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가이드와 여행객을 위한 몽골 소개서 '몽골 이해하기' 출간 |
|
작성자 : 관리자 |
2021.12.17 14:57:05, 조회 1,446 |
|
|
Download : 1.png |
 |
박병욱 박사님의 가이드와 여행객을 위한 몽골 소개서 '몽골 이해하기'가 다음주에 출간 됩니다. 아직 한국에서는 판매하지 않고 당분간은 몽골에서만 판매된다고 합니다. '몽골 이해하기' 일부를 올립니다 









|
|
|
|
|
--> |
<TABLE border=0 cellSpacing=1 cellPadding=0 bgColor=#666666>
<TBODY>
<TR>
<TD bgColor=#ffffff><IMG border=0 src="http://www2.readersnews.com/imgdata/readersnews_com/201112/2011122730349946.jpg" width=150></TD></TR></TBODY></TABLE>[독서신문] 다양한 다문화 가정의 엄마 나라 문화를 소개하는 「색동다리 다문화」 시리즈 '몽골' 편으로, 몽골의 전래동화를 통해 아이들이 서로 다른 문화와 생김새를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다. 한 늙은 호랑이는 아들 호랑이에게 사람을 조심하라는 유언을 남긴다. 호랑이는 호기심이 생겨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사람의 모습을 물어보는데….<BR><BR>■ 지혜로운 사람: 몽골 <BR>서이라 지음 | 박경화 그림 | 정인출판사 펴냄 | 11,000원<BR><BR>출처: 독서신문<BR>
|
<SPAN id=writeContents>
<P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200%" class=HStyle0><SPAN style="LINE-HEIGHT: 200%; FONT-FAMILY: '굴림체'; FONT-SIZE: 14pt; FONT-WEIGHT: bold">2012년 몽골정부 예산안 주요 내용</SPAN><SPAN style="LINE-HEIGHT: 200%; FONT-FAMILY: '굴림체'; FONT-SIZE: 12pt"><BR></SPAN></P>
<P style="LINE-HEIGHT: 200%" class=HStyle0><SPAN style="LINE-HEIGHT: 200%; FONT-FAMILY: '굴림체'; FONT-SIZE: 12pt"><!--StartFragment-->
<P style="LINE-HEIGHT: 200%" class=HStyle0><SPAN style="LINE-HEIGHT: 200%; FONT-FAMILY: '굴림체'; FONT-SIZE: 12pt; FONT-WEIGHT: bold">1. 1인당 국내총생산</SPAN></P>
<P style="LINE-HEIGHT: 200%" class=HStyle0><SPAN style="LINE-HEIGHT: 200%; FONT-FAMILY: '굴림체'; FONT-SIZE: 12pt">ㅇ 몽골 정부는 2012년 1인당 국내총생산이 $5,362(6,400,000 투그릭 상당)에 달해, 2010년도 1인당 국내총생산 $2,500의 2배가 넘는 고속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SPAN></P>
8 Lines more... (total : 13lines) |
<STRONG>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SPAN class=read_title>몽골은 단군의 후손으로 우리와 형제</SPAN></TD></TR>
40 Lines more... (total : 45lines) |
<STRONG>#1. 2011년 봄, 휴간 안내문 작성<BR></STRONG>인터넷신문에 올리지는 않았지만, 몽골에서 주간지로 발간해온 종이신문에는 지난 3월 “교민신문이 374호 발간 후 휴간 합니다”라는 안내문을 게재했습니다.<BR>휴간을 하고서라도 사업구조를 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주간지발행, 인쇄소운영, 광고간판사업, 웹사이트 관리 등 사업영역이 너무 방만한 상태여서 도저히 진행을 시켜갈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일단 세웠습니다. 한국에도 다녀올 겸 재외동포기자대회 일정에 맞춰 휴간을 결정한 것입니다. 이 때만해도 나름대로의 계획과 결의가 있었습니다. <BR> <BR><STRONG>#2. 뜻밖의 체험<BR></STRONG>“밖에서 내 고치를 찢어 주셨던 것이다. 성령의 터치 한번에, 존재를 구성하는 원형질과 –감정,생각,의식의 배열이 완전히 바뀌어 버렸기 때문이다.” –중략- “앞으로 하나님께서 나에게 어떤 소명을 주실 것인지 나는 알지 못한다. 다만 결단하고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BR>소설가 서영은씨의 산티아고 순례기 <노란 화살표방향으로 걸었다>라는 책의 말미에 쓰여있는 글입니다. 차용할 만한 표현을 발견하며 희열을 느꼈습니다. 여하간 제가 좀 변해버렸습니다. 예정되어 있던 기자대회도 참석하지 않은 채 한국에 1달간 머무르다가 몽골로 돌아 왔습니다. ‘고치’ 안에서의 계획들은 내려 놓았지만, 새로운 방향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BR> <BR><STRONG>#3. 신문 인수자의 등장과 대략난감 한 결론.<BR></STRONG>몽골로 돌아 오자 마자, 신문을 인수하겠다는 사람이 나타났습니다. 예정된 전환점이라고 여기며 경쾌한 마음으로 그의 제안을 의심 없이 덜컥 받아들였습니다.<BR>지루한 계약이행 절차가 여름 내내 이어졌습니다. 불가피하게 주어진 여백과 공백으로 가득했던 지난여름, 한 켠으로는 높고 푸른 하늘의 마음을 한껏 느껴 보았습니다. 그러나 어이없게도 지루하게 끌어온 계약이 파기되었고, 싸늘한 계절에 저는 사무실도 공장도 직원들도 없는 백수가 되어 있었습니다. 풀린 초점을 모아보니, 헐~ 閑中亡. <BR> <BR><STRONG>#4. 