제 우편으로 요청을 보냈다. 2000년에서 2007년 사이에 남한은 북한에 쌀과 옥수수 차관으로 7억 2,400만 달러를 제공했다. 따라서 2037년까지 이자를 포함한 대출금액은 9억 6,153만 달러에 달하게 된다.</div><div>News.mn 23.03.26</div><div>한-몽 그린벨트 사업단, ‘몽골 10억 그루 나무 기금’과 업무협약</div><div>3월 24일,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단장 이성길)은 몽골 정부가 추진하는 10억 그루 나무 심기를 적극 지원하기 위하여 몽골 10억 그루 나무 기금(이사장 Amar Lkhagvasuren)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div><div>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은 한국 산림청과 몽골 환경관광부간의 협력으로 설립된 정부간 협력기구로서, 2007년부터 몽골의 사막화, 황사 방지를 위해 나무를 심고 조림 기술을 전파하는 한편,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토지 관리를 위한 나무 심기의 중요성을 알려왔다.</div><div>몽골 10억 그루 나무 기금(Mongolian Billion Tree Fund)은 2022년 3월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의 공약인 10억 그루 나무(One Billion Tree) 운동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몽골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조성되었다.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은 2021년 9월 유엔총회에서 기후변화와 사막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까지 몽골에 10억 그루의 나무를 심을 것이며, 이를 위해 몽골 GDP 1%를 나무심기에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div><div>몽골 10억 그루 나무 기금은 대규모 나무심기와 사막화 방지, 생물다양성 보전, 정책 홍보, 인식 증진,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10억 그루 나무 운동을 지원할 계획이다.</div><div>협약식에서 이성길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장은 “기후변화 대응, 사막화 방지에 민간의 참여는 필수적이며, 이번 양해각서 서명을 통해 앞으로 10억 그루 나무 기금이 보다 활발한 민간 영역이 참여할 수 있도록 선도해 주길 바라다”는 희망을 밝혔고, 10억 그루 나무 기금의 아마르 이사장은 “지난 15년 동안 몽골의 사막화 방지를 위해 노력해 온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과 함께 스마트폰 앱 등을 활용하여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나가겠다고”고 말했다.</div><div>대한민국 산림청(청장 남성현)과 몽골의 환경관광부(장관 B. Bat-Erdene)간의 합의로 설립된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은 2007년부터 몽골의 사막화·황사 방지와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지난 15년 간 몽골의 건조지(남고비 아이막 달란자드가드 및 바인작, 투브 아이막 룬솜) 3,000ha에 나무를 심고 조림기술교육센터를 건립하여 산림분야 인재를 키우는 등 한국과 몽골의 산림 협력에 앞장서 왔다.</div><div>우리나라에 도달하는 황사는 대부분 몽골 고비사막과 중국 북서부의 건조지대에서 발원하는데, 최근 기후변화와 사막화로 인하여 황사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div><div>23년03월26일</div><div>Khosog Trade 교차로의 처리 용량 34% 증가.</div><div>N.Namuu, 교통 규제 및 통제 부서장은 Worker's Street 및 Energy Street 일부의 일방 통행과 Khosog Trade교차로의 운행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div><div>그는 “도심의 원활한 움직임을 이끌어내기 위해 위와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다.</div><div>삿포로 교차로는 전방 통행이 많습니다. 또한 Ekhtayvan Avenue의 동쪽에서 남쪽으로, 서쪽에서 남쪽으로 교통량이 많다. 이로 인해 호속 무역 교차로의 신호등에서 대기 시간이 길어 교통 체증이 발생한다. 그리고 그 앞에 새로 생긴 삼거리에서 혼잡이 이어진다.</div><div>이것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5개의 신호등 모드가 있었다면 이제 2개의 신호등 모드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호속무역 사거리 차량 대기시간은 80초, 보행자 대기시간은 116초, 보행자 대기시간은 5개 교차로 130초, 2개 교차로 차량 대기시간은 70초이다. 보행자 대기시간은 35초로 통행량이 34.1% 증가할 수 있다. </div><div>또한 “호속무역 사거리에는 동쪽 통행량이 적다. 대부분의 통행량은 전후방이다. 이 사거리에서 대기시간에 통행량이 많다. 이로 인해 도심에서 북쪽에서 남쪽으로 가는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일방통행으로 함으로써 교차로에서의 대기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무역 교차로 통행량이 34% 증가할 것이다.</div><div>또 아지발치 거리 일방통행과 연계해 교차로·출입구 17개소에 34개 표지판을 설치한다.</div><div>Ikon.mn 23.03.26 </div><div>Misheel 워킹 스트리트, 가족 음식 축제 토요일에 시작.</div><div>매주 토, 일요일 Misheel 워킹 스트리트에서 열리는 FAMILY FOOD FESTIVAL이 3월 25일부터 시작된다.</div><div>주말에 가족, 친구, 동료,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방문하면 20개 이상의 레스토랑 키오스크에서 40가지 이상의 특별 요리를 6000-8000투구릭에 즐길 수 있다.</div><div>몽골 최대 규모의 푸드 페스티벌에서 전문 셰프들이 각 레스토랑의 특색을 반영한 다민족 요리를 선보이며 식문화를 전파할 예정이다.</div><div>FAMILY FOOD FESTIVAL은 주말마다 정기적으로 개최되며, 하루 종일 다양한 요리를 맛볼 수 있는 자유를 Misheel 워킹 스트리트에서 경험할 수 있다.</div><div>News.mn 23.03.26</div><div><br></div><p> </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