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몽골인들이 할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인가? |
|
작성자 : 관리자 |
2012.04.19 16:11:16, 조회 2,786 |
|
|
시장경제 체제로 바뀐 뒤 20년이 지난 오늘날 우리가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는지, 지난 시대의 몽골인들은 어떤 일들을 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든다. 물론 이에 대한 답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할 수 있었던 것을 지금은 할 수 없게 된 것들도 함께 생각해 보자.
지난 기간동안 몽골에서 가능해진 것들:
-몽골인들 스스로 전기버스를 생산하게 되었다. 뿐만아니라 다른 국가의 주문으로 생산하고 있다. 머지않아 몽골 버스를 생산하게 될 것이다.
-몽골 브랜드의 해바라기, 콩 식용유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완전한 아파트 단지를 건설하고 있다.
-컴퓨터 조립과, 몽골 브랜드의 노트북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몽골에서 주사를 생산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코카콜라”를 생산하게 되었다.
-의학분야에서 신장 이식 수술을 하게 되었다.
-1980년대 이 후 부터 멈추었던 농업 생산을 되살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밀로 국내 수요를 완벽하게 공급하고 수출 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 하였다.
-은행, 금융 시스템에 전자, 요금 카드 또한 현금 ATM기와 핸드폰을 사용한 서비스가 완벽히 도입되어 현재 “T”카드가 도입되어있다.
우리가 할 수 없는 것들과 이 전에는 가능했으나 현재는 불가능해진 것들:
-몽골에는 원유를 정제하는 정제 시설이 없다. 원래 예전에는 소용량 정제 시설이 도른고비 아이막의 중바양 솜에 설치되어 있었다.
-일반적인 화학 공장이 없다. 잠시 “몽골히머” 연합과 과학아카데미의 화학과에서 플라스틱 그릇을 생산 했던 것을 빼면 현재 우리 나라에는 화학 가공 공장의 부재로 그릇도 생산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신발 공장이 있었으며 생산된 물건을 외국으로 수출 했었으나 현재 대량으로 생산하는 신발 공장이 없다.
-우리나라는 삼나무 열매를 가공이 불가능 하다. 이러한 공장이 없다.
-몽골은 자전거 공장이 없다. 자동차, 오토바이를 만들지 않는다. 인구, 노동력, 시장성을 볼 때 이러한 것들을 생산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 하였다.
-우리나라는 시계 공장이 없다. 예전에는 도자기와 유리 공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외국에서 들여온 완제품 유리를 사용하여 몇몇 회사에서 차량 유리를 만들고 있다.
-몽골은 구리를 녹여 가공하는 공장이 없다.
-우리 나라에는 동전을 만드는 공장이 없다. 지폐 공장이 있으나 돈을 만들어 내는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 했다.
-몽골은 쌀, 설탕 가공 공장이 없다. 쌀, 사탕수수 센터를 세워 도르노드와 셀렝게 등 몇몇 아이막에서 시범 적으로 심어 보았으나 생장 하지 않았다.
-우리는 볼펜, 샤프, 연필등을 생산하지 않는다. 가위 도 생산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제철공장과 정비소 공장에서 차량의 견인, 철상자등을 녹여 생활에 필요한 철 제품들을 생산하곤 했었다.
-수 년동안 이야기 되어 왔으나 몽골에는 쓰레기 재활용 공장이 없다. 원래 그 재료나 시장등 조건은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가 할 수 있거나 할 수 없는 것들이 여러가지가 있다. 여기에 천연 자원 매장량, 생산력, 전문성, 교육, 기술의 도태 등 우리와 관계있거나 관계없는 여러가지 것들이 많이 있다.
출처 : Бизнес таймс
문의 : babasoul@hanmail.net
제작 : KHOS UYANGA CLUB / http://cafe.daum.net/Huvsgul
|
|
|
|
<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276.jpg" title="1672284276.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294.jpg" title="1672284294.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310.jpg" title="1672284310.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324.jpg" title="1672284324.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350.jpg" title="1672284350.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390.jpg" title="1672284390.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409.jpg" title="1672284409.jpg"><br style="clear:both;"><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441.jpg" title="1672284441.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464.jpg" title="1672284464.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480.jpg" title="1672284480.jpg"><br style="clear:both;"> </p><p><img src="http://www.komex.or.kr/se2/photo_uploader/upload/1672284497.jpg" title="1672284497.jpg"><br style="clear:both;"> </p><p> </p>
|
<p><!--StartFragment--></p><p class="0"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8pt;"><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8pt;">칭기즈 칸은 고구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8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8pt;">발해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8pt;">王家</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8pt;">의 후손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8pt;">!</span></p><p class="0" style="font-size: 14pt;"><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4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4pt;">역사탐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4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4pt;">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4pt;">古代史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4pt;">연구가의 도발적 문제제기</span></p><p class="0"><span lang="EN-US">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weight: bold;">주몽예</span><span lang="EN-US">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북방민족사학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법률학 박사 </span></p><p><!--StartFragment--></p><p class="0"><!--[if gte vml 1]><v:shapetype id="_x0000_t75" coordsize="21600,21600" o:spt="75" o:preferrelative="t" path="m@4@5l@4@11@9@11@9@5xe" filled="f" stroked="f"> <v:stroke joinstyle="miter"/> <v:formulas> <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 <v:f eqn="sum @0 1 0"/> <v:f eqn="sum 0 0 @1"/> <v:f eqn="prod @2 1 2"/> <v:f eqn="prod @3 21600 pixelWidth"/> <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 <v:f eqn="sum @0 0 1"/> <v:f eqn="prod @6 1 2"/> <v:f eqn="prod @7 21600 pixelWidth"/> <v:f eqn="sum @8 21600 0"/> <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 <v:f eqn="sum @10 21600 0"/> </v:formulas> <v:path o:extrusionok="f" gradientshapeok="t" o:connecttype="rect"/> <o:lock v:ext="edit" aspectratio="t"/> </v:shapetype><v:shape id="_x437325760" style="v-text-anchor:top;width:300px;height:350.40000000000003px;" type="#_x0000_t75"><v:imagedata o:title="EMB00000f981eee" src="file:///C:\Users\KOMEX\AppData\Local\Temp\Hnc\BinData\EMB00000f981eee.jpg"/><w:wrap type="topAndBottom"/></v:shape><![endif]--> <!--[if !vml]--><!--[endif]--> </p><p><!--StartFragment--></p><p class="0"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 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1162~1227</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 세상을 떠난 지 한 세대가 조금 지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1260</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년경 페르시아 사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史家</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주바이니</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Ata^-Malek Juvayni·1226~1283)</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세계정복자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Tarikh-i Jahangushay-i)</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라는 사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史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를 지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 책에서 그는 칭기즈 칸에게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세계 정복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라는 칭호를 바쳤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미국의 역사가 잭 웨더포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Jack Weatherford)</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현대세계를 창출한 칭기즈 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2004)</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라는 책에서 칭기즈 칸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현대세계를 창출한 사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으로 표현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 위대한 업적을 이룬 칭기즈 칸의 선조는 누구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1240</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년에 출간된 것으로 알려진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몽골비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蒙古秘史</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를 보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 칸에서 위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10</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代</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를 올라가면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모든 몽골의 어머니</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라고 불리는 알룬 고와가 나온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녀에서 다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10</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를 더 올라가면 부르테 치노가 나온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우리는 이 부르테 치노가 당연히 몽골인일 것이라고 생각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과연 그럴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 칸과 그의 조상 역사를 기록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몽골비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는 책 이름을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몽골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나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칸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라고 하지 않고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비밀스러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라는 말을 붙여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몽골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라고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왜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바로 칭기즈 칸 선조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비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필자가 칭기즈 칸 관련 역사책들을 연구한 바에 의하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놀랍게도 칭기즈 칸의 직계 시조는 발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渤海</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고왕</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高王</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조영</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大祚榮</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의 아우인 대야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大野勃</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 칸은 그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19</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代孫</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 칸이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왕</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황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 되기 전 어릴 적 이름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테무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 이름은 고구려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3</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 대무신왕</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大武神王</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게서 비롯된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 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라는 칭호는 대조영 등의 호칭이었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진국공</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震國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또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진국왕</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震國王</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의 옛 소리인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텡기즈 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Т</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enggizkon=</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팅기즈 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팅궤트 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서 나온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즉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발해국왕</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渤海國王</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라는 뜻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세계 정복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 칸은 자신의 이름과 칭호를 통해 자신이 고구려 대무신왕의 후예이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발해국왕의 후손이라고 자처한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 칸이 자신의 종족 이름으로 채택하여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몽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라는 말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말갈</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靺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곧 고구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말갈어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말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馬忽</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서 나온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p><p> </p><p><!