황망함에, 연못에 돌 던지듯 인터넷 검색창에 ‘다시’를 투척해 보다. <BR></STRONG><FONT color=#0021b0> <U>다시</U> </FONT><FONT color=#307f00>[부사]</FONT> <BR> o <FONT color=#307f00>1</FONT> 하던 것을 되풀이해서 또.<BR> o <FONT color=#307f00>2</FONT> 방법이나 방향을 고쳐서 새로이.<BR> o <FONT color=#307f00>3</FONT> 하다가 그친 것을 계속하여. <BR>3열로 정렬된 검색결과를 사열하는 동안 웃음이 자꾸 새어 나왔습니다.<BR>어의 없고 기가 막힌 때문인지, <BR>결국 '다시'라...하던것을 되풀이해서..고쳐서 새로이..그친 것을 계속하여…<BR>늦은 저녁을 먹으며 TV를 켜자, 김광석의 노래가 흘러 나왔습니다. <BR> “이제 다시 시작이다 ~ ” 또 웃음이 새더니, 너털웃음까지... <BR>‘황망함’은 이쯤에서 배웅하기로 했습니다<BR>물론 넉넉하게 웃기까지는 시간이 조금 필요할 것 같습니다. <BR> <BR><STRONG>#5. 인터넷신문에 올릴 안내문을 작성하다.<BR></STRONG>행여 새 소식이 올랐을까 싶어 들르셨다가 영문도 모른 채 발걸음을 돌리셨을 방문객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 올립니다.<BR>비록 사적으로 운영되는 매체이기는 하지만, 그간 공개적으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해 왔던 만큼 보다 공적인 자세로 임했어야 했다는 점, 깊이 반성하며 불편을 끼쳐드린 것에 대해 진심으로 송구한 마음 전해 드립니다. <BR>앞서 밝힌 일련의 사적인 과정 또한 사실에 따른 솔직한 심경의 고백이오니 외람되기는 하오나 해량의 이해를 구합니다. <BR>그리고 조금만 더 기다려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BR> <BR>그간 Web. <KMNEWS몽골교민신문>은 비영리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BR>본 인터넷신문 기사는 몽골현지에서 발간해온 종이신문 기사 중 일부를 그냥 올린 것입니다. 때문에 종이신문을 휴간한 상태에서 비영리로 운영되는 인터넷신문을 위해 기사를 생산하기는 곤란한 상황입니다. <BR>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새롭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기반이 모두 제거된 상태라서 시간이 조금 필요합니다. <BR>‘다시’시작해야 합니다. ‘다시’의 의미가 발전적 변화를 뜻하길 바라지만, 현실적으로는 복구의 수준을 넘어서기 어려울 듯 합니다. 하지만 꼭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 내겠습니다. 보다 안정감 있고 풍성한 매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격려 부탁 드립니다.<BR><BR>혹, 읽을거리가 아쉬운 분들께서는 본사가 휴간직후 발간한 <20세기 한국몽골관계사>를 구입해서 읽어 주시면, 현대 한몽관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현재 인터넷서점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본사로 연락 주시면 할인가(정가 24,000원/ 할인가 20,000원)로 우송해 드립니다. 한국 몽골 관계없이 이메일 <A href="mailto:kmtong@daum.net"><FONT color=#0021b0>kmtong@daum.net</FONT></A>로 주문해 주시면 됩니다. <BR>정상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책 소개서는 별도로 게재합니다. <BR><BR><STRONG>#6. 계획과 고백을 밝히다.</STRONG> <BR><STRONG><정상화 계획><BR></STRONG> 내년 1월에는 종이신문이 정상화 되도록 하겠습니다.<BR>안정화에는 얼마간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복간과 함께 정보가 생산되기 시작하는 만큼 온라인상에도 새로운 소식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BR>오프라인 사업이 정상화되는 즉시 온라인 매체도 개편작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개편 방향은 시대흐름에 걸 맞는 구조, 즉 쌍방향 소통을 통해 다양성이 확보되는 체계와 콘텐츠를 갖추도록 하겠습니다. <BR> <BR><STRONG><고백><BR></STRONG>부족하나마 이 매체가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되길 원합니다. 때문에 향후 이 매체는 정상화를 거치며 그와 같은 성격으로 자리잡아 가게 될 것입니다. 종교적 색채를 공공연하게 드러내는 것이 곧 타종교인이나 무교인에 대한 배타적 혹은 폐쇄적 태도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정체성의 표현이자 신앙고백으로 받아 들여 주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더욱 많은 분들에게 유익하고 유용한 매체가 되길 희망합니다. 보다 풍성한 정보가 제공되고, 보다 다양한 생각이 나뉘는 공간이 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다만 몽골에 관한 다양한 소식 못지않게 몽골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역사, 그 좋은 소식을 더 적극적으로 다루겠다는 것입니다. 본 매체의 향후 진로를 밝히는 것이 독자에 대한 구별의 의미가 아닌 것처럼 독자 여러분들께서도 이곳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들에 대해 담을 쌓지 말아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BR><BR> <BR>빠른 시일 안에 돌아 오도록 하겠습니다. <BR>감사합니다. <BR> <BR>2011.12.21 <BR>몽골교민신문 KMNEWS 발행인 고재광 배상<BR><BR>출처: KMNEWS