--StartFragment--></p><p class="0" style="color: rgb(1, 57, 170);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span lang="EN-US" style="color: rgb(1, 57, 170); 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1, 57, 170);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에르게네 콘</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 57, 170); 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 </span><span style="color: rgb(1, 57, 170);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이야기</span></p><p><!--StartFragment--></p><p class="0"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칭기즈 칸의 손자 훌라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Hulagu)</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가 기반을 잡은 일칸국</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Il Khanate·</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지금의 이란 및 이라크 지역에 있던 몽골제국의 칸국 중 하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편집자 주</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의 재상</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宰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었던 페르시아인 라시드 웃딘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1310</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년경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집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集史</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라는 역사책을 지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모든 튀르크 종족과 타타르 종족의 기원 이야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라고 하는 이 책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튀르크와 모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몽골의 튀르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페르시아식 표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종족의 대전쟁</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을 기록하고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 이야기를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르게네 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Ergenekun)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야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라고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티무르 왕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Timurid Dynasty)</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4</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 칸이었던 울룩벡</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Ulugh Beg·1394~1449)</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 집필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사국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Tarixi arba’ ulus)</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르게네 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아르카나 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Arkanakun)’</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라고 기록하고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옛날에 몽골이라고 부르던 종족은 지금부터 거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2000</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년 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집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집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의 다른 부분을 보면 이 사건은 라시드 웃딘의 시대로부터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600</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년쯤 전의 사건임을 알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필자 주</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 다른 튀르크 종족들과 적대와 대립을 벌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것이 전쟁으로 비화되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믿을 만한 사람들의 이야기에 의하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다른 종족들이 몽골 종족에 대하여 승리를 거두었는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얼마나 많이 참살했는지 두 남자와 두 여자를 빼놓고는 아무도 살아남지 못했다고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 두 가족은 적</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敵</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험준한 곳으로 도망쳤는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 주변은 모두 산과 숲이었고 통과하기에 지극히 어려운 좁고 험한 길 하나를 제외하고는 어느 방향에서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길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없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 산지 중간에는 목초가 풍부한 아름다운 초원이 있었는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곳의 이름이 에르게네 콘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 두 사람의 이름은 네쿠즈와 키얀이었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들과 그 후손들은 오랫동안 그곳에 머물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혼인을 통해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숫자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많아졌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몽골어에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키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산 위에서 땅 아래로 흘러내리는 가파르고 빠르며 거센 격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키얀이 대담하고 매우 용맹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그에게 이러한 이름을 붙여준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키야트는 키얀의 복수형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계보상 그와 비교적 가까운 후손들을 옛날에 키야트라고 불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 산과 숲 사이에 사는 무리가 많아져서 공간이 좁아지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들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모두 함께 모여서 숲에서 수많은 장작과 석탄을 실어와 쌓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70</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마리의 소와 말을 죽여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장장이의 풀무를 만들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많은 양의 장작과 석탄을 그 협곡의 아래에 쌓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계획에 따라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70</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개의 거대한 풀무를 일시에 불어대니 그 협곡이 녹아내려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길이 하나 나타나게 되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들은 모두 이동을 해서 그 협곡에서 넓은 초원으로 나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전하는 바에 의하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키얀에 소속된 지파가 그 풀무들을 불었다고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네쿠즈라고 알려진 종족과 그 지파인 우량카트 종족도 마찬가지로 불었다고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김호동 역주의 라시드 웃딘의 집사 부족지</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파주</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2005, 252~256</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쪽</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p><p class="0" style="color: rgb(2, 104, 209); font-size: 12pt; font-weight: bold;"><br> <span style="color: rgb(2, 104, 209);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font-weight: bold;">몽골</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2, 104, 209);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font-weight: bold;">, </span><span style="color: rgb(2, 104, 209);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font-weight: bold;">타타르</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2, 104, 209);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font-weight: bold;">, </span><span style="color: rgb(2, 104, 209);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font-weight: bold;">튀르크</span></p><p class="0" style="text-align: left; line-height: 120%; 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칭기즈 칸은 스스로 자신의 종족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몽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이라고 일컬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원래는 칭기즈 칸 자신의 종족만을 칭하는 것이었지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후일 그가 통일한 몽골고원의 종족들을 통칭하는 말이 되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튀르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페르시아 등에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모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인도에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무갈</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타타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韃靼</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는 칭기즈 칸의 몽골 종족과 대립하다가 칭기즈 칸에게 정복된 종족 중 하나였지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중동이나 서방세계에는 몽골족의 다른 이름으로 알려졌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중국에서도 명나라 이후에는 몽골족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달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이라고 칭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튀르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突厥</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6</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세기 이후 몽골고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종족으로 서방으로 이동하면서 튀르크로 알려졌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후일 셀주크튀르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오스만튀르크 등이 중동 지역의 패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覇者</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가 됐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중동을 비롯한 서방세계에서는 튀르크족은 물론 몽골족과 타타르족을 통틀어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튀르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라고 부르기도 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굴림; font-size: 12pt;">.</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p><p><!--StartFragment--></p><p class="0"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 </p><p class="0"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오래전 옛날 엘 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Elkhon)</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라는 모골 종족의 통치자가 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의 둘째 아들인 투르 이븐 파리둔</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Tur ibn Faridun)</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은 타타르 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Totor Khoni)</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인 세빈치 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evinchkhon)</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과 동맹하여 모골 종족에게 전쟁을 걸어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엘 콘과 몽골인들은 이들에 대항해서 용감하게 싸웠지만 참패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엘 콘의 아들 카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Kayon)</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과 엘 콘의 양자 누쿠즈</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Nukuz),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리고 그들의 두 아내와 이 두 사람의 간호자 외에 누구도 살아남지 못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카욘과 누쿠즈 두 사람은 적을 피해 아르카나 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집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의 에르게네 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라는 지방으로 도망해 살게 되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나머지 이야기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집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와 비슷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사국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 의하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후 카욘의 가계에서 나온 후손을 키요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Kiyo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누쿠즈의 후손을 다를라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Darlakin)</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씨라고 부르게 되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들이 바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집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가 말하는 모골 종족의 두 선조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집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는 키얀과 네쿠즈 둘 중 누가 칭기즈 칸의 선조인지 분명히 밝히지 않았지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사국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는 카욘의 후손 키요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Kiyo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씨가 칭기즈 칸의 선조가 되었다고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사국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가 칭기즈 칸의 직계 선조로 거명한 카욘의 아버지 엘 콘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튀르크의 계보</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17</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세기 히바 칸국</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Xiva xonligi·</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의 아불가지 바하디르 칸이 지은 역사책</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등 다른 사서들에서는 일 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Il Han)</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라고 기록하고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엘 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일 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과 그의 아들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카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키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Kiyan)’</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은 과연 누구인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발해 고왕 대조영의 아우 대야발에게는 원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元璣</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와 일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壹夏</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두 아들이 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일 한은 바로 일하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일 한과 일하는 같은 소리이자 같은 뜻을 가진 이름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물론 이것만 가지고 두 인물이 같은 사람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역사 기록을 통해 이들이 같은 사람인지를 확인해야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일 한이 대야발의 아들 일하라는 것은 그의 아들 키얀이 누구인지 살펴보는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 57, 170); 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1, 57, 170);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키야트</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 57, 170); 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1, 57, 170);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는 </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 57, 170); 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1, 57, 170);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클</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 57, 170); 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1, 57, 170); 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大</span><span lang="EN-US" style="color: rgb(1, 57, 170); 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1, 57, 170);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font-weight: bold;">씨라는 뜻</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그렇다면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집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 나오는 키얀의 후손 종족의 이름인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키야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사국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키요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는 무슨 의미인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 키요트씨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1008</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년에 편수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송본광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宋本廣韻</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을 참조하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놀랍게도 바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乞</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씨의 옛 소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8~9</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세기경 한자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면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khiot/qio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인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집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등이 말하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키야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와 정확히 일치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씨는 우리말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크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서 나온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씨를 음차</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音借</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한 것이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大</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씨는 그 뜻</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의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을 따른 한자를 성으로 삼은 것으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같은 의미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예를 들어 발해를 세운 대조영의 아버지 이름은 걸걸중상</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乞乞仲象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또는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乞乞仲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었지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조영은 왕조를 세우면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씨를 자신의 성으로 삼았는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 ‘</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이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는 모두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크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family: 함초롬바탕; font-size: 11pt;">에서 나온 것이다</span>
|
<p><!--StartFragment--></p><p class="0" style="letter-spacing: 0pt; margin-bottom: 4pt;"><span style="font-family: 바탕;">내물왕 대에 이르러 갑작스러운 발전을 이룩한 신라</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것이 북방 유목민족 흉노의 유입에 의한 것이었다면 그들은 어떤 경로로 신라에 온 것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폴로스막 러시아팀 흉노 무덤 발굴대장은 흉노가 어떤 경로로 신라로 이동했는지에 대한 단서를 낙랑에서 찾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는 낙랑군 출토 유물이 흉노의 것과 굉장히 비슷하다는 견해를 보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중 주목할 만한 것은 국보로 지정된 낙랑 출토 금제 허리띠 장식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을 미세하게 세공한 누금기법으로 만든 이 금제 장식은 세공의 정교함과 예술적인 조형미가 조화를 이루는 걸작품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신라시대에도 누금기법을 사용한 장신구들을 만들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흥미롭게도 이 누금기법을 사용한 유물들은 유라시아 대륙의 초원 지대에서 발견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유목민족의 전형적인 지표유물인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낙랑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지역에서 출토된 동물 문양의 장신구는 몽골 흉노 무덤에서 발견된 장신구와 거의 흡사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낙랑군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313</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 후 유민들은 한반도 남쪽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하지만 흉노가 신라 왕실의 조상일 수도 있다는 사실에 대해 많은 이들이 정서적으로 거부감을 보인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북방 유목민들이 야만족이라는 편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들은 과연 약탈을 일삼던 잔인한 야만족이었을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인들은 늘 유목민족을 자신보다 열등한 존재로 여겼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흉노라는 명칭 자체도 노비를 의미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드넓은 초원을 삶의 터전으로 살아온 유목민족</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자신의 문자로 역사를 기록하지 않은 까닭에 많은 부분이 비밀에 쌓여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유목민족은 고대와 중세시대에 중국</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인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페르시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유럽 문명의 가교 역할을 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몽골의 고고학 연구소 전시실에는 재미있는 유물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2006</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노인울라 고분군에서 발굴된 고대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여신의 모습이 새겨진 은장식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리스로마 문명의 것임이 거의 확실한 은장식품이 흉노에게 전파된 것은 이미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0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전 동서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실크로드의 진정한 개척자는 바로 유목민들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동서 교역을 장악한 그들은 동양과 서양 모두에게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게 해주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황남대총에서는 흑해 연안에서 제작된 유리병인 로만 글라스가 출토되기도 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신라시대에 로마 양식의 유리제품이 들어올 정도였다면 고대인들의 세계는 우리 생각보다 훨씬 넓었던 것이 분명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당나라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5</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6</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국의 호족 정권을 직접적으로 계승한 유목민족의 나라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유목민족은 문화의 전달자로서만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10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에 걸쳐 조성된 둔황석굴의 놀라운 예술 작품들 또한 그들이 남긴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렇게 많은 유적들이 유목민족이 고유한 문화가 없었다고 생각하는 게 편견이라는 것을 말해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또 중국에 의해서 그동안 평가 절하되었던 북방 유목민족의 역사를 이제는 복원해야 할 때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제 신라 왕족이 유라시아 대륙을 호령하던 흉노족의 후예라는 가능성에 대해 분명히 알게 되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흉노는 동서양 교류에 가장 큰 공을 세운 민족이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들 자신의 고유한 문화도 간직하고 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부당한 평가를 받았던 이들의 자취를 복원하는 일은 중국 중심의 역사관에서 벗어나 우리의 뿌리를 되찾는 작업이기도 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p><p><!