|
<IMG style="WIDTH: 780px; HEIGHT: 385px"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27).jpg" width=738 height=336 Haby_Upload_Id="_1"><BR><BR><BR>출처: 러브몽골
|
<H2><IMG src="http://news.kbs.co.kr//data/news/2011/12/06/2399517_130.jpg"><BR>
<DIV style="DISPLAY: none" id=show> </DIV></H2>
<DIV id=newsContents><앵커 멘트><BR><BR>인기만화 '식객'과 '타짜'의 허영만 화백이 이번에는 칭기즈칸을 주인공으로 한 장편 만화를 내놓았습니다.<BR><BR>칭기즈칸이 우리 시대에 던지는 메시지, 허영만 화백은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BR><BR>최정근 기자가 만나봤습니다.<BR><BR><리포트><BR><BR>13세기 대륙을 호령했던 불세출의 영웅 칭기즈칸. <BR><BR>그의 격정적인 삶이 인기 만화가 허영만 화백의 손끝에서 재조명됐습니다. <BR><BR><인터뷰>허영만(만화가) :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전쟁터에 있었어요. 그래서 그걸 상징적으로, 끝까지 말에서 내리지 않았다…"<BR><BR>습격을 받았을 때 아내를 버리고 달아나는 비겁함을 보이기도 했지만 허 화백은 미래를 준비하는 측면에 주목했습니다. <BR><BR><인터뷰>허영만(만화가) : "적의 습격이 왔을 때 부인을 놔두고 도망가거든요. 그 이유는 내가 살아야, 살아남아야 다음 일을 할 수 있다."<BR><BR>출생에서부터, 들판을 떠돌던 유목민 몽골족을 규합하고 10만 기마병을 키워 세계를 지배하기까지.<BR><BR>세 차례에 걸친 몽골 현지답사와 5년 동안의 꼼꼼한 고증을 거쳐 이야기와 그림의 사실성을 높였습니다. <BR><BR><인터뷰>허영만(만화가) : "이 사람은 싸울 줄도 알고 물러설 줄도 알고 타협할 줄도 알고, 요즘 현대인이 필요한 여러 가지를 다 갖고 있었던 그런 정복자라고 봅니다."<BR><BR>'타짜'와 '식객'에 이어 허영만 화백이 12권으로 풀어낸 칭기즈칸의 삶이 독자들로부터 어떤 평가를 받을지 주목됩니다.<BR><BR>KBS 뉴스 최정근입니다. <BR><BR>출처: KBS 뉴스</DIV>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TBODY>
<TR>
<TD>
<DIV style="LETTER-SPACING: -1px; COLOR: #000000; FONT-SIZE: 18px; FONT-WEIGHT: bold; TEXT-DECORATION: none" id=mainTitle>[그림아 놀자] 자연과 어우러져 지내는 몽골인의 삶 <!--NewsAdTitleEnd--></DIV></TD></TR>
132 Lines more... (total : 137lines) |
<H3 id=articleTitle class=font1>여진·몽골족도 중국인?… 멋대로 역사 쓰는 중국</H3>
<DIV class=sponsor><IMG title=문화일보 alt=문화일보 src="http://imgnews.naver.net/image/news/2009/press/top_021.gif"><SPAN class=paper title="신문에 게재되었으며 24면의 4단기사입니다."><IMG class=picon alt="신문에 게재되었으며 24면의 4단기사입니다." src="http://imgnews.naver.net/image/news/2010/ico_newspaper.gif" width=15 height=12>24면4단</SPAN><SPAN class=bar>|</SPAN> 기사입력 <SPAN class=t11>2011-11-15 13:51</SPAN> </DIV>
<P><SPAN style="FONT-SIZE: 11pt"> </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영토 안에서 일어난 과거의 모든 민족과 역사는 모두 중국사로 간주한다.’ 중국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으로 동북공정 등 역사공정에서 핵심으로 삼는 논리다. 하지만 이 이론은 역사 시대 중국의 강역과 통치 범위가 현재 중국의 영토와 다름에도 현재 중국의 영토 안에서 흥망했던 모든 독립된 역사공동체를 중국 왕조의 지배와 통치 범위 안에 있었다고 호도하려는 데 문제가 있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왜곡된 논리가 역사교과서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SPAN><BR><BR><SPAN style="FONT-SIZE: 11pt">중국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집중 조명한 ‘중국 역사교과서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동북아역사재단 펴냄)이 최근 발간됐다. 4명의 연구자가 공동 집필한 이 연구서는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이 어떤 배경에서 등장해 어떤 과정을 거쳐 변용됐는지, 그리고 중국 역사교과서가 이 이론을 전근대시대뿐만 아니라 근현대사 영역에서 어떻게 서술하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SPAN><BR><BR><SPAN style="FONT-SIZE: 11pt">집필진 중 한 명인 김종박 상명대 교수는 ‘중국의 민족학 연구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등장’에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이론 배경이 사회주의 민족관에 따른 민족통합론이라고 주장했다. 