--StartFragment--></p><p class="0" style="letter-spacing: 0pt; margin-bottom: 4pt;"><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태조의 아들 김올출</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908</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3</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세의 나이에 황위에 오른 선통제는 중국 역사상 최후의 황제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혁명 이후 친일전범자로 법정에 선 그의 이름은 아이신 줘러 푸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愛新覺羅溥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즉 애신각라는 청황실의 성</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姓</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신라가 들어 있는 이 성씨 속에는 한반도와 만주</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동북아시아를 꿰뚫는 역사의 비밀이 숨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진족은 두 차례에 걸쳐 중국 땅에 제국을 건설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1115</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아골타가 금나라를 세웠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1616</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누루하치가 후금</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즉 훗날의 청나라를 세웠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북방의 오랑캐 정도로만 알고 있던 여진족 또는 만주족은 우리 역사의 숨겨진 비밀을 풀 수 있는 열쇠를 지닌 민족이기 때문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과연 그 비밀은 무엇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115</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아골타는 곧바로 금나라를 건국하고 황제가 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아골타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125</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아예 요나라를 멸망시킨 후 한족의 북방 저지선인 만리장성을 넘어 바람처럼 남진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 역사상 최초로 한족의 심장부인 중원을 이민족에게 내주는 충격적인 일이 벌어진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것이 한족 역사에서 가장 치욕적인 사건으로 꼽히는 정강지변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때부터 북방 유목민족은 중원의 통치자가 되었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들은 북경을 새로운 정치 통치의 중심지로 닦아나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한족의 심장부를 점령한 아골타는 금나라를 건국한 후 황실 성을 완안씨로 정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러므로 금의 태조 아골타의 정식 이름은 완안아골타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송을 정벌할 당시 금나라 군부의 핵심 인물은 아고타의 넷째 아들 완안올출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완안올출의 활약으로 송나라는 초토화되고 결국 황제가 포로가 되고 말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아골타의 넷째 아들 완안올출을 진우슈</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金兀朮</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즉 우리말로 김올출이라고 부른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진족의 후예를 왜 진우슈라고 부르는 것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 서부 깊숙한 곳 간쑤성의 경안현에는 완안 성씨의 여진족들이 동족촌을 이루어 살고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들은 금태조 아골타의 넷째 아들 완안올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즉 진올출을 직계 조상으로 삼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들이 이곳에 정착하게 된 것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14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대 완안올출의 아들이 금황실 내부 정쟁에 휘말려 살해된 뒤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명절이면 전 부족이 모여 제사를 지내는 완안씨 사당에는 역대 황제와 자신들의 선조인 완안올출의 비가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완안올출의 비에도 역시 김올출이라는 이름이 뚜렷이 새겨져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왜 자신들 선조의 성을 완안씨라 하지 않고 김씨라고 부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학자들은 김이라는 성이 금나라와 관련이 있다는 추정만 할 뿐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후손들도 오래전부터 그냥 김올출이라고 불러왔을 뿐 정확한 이유를 몰랐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만주에서 간쑤성까지의 거리만큼이나 기나긴 역사의 비밀이 쇠 금자에 담겨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김씨 성은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만 중국에서는 대단히 드문 성씨라는 사실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강화도 마니산은 우리 민족의 뿌리와 정기를 숭상하는 사람들에게는 성지와도 같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 마니산에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커발한 개천각</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 있는데 민족운동가였던 이유립 선생이 설립해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4</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명의 우리나라 위인을모신 사당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환웅천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치우천왕 단군왕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주몽</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대조영 등을 모시고 봄 가을 두 번 제사를 지낸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런데 뜻밖에도 이곳에는 금태조 아골타의 영정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진족인 아골타가 왜 우리나라 위인들과 나란히 모셔져 있는 것이 궁금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p><p><!--StartFragment--></p><p class="0" style="margin-bottom: 4pt;"><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HY견명조; font-size: 16pt; font-weight: bold;">< </span><span style="font-family: HY견명조; font-size: 16pt; font-weight: bold;">중국을 제패한 신라의 후손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HY견명조; font-size: 16pt; font-weight: bold;">></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 베이징의 수도도서관 고문헌 자료실에는 고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古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들이 보관되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곳에는 금황실의 가계를 기록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송막기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松漠記聞</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라는 책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진족 금나라에 쫓기던 송나라는 양쯔 강을 건너 항저우로 피신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리고 포로로 잡혀간 황제의 귀환을 위해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129</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금나라에 홍호를 파견하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송막기문</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은 남송의 홍호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동안 금나라에 머물며 기록한 당대의 생생한 증언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송의 사신 홍호는 여진족 추장은 신라 사람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남겼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진 추장은 신라 사람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女眞酋長乃 新羅人</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 뿐만이 아니라 여진족은 금나라 정사인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金史</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에 자신들의 황실 뿌리에 대해 상세히 기록해놓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나라 시조는 함보라 불렀는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처음에 고려에서 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미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세 정도였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김함보의 형은 아고내인데 그는 불교를 좋아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동생의 뒤를 따라 만주로 오지 않고 고려에 머무르면서 말하기를 후세 자손들이 반드시 서로 만나서 모여 살 때가 있을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나는 따라가지 않을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홀로 김함보는 아우인 김보활리와 함께 만주로 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형 아고네는 고려에 남고 둘째인 금의 시조와 동생 보할리는 여진으로 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 금시조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8</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대손이 태조 아골타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려에서 온 금나라 시조의 이름은 함보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사본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세기</span><br> <span lang="EN-US"> </span><br> <span lang="EN-US"> 신라와 고려인이라는 차이는 있지만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사본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두 사서 모두 금나라의 선조가 한반도에서 넘어온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아골타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068</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생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8</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대조 함보로 거슬러 가면 대략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9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대 초반이 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신라 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려 초의 격동하는 정세 속에서 한 무리의 세력이 한반도에서 만주로 이동했던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흠정만주원류고</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6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대 초반 여진족이 세운 청나라의 공식 역사서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 책에도 금나라의 국호에 대한 설명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사서를 고찰하건데 신라왕 김씨 성이 수십 세를 전하였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이 신라로부터 온 것은 의심할 바 없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국의 이름 또한 마땅히 이를 취한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은 신라 김씨에서 유래했고 국호도 이를 딴 것이며 그 외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단호하게 정리하고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정사에 나온 기록들은 역사적 사실이 분명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북만주에서 바람처럼 일어나 중국 대륙을 제패한 여진족의 영웅 아골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8</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대조는 고려 초에 한반도에서 넘어간 사람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발해는 여진의 일가인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1107</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2</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월 윤관이 지휘하는 고려군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7</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만은 여진정벌에 나섰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려군의 상대는 바로 김함보의 후손들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김함보가 여진족의 지도자가 된 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5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년 후 팽창하던 여진족은 함경도 인근에서 고려와 잦은 충돌을 벌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윤관은 이 전쟁에서 