각 민족이 현재의 필요에 의해 창안된 민족통합론에 따라 ‘통합’된 민족이 곧 ‘중화민족(中華民族)’이며, 이를 바탕으로 민족평등권을 가진 상태에서 이른바 ‘민족통합’을 이루고 있다는 다원일체론(多元一體論)이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SPAN><BR><BR><SPAN style="FONT-SIZE: 11pt">김 교수는 “이 같은 중국의 역사 이론에 따르면 과거 흉노(匈奴, Xiongnu), 거란(契丹, Khitan people), 여진(女眞, Jurchen people), 몽골(蒙古, Mongolian people) 등 이민족의 중국 침략이 중국인 간의 내전이 되고 만다”며 “그 결과 현재 중국에서는 허구적이고 추상적인 역사 왜곡이 양산되고 있다”고 논박한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1pt">‘중국 역사교과서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분석-근대 이전의 민족 관계를 중심으로’란 논문으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을 분석한 이동훈 목원대 교수에 따르면 현행 중국의 역사교과서로만 본다면 민족 관계의 두 축인 한족(漢族, Han Chinese)과 소수민족은 역사적으로 별다른 다툼 없이 서로 단결하고 민족 융합을 위해 부단히 노력해 온 형제 민족이라고 착각할 만큼 우호적인 관계로 묘사되고 있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1pt">이 교수는 그러나 “역사사료를 보면 한족과 소수민족은 생존을 위해 부단히 투쟁하던 적대 관계였으며 이런 사실을 뒷받침해 주는 사료는 셀 수도 없이 많다”면서 “특히 정신적인 측면에서 중국과 이민족을 구별하는 ‘화이지변(華夷之辨)’은 역사 전체 시기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고, 따라서 한족과 소수민족 관계를 민족 융합이라는 측면에서 해석한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은 역사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허상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SPAN><BR><BR><SPAN style="FONT-SIZE: 11pt">김종건 경북대 교수는 초급중학 교과서와 고급중학 교과서로 나눠 분석하면서 그런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서술의 문제점을 영토와 영역의 확대, 중국 중심의 서술, 민족 문제 서술의 불균형 등으로 대별해 상론했으며, 정유선 상명대 교수는 중국 역사교과서에 반영된 이 이론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정리했다.</SPAN><BR><BR><SPAN style="FONT-SIZE: 11pt">김도연기자 </SPAN><A href="mailto:kdychi@munhwa.com" target=_blank><SPAN style="FONT-SIZE: 11pt">kdychi@munhwa.com</SPAN></A><BR><BR>출처: 한류열풍사랑</P>
<P> </P>
2 Lines more... (total : 7lines) |
<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17).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17).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3(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4(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5(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6(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7(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8(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9(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0(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1(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2(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3(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4(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5(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6(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7(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8(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9(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0(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1(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2(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3(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4(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5(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6(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7(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8(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9(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30(1).jpg" Haby_Upload_Id="_1"></NOBR>
|
<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15).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15).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3(1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4(1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5(11).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6(10).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7(5).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8(5).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9(4).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0(4).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1(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2(4).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3(4).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4(4).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5(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6(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7(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8(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9(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0(2).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BR><NOBR><NOBR>출처: 몽골곰<BR><NOBR><NOBR><BR>
|
<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12).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12).jpg" Haby_Upload_Id="_1"><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3(9).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4(9).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5(9).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6(8).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7(4).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8(4).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9(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0(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1(2).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2(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3(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4(3).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5(2).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6(2).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7(2).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8(2).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9(2).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0(1).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1(1).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2(1).jpg" Haby_Upload_Id="_1"><BR><NOBR><NO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23(1).jpg" Haby_Upload_Id="_1"><BR><NOBR>몽골 황제가 이탈리아에 보낸 서신 <BR><NOBR><NOBR>이탈리아는 1276년 제지 공장이 첨새워졎고 <BR><NOBR><NOBR>로마 교향은 이서신으로 종이를 첨 보았음<BR></NOBR><NOBR><NOBR><BR></NOBR><NOBR><NOBR>출처: 힌류열풍사랑<BR></NOBR>
|
<TABLE class=xe_viewTb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93%">
<TBODY>
<TR>
<TD class=xe_viewSj></TD>