동북</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9</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성을 확보하고 최북단인 공험진에 국경비를 세웠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렇다면 고려의 북쪽 국경선인 공험진은 어디였을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윤관이 실제 국경비를 세운 공험진은 함경도 종성에서 북으로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7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리 지점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세종 때 실측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조선국회도</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를 보더라도 공험진은 함경북도 종성의 북쪽이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두만강 너머에 위치했다는 것이 명확해진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조선국회도</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북관유적도</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등을 종합해볼 때 공험진은 현재 연길시로 추정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진은 자신들의 주요 근거지 중 하나였던 간도 지방을 고려에 빼앗긴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다급해진 여진은 고려에 동북</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9</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성을 돌려달라는 사신을 보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려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에는 그 기록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일찍이 우리 선조가 대방 즉 고려로부터 나왔으니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삼나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옛 땅을 돌려주시면 기왓장 한 장 던지지 않겠습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예종</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4</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109</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6</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기록 속에서 여진은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부르고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1115</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금황제가 된 아골타도 여진과 고려는 형제지간이고 역시 고려를 부모의 나라라고 지칭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여겨 조심스럽게 섬겨왔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예종</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2</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나라에게 고려는 선조들이 나온 부모의 나라였던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의 다롄대학 왕우량 교수는 이 부분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려와 여진 사이의 전쟁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습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들은 거란이나 몽고와 다릅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거란과 몽고는 완전히 다른 두 개의 민족공동체였습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들에게 혈연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별다른 유대관계가 없습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에 비해 여진족과 한반도의 신라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즉 이후 고려인은 민족공동체인 것입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 유민이었던 대조영이 건국했던 발해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926</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에게 멸망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나라를 잃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3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만 발해인들은 포기하지 않고 끈질긴 광복운동을 벌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때 발해인과 여진족 사이에는 반거란이라는 연대가 형성되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어떻게 발해인과 여진족 사이에 연대가 이루어진 것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 이유가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사</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에 잘 나타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진과 발해인은 원래 한집안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女眞渤海同 本一家</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아골타는 거란에 맞서 봉기할 때 여진과 발해는 고구려와 발해의 후예로 한집안임을 주장해 발해 유민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얻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진과 발해 사람들 모두 두 민족 사이에 친연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러한 구호가 쉽게 공유된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의 수도 베이징은 송나라 때까지만 해도 한족에게는 변방에 불과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진족은 중원을 장악한 이후 대규모 신도시를 만들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수많은 발해인들이 금나라의 고위 관료층을 형성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발해인들에 대한 금나라의 신뢰는 단순한 혈연적인 친분 때문만은 아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발해인들은 이미 대제국을 건설하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운영해본 경험이 축적돼 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러한 경험들은 이제 막 생겨난 금의 국가체계를 안정시키는 데 꼭 필요한 것들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런 필요성에 따라 금은 발해인들을 중용해서 국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했던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로써 발해인들은 금나라의 고위 관료층과 왕비족으로 자리 잡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나라는 발해인과 여진족 연합 정권의 성격을 띠게 된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황실의 선조는 신라 출신이었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국가 지배층은 발해 유민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리고 고려와의 우호적인 관계로 여진족 금나라는 우리 역사와 깊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span></p><p><!--StartFragment--></p><p class="0" style="letter-spacing: 0pt; margin-bottom: 4pt;"><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HY견명조; font-size: 16pt; font-weight: bold;">< </span><span style="font-family: HY견명조; font-size: 16pt; font-weight: bold;">동북공정과 애신각라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HY견명조; font-size: 16pt; font-weight: bold;">></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만주와 중국 대륙을 지배하던 금나라는 또 다른 북방 민족인 몽골족의 원나라에 중원을 내주고 만주로 사라졌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하지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616</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후금을 세워 명을 무너뜨리고 다시 중국 대륙을 통치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것이 바로 중국의 마지막 왕조인 청나라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렇다면 청을 건국한 누루하치는 누구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또 청 황실의 성이었던 애신각라는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청황실의 성은 아이신 줘러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런데 그 후손의 성이 김씨인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청나라의 역사서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만주실록</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에는 청황실과 만주족에 대한 기록이 상세히 나온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애신각라 그 뜻은 겨레</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성</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씨족 등과 같고 성씨에 붙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즉 만주어 애신각라를 한자로 바꾸면 금</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金</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 되는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신라의 왕족 성인 경주 김씨와 신라인의 후예 금황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금나라의 후신인 청황실은 모두 금을 뜻하는 김씨들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송나라가 멸망한 후 양쯔 강 너머에 남송이 들어섰지만 금나라군의 공격은 그치지 않았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남송은 위기에 빠졌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때 금군을 막아낸 사람이 바로 악비 장군으로 군사를 이끌고 금군을 저지하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산은 흔들어도 악비의 군사는 흔들 수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그의 군대는 용맹했고 전장에서 승리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 이후 악비 장군은 한족의 절대적인 추앙을 받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9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가까이 악비는 민족지광</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民族之光</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으로 불리며 한족의 사랑을 받고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002</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중국은 동북공정을 시작하면서 악비가 더 이상 민족 영웅이 아니라는 고등중학교 역사대강을 발표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 당국이 갑자기 자기 민족 영웅 악비를 격하시키는 이유는 간단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악비를 영웅으로 삼으면 수천 년 여진족의 역사를 자신들의 것으로 편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시안을 중심으로 한 황허 문명권에서 일어난 한족들은 전통적으로 한족 이외의 민족들을 오랑캐로 여겨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런데 만주 역사를 중국의 것으로 꾸미려는 동북공정의 역사관에서는 민족 영웅 악비가 장애물이 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러한 이유 때문에 금태조 아골타의 시조가 신라 후손이라는 것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의 야심찬 동북공정 역사관을 근본부터 흔드는 셈이기 때문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동안 우리는 이렇게 역사에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는 사실들도 모르고 지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우리의 의식 속에 한족은 우수하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흉노나 여진족은 북방의 오랑캐라고 생각하는 소중화사상에 빠져 있었던 것은 아닐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신라와 여진의 관계를 통해 우리의 역사관을 한번쯤 반성해볼 기회로 삼아야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p><p><!--StartFragment--></p><p class="0" style="letter-spacing: 0pt; margin-bottom: 4pt;"><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HY견명조; font-size: 16pt; font-weight: bold;">< </span><span style="font-family: HY견명조; font-size: 16pt; font-weight: bold;">투르크와 고구려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HY견명조; font-size: 16pt; font-weight: bold;">></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투르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turk),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우리나라 역사에서는 돌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突厥</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 북방 유목민족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한때 유라시아 북방 초원을 장악해 거대한 유목제국을 만들었던 돌궐은 그후 셀주크 투르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오스만 투르크로 이름을 바꿔가며 서쪽으로 나아가 지금의 터키에 정착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한반도에서 수천 킬로미터나 떨어진 곳에 살고 있는 그들은 사실 역사적으로 볼 때 꽤 가까운 사이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특히 고구려와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 증거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5,0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킬로미터 떨어진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에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한때 구소련에 속해 있던 사마르칸트는 중앙아시아 특유의 이국적 풍취로 가득하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주민들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4</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세기 중앙아시아를 제패해 대제국을 세웠던 티무르 칸의 후예들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우리 역사와 별 상관없어 보이는 이 도시에 민족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발자취가 남겨져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지금은 폐허로만 남은 아프라시압 궁전 유적지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우연히 발견되어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965</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부터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에 걸쳐 발굴되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유물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벽화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런데 