<TD class=xe_viewHit align=right>조회수 : <SPAN class=xe_viewDate>1, 2011-11-10 10:20:01</SPAN> </TD></TR>
153 Lines more... (total : 158lines) |
<TABLE class=xe_setup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93%">
<TBODY>
<TR>
<TD class=xe_setup_total></TD>
<TD class=xe_setup_ct><!----> </TD></TR></TBODY></TABLE>
175 Lines more... (total : 180lines) |
<P> </P>
<DIV id=ct class="articleTxt1 clearfix">
<P><STRONG></STRONG></P>
<DIV class=articlePhotoC>
<DIV style="WIDTH: 500px" class=articlePhotoCarea><IMG alt="" src="http://news.donga.com/IMAGE/2011/11/10/41763609.2.jpg" width=500 height=206 gid="41763609.2.1">
4 Lines more... (total : 9lines) |
<DIV style="LINE-HEIGHT: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255,255); FONT-FAMILY: arial,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6px"> </DIV>
<DIV style="LINE-HEIGHT: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255,255); FONT-FAMILY: arial,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6px"><BR></DIV>
<DIV style="LINE-HEIGHT: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255,255); FONT-FAMILY: arial,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6px">2011년도 이제 한,두달 남았습니다..</DIV>
<DIV style="LINE-HEIGHT: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255,255); FONT-FAMILY: arial,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6px">그간 몽골에서 사업성공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열심히 임하시는 </DIV>
<DIV style="LINE-HEIGHT: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255,255); FONT-FAMILY: arial,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16px">동포기업여러분께 심심한 경의를 표합니다.</DIV>
17 Lines more... (total : 22lines)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650>
<TBODY>
<TR>
<TD style="PADDING-BOTTOM: 7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0px; PADDING-TOP: 10px"><SPAN class=title><FONT color=#2f57aa size=5 face=돋움><STRONG>‘실권자’ 몽골 총리 극비 방한… 낙상 치료</STRONG></FONT></SPAN></TD></TR></TBODY></TABLE><!-- sns 스크립트 -->
<SCRIPT language=javascript>
191 Lines more... (total : 196lines) |
<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600 align=center sizcache="21" sizset="0">
<TBODY sizcache="21" sizset="0">
<TR height=10>
<TD></TD></TR>
<TR>
14 Lines more... (total : 19lines) |
27일 오전 10시 서울 서대문구 동북아역 사재단에서는 작은 발굴 보고회가 열렸다. 몽골의 대표적 고고학자 아유다이 오치르(63) 몽골유목문화연구소장이 지난 7∼9월 몽골 중부 ‘볼간 아이막 바양 노르 솜’에서 진행한 서기 600년 무렵 벽화묘 발굴의 성과를 공개하는 자리였다. 몽골에서 벽화가 그려진 고분이 발굴된 건 처음이다. 게다가 찾아낸 벽화 40점 중 일부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청룡(靑龍) 백호(白虎) 등과 닮아 관심이 컸다. <BR><BR>벽화와 유물 사진이 하나씩 공개되자 한국 전문가 10여명이 앉은 객석에서 작은 탄성이 흘러나왔다. 특히 용 머리에 호랑이 몸통을 가진 상상동물그린은 고구려 사신도와 흡사했다. <BR><BR>아유다이 소장은 “2006년 중국 지린성에서 고구려 고분 200여기를 둘러봤는데 이번에 발굴된 벽화가 그때 본 고구려 벽화와 흡사하다.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40점 중 4점은 확실히 고구려 것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BR><BR>반면 중국과의 관련 가능성은 낮다고 했다. 그는 “7세기 중기면 당나라 때인데 용 모양이 이렇지 않다. 중국 학자도 (현장에 와서 보고) ‘중국 스타일이 아니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유물에서도 고구려 흔적은 드물지 않게 발견됐다. 