놀랍게도 이 고대의 벽화에 한국에서 온 사신들이 그려져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벽화의 한쪽에 묘사된 고구려 사신도가 그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009</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9</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전문가와 언론을 대상으로 한 발표회가 열렸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우즈베키스탄 정부의 허락을 얻어 이 벽화를 발굴할 당시에 그린 모사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模寫圖</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가 국내에 들어온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동물 가죽 옷을 입고 칼을 찬 인물들이 바로 고구려에서 온 사신들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들이 고구려 사신이라는 것은 이들이 찬 칼을 통해 알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가장 결정적인 것은 머리 장식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새 깃털 두 개를 꽂아 놓았다고 하여 조우관</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鳥羽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라고 부르는 모자는 이들의 소속을 명확하게 알려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실크로드 미술의 정화인 둔황의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2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호 석굴에도 또 다른 고구려 사신도가 남아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들 역시 조우관을 썼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 외에도 조우관이 고구려 고유의 것임을 알려주는 자료는 많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 사신들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3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여 년 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앙아시아의 초원을 가로지르고 사막을 횡단해 무려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5,00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킬로미터의 여정 끝에 사마르칸트에 도착했을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서기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5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부터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55</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까지 사마르칸트를 지배했던 바르후만 왕의 아프라시압 궁전에는 그의 치세를 기념하기 위해 벽화를 그리고 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때 고구려 사신도 그려지게 된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 사신들이 그려진 서쪽 벽은 궁전의 정중앙에 위치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를 통해 고구려와 사마르칸트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들이 그곳까지 간 이유는 무엇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오랫동안 벽화를 연구해온 중앙아시아사의 권위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상지대 권영필 초빙교수는 이들이 연개소문이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5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이전에 보낸 사신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벽화에 그려진 고구려인들이 연개소문이 보낸 사신이라면 그들의 임무는 도대체 무었이었을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연개소문과 당태종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당나라가 중원을 통일하고 주변 유목제국을 제압해 크게 위세를 떨치던 시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의 권력자는 연개소문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독재자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뛰어난 장수로 널리 알려진 연개소문이 사마르칸트까지 사신을 보낸 이유는 무엇일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당고조에 이어 황제에 등극한 당태종 이세민은 내치가 안정되자 고구려를 비롯한 북방 유목민족 국가에 대한 침략을 준비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63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당태종은 북방을 장악하고 있던 동돌궐의 힐리가한을 사로잡는데 성공했는데 이는 고구려에게 큰 손실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런데 영류왕은 당태종이 힐리가한을 생포한 것을 축하하며 고구려의 봉역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封域圖</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를 당에 바쳤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영류왕과 온건파는 당과의 마찰을 피하는 전략을 선택했던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35</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서쪽의 토욕혼을 멸망시킨 당나라는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4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에는 고창국을 점령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제 남은 것은 고구려뿐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당나라를 적대시하고 싶지 않은 영류왕의 의도와는 달리 당시 국제 정세는 점점 더 전쟁으로 치닫고 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연개소문을 중심으로 한 강경파가 쿠데타를 일으켜 영류왕을 죽일 수밖에 없었던 것은 이런 국제 상황 인식에 기초한 것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마침내 고구려의 정권을 장악하게 된 연개소문은 필생의 라이벌 당태종과 정면으로 대결을 벌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사실 당시 국제 상황으로 보았을 때 당나라에 대한 진정한 위협은 북방 유목민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비록 당나라가 군사적으로 제압했다고는 하나 완전히 정복한 상태는 아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특히 돌궐의 한 부족인 설연타는 고구려의 주요한 동맹 세력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연개소문은 설연타에 사신과 물자를 보내 동맹을 제의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 복잡한 대결구도 속에서 동아시아는 요동치고 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45</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월</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당태종은 고구려를 침공하기 위해 대군을 이끌고 수도 장안을 떠났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수성전에 능한 고구려를 정복하기 위한 새로운 전술도 개발해두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초반 전세는 당나라의 것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신성</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건안성</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개모성 등이 차례로 공격받았고 수양제가 끝내 함락시키지 못한 요동성마저 무너졌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제 당군은 안시성으로 향하고 있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안시성이 함락된다면 수도 평양까지도 위태로웠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모든 것이 고구려에게 불리한 상황이었지만 안시성의 고구려 병사들이 당군의 공격을 필사적으로 방어해 막아낸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안시성에서 시간을 버는 데 성공한 연개소문은 기막힌 외교 전술을 구사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원 바로 위 초원지대에 근거지를 둔 유목국가 설연타에 사신을 보내 중원을 침공하도록 사주한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설연타는 수비가 느슨해진 중원을 기병을 동원해 공격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안시성이 뜻대로 함락되지 않고 설연타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자 당태종은 철군을 결정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의 기본적인 외교 전략은 북방 민족과 연합해 중국 세력을 포위하는 것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연개소문은 이런 전통적인 외교 전략을 이용해 다시 한 번 고구려를 위기에서 구해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와 유목제국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현재 터키라는 국호는 투르크에서 유래하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중국인들은 투르크를 한자로 음차해 돌궐</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突厥</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로 표기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돌궐은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6</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세기 중반부터 </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8</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세기 중반까지 북방 초원지대를 장악해 강력한 제국을 이루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와 돌궐의 관계를 알려주는 오래된 증거가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몽골의 오르콘 강가에서 발견된 돌궐시대의 비문인 궐특근비문이 바로 그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한자로 돌궐 문자로 기록된 이 비문에는 돌궐의 토문가한의 장례식에 조문을 온 나라들이 기록되어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바로 이 비문에 고구려가 뵈클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B kli)</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돌궐과 고구려는 사신을 보내 조문을 할 정도로 가까운 사이였던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돌궐을 비롯한 서역 여러 나라와 고구려의 관계는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도 잘 나타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코가 높고 커 고비인</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高鼻人</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바로 그들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문화적 교류도 활발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삼국사기</span><span style="letter-spacing: 0pt; font-family: 바탕;">》</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에는 고구려와 돌궐의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기록이 남아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607</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수양제가 동돌궐의 계민가한을 방문하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런데 그의 눈 앞에 고구려 사신이 돌궐의 계민가한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던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 침공을 앞두고 돌궐 세력을 무마하러 간 수양제 앞에 고구려 사신이 있었으니 경악할 만한 일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는 은밀히 돌궐과 접촉하여 수나라를 견제하려 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와 돌궐의 연합은 수나라가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는 돌궐을 비롯한 북방 유목제국과 정치</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군사</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문화 모든 면에서 활발히 교류하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는 서로가 서로를 견제하는 다원적 세계를 추구했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당은 자국이 중심이 되는 일원적인 질서를 원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에게 있어 유목국가와의 연대는 그들의 다원적 세계관을 구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존재였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이들과의 관계는 국가의 존망과 직결되는 것이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당고종의 철군 이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렇다면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에 그려진 이 고구려 사신들은 구체적으로 언제 그 먼 곳까지 간 것이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정확히 무슨 임무를 띠고 있었을까</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당태종 이세민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된 당고종은 선대 황제가 이루지 못한 고구려 정복을 기필코 이루리라 마음먹는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660</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년</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신라와 연합해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는 그 이듬해 또다시 고구려를 대규모로 침략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파죽지세로 밀고 내려오는 당나라를 저지하기 위해서 고구려는에게는 군사동맹의 상대가 절실히 필요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1</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차 고당전쟁 당시 고구려를 도운 설연타는 당의 침략으로 이미 망한 뒤였고</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 뒤를 이어 돌궐의 한 부족인 철륵이 새롭게 흥기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아마도 고구려는 철륵과 연합전선을 펼쳐 당나라를 견제하고자 했을 것으로 예상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br> <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의 외교 역량을 감안한다면</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아프라시압 궁전에 그려진 고구려 사신들이 철륵을 거쳐 사마르칸트까지 갔다고 가정할 수 있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사마르칸트는 동양과 서양을 연결하는 관문이었으며</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돌궐과 당나라가 대결하는 중앙아시아 최대 요충지였던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고구려로서는 측면에서 공격하는 당을 견제할 방법을 찾아야만 했던 것이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그런데 이즈음 제</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2</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차 고당전쟁에서 승승장구하던 당나라군이 갑자기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한다</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 0pt;">. </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장안에 있던 당고종이 여섯 개의 당의
|
<P>몽골이 국가 중점 사업에 대한 외국 기업 투자를 규제하고 나섰다. <BR><BR>2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몽골은 지난 5월 광물산업을 비롯한 국가 기간산업에 외국인 투자를 제재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BR><BR>이는 중국 기업의 잇따른 국내 기업 인수에 따른 국민의 반감을 희석시키기 위한 것으로, 28일 총선을 앞두고 여당인 인민당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내놓은 포석으로 풀이된다. <BR><BR>몽골 정부는 석탄, 구리 등 광물산업을 비롯해 은행과 통신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지정해 규제를 강화한다. 규제안에 따르면 외국 기업들은 이들 산업에 대한 투자액이 7500만달러(약 870억원)가 넘거나, 지분의 49% 이상을 획득하는 경우 정부 심사와 의회 승인을 거쳐야 한다. <BR><BR>외자규제법이 추진되는 배경에는 중국 기업의 잇따른 몽골 기업 인수가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중국알루미늄이 지난 4월 몽골의 사우스고비리소스에 대한 인수를 제안한 것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니혼게이자이는 "몽골 국민 사이에 경제 전체가 중국에 잠식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BR><BR>지난해 몽골의 전체 수출 90%는 중국에 집중됐으며, 수입도 30%나 차지했다. <BR><BR>출처: mk뉴스</P>
<P><BR><BR> </P>
|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v:stroke joinstyle="miter"></v:stroke><v:formulas><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v:f><v:f eqn="sum @0 1 0"></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2 1 2"></v:f><v:f eqn="prod @3 21600 pixelWidth"></v:f><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6 1 2"></v:f><v:f eqn="prod @7 21600 pixelWidth"></v:f><v:f eqn="sum @8 21600 0"></v:f><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10 21600 0"></v:f></v:formulas><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v:path><?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lock aspectratio="t" v:ext="edit"><!--StartFragment--><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v:stroke joinstyle="miter"></v:stroke><v:formulas><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v:f><v:f eqn="sum @0 1 0"></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2 1 2"></v:f><v:f eqn="prod @3 21600 pixelWidth"></v:f><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6 1 2"></v:f><v:f eqn="prod @7 21600 pixelWidth"></v:f><v:f eqn="sum @8 21600 0"></v:f><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10 21600 0"></v:f></v:formulas><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v:path><o:lock aspectratio="t" v:ext="edit"><!--StartFragment--><v:shapetype id=_x0000_t75 stroked="f" filled="f" path="m@4@5l@4@11@9@11@9@5xe" o:preferrelative="t" o:spt="75" coordsize="21600,21600"><v:stroke joinstyle="miter"></v:stroke><v:formulas><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v:f><v:f eqn="sum @0 1 0"></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2 1 2"></v:f><v:f eqn="prod @3 21600 pixelWidth"></v:f><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6 1 2"></v:f><v:f eqn="prod @7 21600 pixelWidth"></v:f><v:f eqn="sum @8 21600 0"></v:f><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10 21600 0"></v:f></v:formulas><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v:path><o:lock aspectratio="t" v:ext="edit">
<DIV>최이가 조직한 ‘신의군과 좌·우별초’…야별초라 불리기도 남도 농민들의 호응으로 여몽연합군 공격 <BR>3년이나 버텨내</DIV>
<DIV>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center>
<TBODY>
23 Lines more... (total : 28lines) |
<P style="MARGIN-BOTTOM: 1.6pt"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시장경제 체제로 바뀐 뒤 20년이 지난 오늘날 우리가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는지, 지난 시대의 몽골인들은 어떤 일들을 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든다. 물론 이에 대한 답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할 수 있었던 것을 지금은 할 수 없게 된 것들도 함께 생각해 보자. <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WEIGHT: bold;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지난 기간동안 몽골에서 가능해진 것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 mso-fareast-font-family: 굴림" lang=EN-US>-몽골인들 스스로 전기버스를 생산하게 되었다. 뿐만아니라 다른 국가의 주문으로 생산하고 있다. 머지않아 몽골 버스를 생산하게 될 것이다.<BR><BR>-몽골 브랜드의 해바라기, 콩 식용유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BR><BR>-완전한 아파트 단지를 건설하고 있다.<BR><BR>-컴퓨터 조립과, 몽골 브랜드의 노트북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BR><BR>-몽골에서 주사를 생산하게 되었다.<BR><BR>-우리나라에서 “코카콜라”를 생산하게 되었다.</SPAN></P>
<P style="MARGIN-BOTTOM: 1.6pt"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 mso-fareast-font-family: 굴림" lang=EN-US>-의학분야에서 신장 이식 수술을 하게 되었다.<BR><BR>-1980년대 이 후 부터 멈추었던 농업 생산을 되살려 현재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밀로 국내 수요를 완벽하게 공급하고 수출 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 하였다.<BR><BR>-은행, 금융 시스템에 전자, 요금 카드 또한 현금 ATM기와 핸드폰을 사용한 서비스가 완벽히 도입되어 현재 “T”카드가 도입되어있다.<BR><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FONT-WEIGHT: bold;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우리가 할 수 없는 것들과 이 전에는 가능했으나 현재는 불가능해진 것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 mso-fareast-font-family: 굴림" lang=EN-US>-몽골에는 원유를 정제하는 정제 시설이 없다. 원래 예전에는 소용량 정제 시설이 도른고비 아이막의 중바양 솜에 설치되어 있었다.<BR><BR>-일반적인 화학 공장이 없다. 잠시 “몽골히머” 연합과 과학아카데미의 화학과에서 플라스틱 그릇을 생산 했던 것을 빼면 현재 우리 나라에는 화학 가공 공장의 부재로 그릇도 생산하지 않는다.<BR><BR>-예전에는 신발 공장이 있었으며 생산된 물건을 외국으로 수출 했었으나 현재 대량으로 생산하는 신발 공장이 없다.<BR><BR>-우리나라는 삼나무 열매를 가공이 불가능 하다. 이러한 공장이 없다.<BR><BR>-몽골은 자전거 공장이 없다. 자동차, 오토바이를 만들지 않는다. 인구, 노동력, 시장성을 볼 때 이러한 것들을 생산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 하였다.<BR><BR>-우리나라는 시계 공장이 없다. 예전에는 도자기와 유리 공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외국에서 들여온 완제품 유리를 사용하여 몇몇 회사에서 차량 유리를 만들고 있다.<BR><BR>-몽골은 구리를 녹여 가공하는 공장이 없다.<BR><BR>-우리 나라에는 동전을 만드는 공장이 없다. 지폐 공장이 있으나 돈을 만들어 내는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 했다.<BR><BR>-몽골은 쌀, 설탕 가공 공장이 없다. 쌀, 사탕수수 센터를 세워 도르노드와 셀렝게 등 몇몇 아이막에서 시범 적으로 심어 보았으나 생장 하지 않았다.<BR><BR>-우리는 볼펜, 샤프, 연필등을 생산하지 않는다. 가위 도 생산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제철공장과 정비소 공장에서 차량의 견인, 철상자등을 녹여 생활에 필요한 철 제품들을 생산하곤 했었다.<BR><BR>-수 년동안 이야기 되어 왔으나 몽골에는 쓰레기 재활용 공장이 없다. 원래 그 재료나 시장등 조건은 갖추고 있다.</SPAN></P>
<P style="MARGIN-BOTTOM: 1.6pt"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이와 같이 우리가 할 수 있거나 할 수 없는 것들이 여러가지가 있다. 여기에 천연 자원 매장량, 생산력, 전문성, 교육, 기술의 도태 등 우리와 관계있거나 관계없는 여러가지 것들이 많이 있다.</SPAN></P>
<P style="MARGIN-BOTTOM: 1.6pt"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출처 : Бизнес таймс</SPAN></P>
<P style="MARGIN-BOTTOM: 1.6pt"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문의 : </SPAN><U style="text-underline: #0000ff single"><SPAN style="FONT-FAMILY: 굴림; COLOR: #0000ff; mso-hansi-font-family: 굴림; mso-fareast-font-family: 굴림" lang=EN-US>babasoul@hanmail.net</SPAN></U></P>
2 Lines more... (total : 7lines) |
<DIV class=text13>1961년에 설립된 몽골 과학학회는 1982년에 14개의 연구재단을 가지고 있으며 몽골의 특수한 지리적, 기후적 요건을 반영한 연구 사업, 즉 광물·토양·식물·기후의 측량조사, 지도 <A h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19264"><FONT color=#458a08>만들기</FONT></A>, <A h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17292"><FONT color=#458a08>목록화</FONT></A>에 깊게 관여하고 있다. <A h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7834"><FONT color=#458a08>지리학과</FONT></A> 퍼머프로스트(<A href="http://dic.search.naver.com/search.naver?sm=svc_hty&where=kdic&query=%BF%B5%B1%B8%B5%BF%C5%E4"><FONT color=#458a08>영구동토</FONT></A>) 재단은 몽고 국토의 반 이상을 덮고 있는 퍼머프로스트에 대한 자료를 모으고 있으며, 퍼머프로스트 지역의 건설과 광산개발의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유용한 광물을 위한 지리적 지도와 광물의 전망이 높은 <A h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37150"><FONT color=#458a08>중요도</FONT></A>를 가지고 있다. 몽골의 기후와 위치는 천문학적 관측과 지진, <A h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4383"><FONT color=#458a08>조직형태학</FONT></A> 연구에 아주 좋은 곳이다. 최근 몽골의 <A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748287"><FONT color=#096ab5>물리학자들</FONT></A>은 <A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154632"><FONT color=#096ab5>태양에너지</FONT></A>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출처] <A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714542">몽골의 과학기술</A> </DIV>
|
<P class=바탕글>예로부터 고원과 사막에서는 물의 유무가 절대적인 생명의 조건이었다.</P>
<P class=바탕글>유목민들은 초지를 따라 이동하는 사람들이지만 그 초지는 또한 물을 따라 이동하고 계절과 기후 변화는 물의 흐름을 동반한다.</P>
<P class=바탕글>아니 기후자체가 물의 운동 에너지로 인해 생기는 현상이기 때문에 몽골의 자연 변화는 물의 움직임이 낳은 현상이다. </P>
<P class=바탕글>유목민들은 주로 계절이 바뀔 무렵, 봄과 가을에 가축을 몰고 먼저 물을 찾아 떠난 식물들의 이동을 따라간다. 물이 귀한 지역에서나 물이 흔한 북서부 습지에서나 물은 몽골인들에게 두렵고 신성한 존재이다.</P>
<P class=바탕글>모든 만물의 근원이 대지에 흐르는 물과 물을 먹고 자라는 식물들의 생장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물이 마르면 초지가 마르고 초지가 말라죽으면 가축들이 떼죽음을 당하며 가축들의 죽음이 유목민들의 멸종을 부른다. 까닭에 유목민들은 물을 귀하게 여길 수밖에 없다.</P>
12 Lines more... (total : 17lines) |
<DIV style="TEXT-ALIGN: center">
<DIV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 class="imageblock center"><IMG style="WIDTH: 700px"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src="http://cfs8.tistory.com/image/32/tistory/2008/06/13/12/29/4851e991481df" width=750 height=506></A></DIV><FONT color=#666699>몽골의 북서부 지역 이크올 인근 산중의 게르 두 채에서 아침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BR></FONT></DIV>
<P style="TEXT-ALIGN: center" class=바탕글>
<P style="TEXT-ALIGN: center" class=바탕글> </P>
<P style="TEXT-ALIGN: center"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돋움; mso-hansi-font-family: 돋움; mso-ascii-font-family: 돋움"><FONT color=#333333>지구온난화로 인한 극심한 사막화에도 불구하고 몽골은 여전히<BR></FONT></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mso-hansi-font-family: 돋움; mso-ascii-font-family: 돋움"><FONT color=#333333>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환경천국이라 할만하다.<BR></FONT></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mso-hansi-font-family: 돋움; mso-ascii-font-family: 돋움"><FONT color=#333333>지구상 최후의 유목국가로 남은 몽골.<BR></FONT></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mso-hansi-font-family: 돋움; mso-ascii-font-family: 돋움"><FONT color=#333333>몽골의 환경은 순전히 그들의 유목적 사고와 생활로 지켜지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BR>요즘의 고유가 시대에 몽골의 친환경 생활방식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FONT><BR><BR></P>
35 Lines more... (total : 40lines) |
<P style="TEXT-ALIGN: center"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돋움; mso-ascii-font-family: 돋움; mso-hansi-font-family: 돋움"><FONT color=#177fcd size=3 face="'Dotum', 'Sans-serif'"><STRONG><BR></STRONG></FONT><BR> </P>
<DIV style="TEXT-ALIGN: center">
<DIV style="TEXT-ALIGN: center; CLEAR: both" class="imageblock center"><IMG style="WIDTH: 700px"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 src="http://cfs7.tistory.com/image/2/tistory/2008/05/27/10/44/483b678049b8b" width=750 height=510></A></DIV><FONT color=#666699>항가이 산맥 북쪽 타리아트 중학교 아이들.</FONT> <BR><BR></DIV></SPAN>
<P style="TEXT-ALIGN: center" class=바탕글>
<P style="TEXT-ALIGN: center"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돋움; mso-ascii-font-family: 돋움; mso-hansi-font-family: 돋움">몽골에는 초등학교가 없다는 말이 사실일까.<BR></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mso-ascii-font-family: 돋움; mso-hansi-font-family: 돋움">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그렇다.<BR></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mso-ascii-font-family: 돋움; mso-hansi-font-family: 돋움">몽골에는 초등학교가 존재하지 않는다.<BR></SPAN><SPAN style="FONT-FAMILY: 돋움; mso-ascii-font-family: 돋움; mso-hansi-font-family: 돋움">대신 중학교가 초등학교 노릇을 대신한다.<BR><BR></P>