무덤 내부에서 찾은 토우(土偶·흙으로 빚은 상) 100여점 중 인물상이 걸친 의상은 고구려 고분벽화의 치마, 모자와 흡사했다. <BR><BR>사신도를 닮은 고분벽화가 중국 땅 대신 몽골에서 나왔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고구려 벽화가 중국보다는 북방 유목문화와 더 깊이 관련됐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간 고구려 벽화는 중국 남북조 혹은 수·당나라에 영향 받은 것으로 해석돼 왔다. <BR><BR>13세기로 추정되던 한·몽 관계의 시작도 600년이나 앞당겨지게 된다. 아유다이 소장은 “고구려와 몽골이 6∼7세기부터 교류했다는 증거가 최근 여러 곳에서 나왔다”고 전했다. 2009년에는 몽골 중부에서 발해와 관련됐던 말갈족의 비문이 나왔고, 얼마 전에는 중심부에서 11세기 초 발해인 거주지가 발굴됐다. 발해는 고구려 유민이 세운 나라다. 그는 “고구려 사람들이 만리장성 너머 북방 초원에 살던 유목민과 자주 긴밀하게 왕래하고 문화적 친연성도 높았다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BR><BR>아유다이 소장은 한국 학자들에게 이렇게 부탁했다. “처음 벽화를 찾아냈을 때 기쁨과 감격은 말로 표현 못합니다. 정말 놀라웠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고민이 많아졌어요. 유목민에게 그런(벽화를 그리는) 문화가 있었는데 우리가 몰랐는가, 만약 외부에서 온 문화라면 어디서 왔나, 풀어야 할 숙제가 아주 많습니다. 발굴과 보존, 모든 면에서 앞서 있는 한국이 함께 나서줬으면 좋겠습니다.” <BR><BR>이영미 기자 ymlee@kmib.co.kr <BR><BR><BR>출처: 국민일보
|
<IMG style="WIDTH: 596px; HEIGHT: 412px"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8(1).jpg" width=587 height=410 Haby_Upload_Id="_1"><BR><IMG style="WIDTH: 589px; HEIGHT: 466px"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9(1).jpg" width=594 height=461 Haby_Upload_Id="_1"><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0(1).jpg" Haby_Upload_Id="_1"><BR>철도 문서 보관소 (박물관 서쪽)<BR>내부는 그리 크지 않지만 철도 관련 사료와 장비, 대외협력 관련 정리가 잘되어 있다.<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1(1).jpg" Haby_Upload_Id="_1"><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2(1).jpg" Haby_Upload_Id="_1"><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3(1).jpg" Haby_Upload_Id="_1"><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4(1).jpg" Haby_Upload_Id="_1"><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5(1).jpg" Haby_Upload_Id="_1"><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6(1).jpg" Haby_Upload_Id="_1"><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7(1).jpg" Haby_Upload_Id="_1"><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8(1).jpg" Haby_Upload_Id="_1"><BR>물어 물어 찾아간 몽골에 철도 박물관 , 당시 몽골 철도 60년으로 문이 잠겨 있던 사왕에도 몽골철도에 대해 알고 싶고 구경하고싶다고 하니 관람을 허락한 몽골 관계자...참... 귀하기 힘든 뺏지도 주었다.<BR><IMG id=Haby_Upload border=0 name=Haby_Upload src="http://komex.or.kr/upload/cs_bbs_data/editor/page19(1).jpg" Haby_Upload_Id="_1"><BR><BR>고마움을....<BR><BR>2009년 6월 어느 날...<BR><BR><BR>출처: 러브몽골 네이버카페<BR>
|
몽골, 250톤 트럭 제조<BR><BR><BR> 동력 자원 LLC는 처음엔 석탄 250톤을 수송할 수 있는 큰 용량을 지닌 대형 트럭을 수입했다. 이 대형 트럭은 당시 동력 자원이 겨우 두 대만을 소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도 몽골에서 가장 큰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BR>최근에 Erdenes Tavantolgoi LLC는 그들이 이미 같은 용량을 지닌 비슷한 대형 트럭을 제조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BR>외국에서 수입하지 않고 대형 트럭을 직접 생산하려는 결정은 중국으로 수출하는 석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루어졌다.<BR>Erdenes Tavantolgoi는 올해 안에 250톤 용량을 나를 수 있는 4대의 대형 트럭을 조립하고, 완성된 트럭을 사용하려는 계획을 세웠다.<BR>현재 60톤 용량을 가진 대형 트럭들 중 10대가 국영 Erdenes Tavantolgoi사(社)에 의해 개발된 동부 Tsankhi 석탄 단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관료들은 "4대의 250톤 용량 대형 트럭이 사용되기 시작하면 Erdenes Tavantolgoi 광산의 생산량이 현재 언급된 양의 두 배 이상으로 뛰어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BR><BR> * 본 기사 수집 및 번역을 위해 숙명여대 정선영 님이 수고해 주셨습니다~<!--"<--> <BR><BR>출처: 몽골 울란바타르 진흥원
|
|