28 Lines more... (total : 33lines) |
<P><BR><FONT size=2><FONT color=#666666 face=돋움>주채혁 국제몽골학회한국대표</FONT> </FONT><A href="http://www.ucnnews.com/news/mailto.html?mail=chu1943@hanmail.net"><FONT size=2><IMG border=0 src="http://www.ucnnews.com/image2006/default/btn_sendmail.gif"> <FONT color=#666666 face=arial>chu1943@hanmail.net</FONT></FONT></A><BR><BR>이렇게 교민 여러분과 소통할 수 있는 칼럼을 쓰게되어 반갑고 기쁘다. 나는 북방개방 이후 20여 년 정도를 한·몽관계만 연구한 사람이다. 특히 몽골족과 한민족이 동일한 민족에서 갈려저 나왔는가에 천착해 왔다. <BR><BR>1990년 한·몽수교 후, 당시 몽골의 오치르바트대통령의 방한을 1개월여 앞두고 설렘과 두려움 속에 울란바아타르에 처음 오게 되었다. 한국문화사절단이 되어 한국몽골학회 초대회장 자격이었다. 그 후 다리강가 스텝의 아찔할 만큼 드넓은 훈촐로오 유적지를 답사하게 되었다. <BR><BR>그 일이 바로 엊그제 같은데 그 후 돌아와 국제몽골연구협회(IAMS) 한국측 집행위원직을 맡아 온지가 벌써 20여 년이나 되었다. 나는 몽골사 연구자다. 그래서 처음 내가 가지고 들어온 문제가 몽골과 한국의 동근(同根)-분족(分族) 문제였다. <BR><BR>이 문제를 풀기 위해 유목민처럼 목초를 따라 답사하며 남이 무어라하든 죽기 살기로 이 문제에만 매달려 왔다. 현장 답사와 문헌연구를 통한 연구는 참으로 지난한 과정이었다. 그리고 몽·한 관계 연구사의 시작이며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 베.수미야바아타르(한국명: 서미달)교수의 역사적인 관계역저(몽골과학아카데미,1975)를 통해 문제의 핵심을 잡게 되었다. 행운이라고 할 수 있다. <BR><BR>그 후 20년이 지난 금년 봄에 다시 이곳에 와서, 문제 제기자인 서미달교수와 함께 “몽·한 궁족(弓族: Qalqa obog) 분족고 (分族考)”라는 제목으로 ‘모이스’몽골연구센타에서 발표하고 Act Mongolica-2009에 투고 했다. 고구려의 시조 주몽(Tumen)의 후손이 몽골족과 우리 한민족으로 갈려 나갔다는 것이 그간의 현장연구들을 정리한 내 나름의 총 결론이다. <BR><BR>이 논문은 연변대와 한국 학술지에서 발표, 투고하게 되었다. 연변의 두만강포럼에서는 북한의 태형철 사회과학원장과 김일성종합대학교 총장 등 학계 핵심요인들과 남·북한 및 중·일의 관계학자들이 동참한 두만강포럼에서 그간의 연구과정과 그 결과를 발표했다. <BR><BR>특별히 서미달 교수의 김일성종합대학교 조선어문학과 클래스메이트 동기(1956~1961년)생 정순기 사회과학원 교수가 동석해, 올곧은 서미달 청년학도의 50년전 모습을 회상하는 사적인 시간도 가졌다. <BR><BR>우리는 지금 저마다 다른 인연으로 몽골에 와서 살아가고 있다. 우리 한국과 몽골이 지금 나라는 다르지만 한 민족 한 뿌리라는 인식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 두 나라가 모두 활겨레-궁족, 활의 후예-궁예(弓裔)라는 정체성을 자각할 수 있도록, ‘활겨레 사랑’의 인사를 서로 나눌 수 있다면 좋겠다.</P>
<P> - 몽골에서<BR><BR></P>
|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STRONG>김형수 장편소설 『조드』 현지 언론·문학계 화제</STRONG></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 mso-fareast-font-family: 굴림" lang=EN-US><IMG style="MARGIN: 0px auto; WIDTH: 550px; DISPLAY: block" alt="" src="http://pds.joinsmsn.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202/20/htm_2012022005553a010a011.jpg">2006년 몽골에서 칭기즈칸 부대의 초원 전투를 재현한 장면. 김형수 작가의 『조드』에는 칭기즈칸이 몽골 평원을 통일시켜 가는 과정이 생생하게 묘사돼 있다. [중앙포토]<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17일 몽골 울란바토르는 최저 기온 영하 29도였다. 한낮에도 영하 14도를 넘지 못했다. 매서운 추위가 도시 전체를 휘감고 있었다. 추위는 이 도시의 가지런한 일상처럼 보였다. 그러나 사나운 추위는 종종 살기(殺氣)를 띠기도 한다. 추위와 가뭄이 겹치면, 수천 마리의 가축이 떼죽음을 당한다. 몽골 유목민에게 가축의 죽음은 굶주림으로 이어진다. 강추위가 몰고 오는 대재앙, ‘조드’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몽골인들은 조드를 견디며 생명을 이었고, 역사를 꽃피웠다. 그 역사의 한 가운데 칭기즈칸(1162~1227)이 있다. 난폭한 조드를 다스리고, 유라시아 대평원을 통일시킨 몽골의 영웅. 그는 어떤 삶의 자세로 그런 높다란 업적을 이룰 수 있었을까.<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소설가 김형수(53)가 칭기즈칸의 삶을 다룬 장편소설 『조드-가난한 성자들 1·2』(자음과모음)을 냈다. 흔한 전쟁영웅 이야기가 아니다. 칭기즈칸 생애의 근간이 되는 유목민의 삶과 역사에 주목했다. 조드와 맞섰던 중세 유목민들, 칭기즈칸을 중심으로 삶을 개척해가는 그들의 모습에서 오늘의 우리를 돌아보는 소설이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몽골의 심장이 들어있는 소설”=『조드』는 몽골에서 먼저 화제가 됐다. 이날 오후 몽골작가협회가 『조드』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소설 속 표현을 훔치자면, ‘너르디너른 평원을 건너오며 기운이 한껏 세진 바람이 살갗에 슬쩍 닿기만 해도 필살의 한기가 느껴지는’ 그런 겨울날이었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심포지엄 소식은 전날 몽골 최대 일간지 ‘어더린 쇼당’ 1면에 실렸다. ‘한국의 유명 작가 김형수가 몽골에 왔다’라는 제목의 기사였다. 『조드』는 올 7월부터 이 신문에 연재될 예정이다. 한국 작가의 소설이 몽골 신문에 연재되는 건 처음이다. 어용 에르덴 편집국장은 “(칭기즈칸에 대해) 철학적이고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 소설”이라고 했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이날 심포지엄에는 김형수 작가와 어용 국장을 비롯해 독밋(소설가)·뭉흐체첵(시인·몽골작가협회 회장)·수흐바타르(칭기즈칸 대학교 교수)·직지드 수렝(영화감독·시인)·다시냠(몽골전통아카데미 회장·번역가) 등 몽골 문화예술인이 참석했다. 이들은 몽골어로 부분 번역된 『조드』를 읽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 mso-fareast-font-family: 굴림" lang=EN-US>▶김형수=『조드』의 중심은 칭기즈칸이다. 군사 전문가로서의 면모보다 사상가적 측면에 관심을 뒀다. 칭기즈칸은 최초의 글로벌인이었다. 가장 유목민다운 인물이었기에 초원을 통일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몽골인이 이 소설을 읽으면 어떤 느낌일까 궁금하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독밋=몽골인에게 칭기즈칸은 두려우면서도 자랑스런 존재다. 그 때문인지 칭기즈칸에 대한 소설을 쓴 몽골인조차 한 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위대한 인물에 대해 혹시라도 잘못 쓰지 않을까 두려운 것이다. 그런데 외국인이 칭기즈칸에 대해 소설을 썼다니 놀라운 일이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김형수=조드는 인간의 눈으로 보면 재앙이다. 그러나 푸른 하늘(대자연)의 눈으로 보면 생태계를 정화시키는 과정이다. 푸른 하늘이 조드를 통해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할지 가르쳐주는 것이다. 칭기즈칸은 푸른 하늘의 뜻을 실천했던 지도자였다. 조드라는 제목에는 이 모든 게 압축돼 있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직지드 수렝=소설에 몽골 정서가 정확히 담겨 있다. 몽골의 문체와 몽골의 심장이 들어있는 소설이다. 이 작품이 틀림없이 몽골 민족의 마음을 움직이게 할 것이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수흐바타르=마침 올해가 칭기즈칸 탄생 850주년이다. 올해 안으로 몽골어로 완역되기를 기대한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위대한 노마드, 칭기즈칸”= 작가 김씨는 1998년 맨 처음 몽골을 방문했다. 그는 “몽골에 직접 와서 알게 된 칭기즈칸은 제국주의자가 아니었다. 위대한 유목민이었고, 아시아의 중세를 이끈 지도자였다”고 했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김씨는 이후 10년 이상 몽골 역사와 칭기즈칸의 생애를 추적했다. 2010년 2월부터 10개월간 몽골에서 살면서 『조드』를 썼다. 소설을 촘촘하게 메운 몽골 설화와 민담 등은 그 결과물이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조드』에는 인간 칭기즈칸에 대한 그의 진한 애정이 묻어난다. 그는 “인간 테무친(칭기즈칸)의 가치관이 ‘몽골제국의 체제정신’과는 다르다는 확신에서 소설을 썼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칭기즈칸은 가장 유목민적으로 살다 간 영혼이다. 칭기즈칸이 초원 통일에 나선 것도, 유목민의 흐르는 삶을 막아서는 정착민을 통합시키려 했기 때문이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21세기는 디지털 노마드(nomad)의 시대다. 네트워크와 정보에 의존해 인간의 삶이 흘러 다닌다. 『조드』는 중세의 위대한 노마드 칭기즈칸의 삶을 통해 21세기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 한다.<BR><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조드-가난한 성자들』편은 칭기즈칸이 중앙아시아 고원을 평정할 때까지를 담았다. 칭기즈칸이 대칸에 올라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 소설(3·4권)과 칭기즈칸 자서전 형식의 소설(5권)도 출간될 계획이다.<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 mso-fareast-font-family: 굴림" lang=EN-US>[출처 : 중앙일보〕</SPAN></P>
|
<!--StartFragment-->
<P class=바탕글>o 해야 할 사항</P>
<P class=바탕글>- 테이블에서 음식을 자를 때 몸쪽을 향하여 자를 것</P>
<P class=바탕글>- 오른손으로 음식과 음료를 받고, 왼손은 음식이 무거울 때 오른팔을 지탱하는데 사용</P>
<P class=바탕글>- 차를 받는 즉시 마시며, 마시기 전까지는 테이블에 놓지 말 것</P>
15 Lines more... (total : 20lines) |
<DIV class=text13><A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119823"><FONT color=#096ab5><SPAN class=text13><FONT color=#000000>
<DIV class=autosourcing-stub>
<DIV class=autosourcing-stub><BR><SPAN class=text13></A><A href="javascript:self.close();"><IMG border=0 name=imgSrc alt="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창이 닫힙니다" src="http://dicimg.naver.com/100/800/69/235269.jpg"></A><A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119823"><BR><BR>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있는 박물관. </SPAN></FONT></A><BR><A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119823"></SPAN><BR>울란바토르</FONT></A>의 중심지인 <A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772140"><FONT color=#096ab5>수흐바토르 광장</FONT></A> 가까이에 있다. 몽골의 지형, 지리, 동식물 따위의 자연과 관련된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소장품 중 공룡화석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그 가운데서 고비지역에서 발견된 두 개의 공룡화석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하나는 높이 15m, 무게 4~5톤 정도의 육식공룡 타르보사우루스라이고, 다른 하나는 8m 길이의 <A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115161"><FONT color=#096ab5>오리주둥이</FONT></A>를 가진 초식공룡 사우로로퍼스이며 둘 모두 3층 <A href="http://dic.search.naver.com/search.naver?sm=svc_hty&where=kdic&query=%C0%FC%BD%C3%BD%C7"><FONT color=#458a08>전시실</FONT></A>에 전시된다. 이외에 2층의 낙타박물관과 몽골의 넓은 지역에서 발견된 운석들도 둘러볼 만하다.<BR></DIV></DIV>
<DIV class=autosourcing-stub>
<DIV>[출처] <A href="http://100.naver.com//100.nhn?docid=847454">몽골국립자연사박물관 [Mongoli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DIV></DIV></DIV>
|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몽골과 우리는 인종ㆍ문화적으로 비슷한 뿌리를 가졌지만 우리가 농경국가로, 몽골은 유목국가로 변화하면서 점차 문화적 차이를 보이게 됐다. 과연 어떻게 달라졌고 얼마나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을까.<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김광옥 수원대 언론정보학과 명예교수는 양국의 생활 속 금기어를 통해 유사점을 찾았다. 가령 "다른 사람에 대해 좋고 나쁨을 말하지 말라"는 몽골의 금언은 "남이 자기 욕을 할 때는 왼쪽 귀가 가렵다"는 우리 속담과 맥을 같이한다. "문지방을 밟으면 재수없다''라는 우리 속담은 "사령관의 문지방을 밟은 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몽골 금언과 비슷한 맥락으로 해석된다. 이밖에도 물과 불, 음식물, 요리와 관련된 금기어에서도 양국어는 유사점이 보인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BR>김기선 한국외대 몽골어과 강사는 인명을 붙이는 방식에서 양국 언어의 공통점을 찾았다. 가령 ''개똥이'', ''말똥이'' 등 천한 이름으로 액운을 막으려는 우리의 전통 인명 붙이기 방식은 몽골에서도 사용된다. 몽골에서는 같은 목적으로 ''사람 아니야'', ''강아지'', ''집 나간 이''와 같은 뜻을 지닌 단어를 인명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삼국시대 성씨인 부여(夫餘), 예씨(濊氏) 등은 지명과 일치하는 인명인데 ''알타이'', ''한가이'' 등 몽골 인명도 태어난 곳의 산과 언덕 등 출신지역에서 차용한 것이다.</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한국몽골학회장 이성규 단국대 교수는 "한국과 몽골이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진정한 우방이 되려면 정치ㆍ경제적 공통성을 찾기에 앞서 문화적 공통점을 찾아내야 한다"고 말했다.<BR></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SPAN style="FONT-FAMILY: 굴림; mso-ascii-font-family: 굴림; mso-hansi-font-family: 굴림">〔</SPAN>출처: 이왕구기자 fab4@hk.co.kr1〕</SPAN></P>
|
<H2><FONT size=2>최종편집일 : 2012-01-13</FONT></H2>
<DIV id=detail_table>
<H3 class=detail_tit>[다문화 바로알기] 상징동물 (5)몽골-말</H3>
<H4 class=detail_tit></H4>
<DIV style="FONT-SIZE: 13pt" id=articleBody class=detail_text>
1 Lines more... (total : 6lines) |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세상에서 가장 예쁜 동전'이라는 게시물이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 퍼지며 누리꾼 사이에 화제를 모으고 있다. 한 해외 블로거가 올린 '세상에서 가장 비범한 동전들(The Most Unusual Coins)이란 제목의 게시물이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유행하고 있는 것이다.<BR><BR>게시물 속 동전들은 금속제의 단조로운 색깔에서 벗어나 화려한 색채가 돋보인다. 대부분이 기념주화다. 게시물 중 눈에 띄는 몇개의 동전 소개를 덧붙인다.<BR><BR>카메룬의 기념주화에는 화려한 형식의 입체 나비가 살포시 앉아 있다. 지난해 발행한 것으로 해외 기념주화 판매 사이트들은 화폐학(numismatics)의 새로운 지평을 연 동전이라고 호평 일색이다.<BR><BR>몽골 동전은 2008년 몽고 국립은행이 야생동물 보호 캠페인을 위해 발행한 기념주화다. 우랄 부엉이를 소재로 제작됐으며 부엉이 눈을 표현하기 위해 스왈로브스키제 크리스털을 사용했다.<BR><BR>라이베리아의 길쭉한 은화는 대서양을 횡단하는 타이타닉호를 기념하기 위해 2005년 만들었다. 대서양 연안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인 몬로비아에 항구를 둔 국가의 동전답다.<BR><BR>태평양의 니우에 아일랜드 동전 앞뒤에는 물랑루즈를 즐겨그린 프랑스 화가 툴루즈 로트렉의 작품과 자화상이 새겨져 있다. 니우에 아일랜드는 이외에도 빈센트 반 고흐 등 예술가들의 기념주화를 발행했다.<BR><BR>팔라우 동전 역시 예술적인 요소가 들어갔다. 환상세계를 즐겨그린 스위스 화가 샌드로 델 프레테가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키호테를 소재로 그린 환상의 지배자(the master of illusions)가 들어가 있다.<BR><BR>
<TABLE class=centerimg width="100%" align=center>
<TBODY>
<TR>
<TD class=t01 align=middle><IMG src="http://cphoto.asiae.co.kr/listimglink/6/2012010407142420656_1.jpg" width=500> </TD></TR></TBODY></TABLE><BR>
36 Lines more... (total : 41lines) |
<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40).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30).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3(2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4(2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5(20).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6(18).jpg" Haby_Upload_Id="_1"></NOB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